View : 14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백의-
dc.contributor.author백인경-
dc.creator백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9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18-
dc.description.abstract노인인구의 증가 및 노년기의 장기화는 노년기를 어떻게 하면 활기차게 보내고 또한 많은 여가시간을 어떻게 활용하여 개인의 만족과 사회적 기여를 가져올 수 있을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후생활의 만족과 성공적인 노화로서의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상태와 사회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의 심리적 안녕상태를 반영하는 개념 중 긍정적인 삶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능이 자기효능감이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및 하위요인별 관계를 살펴보고,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노인 자원봉사활동과 긍정적인 자기효능감을 형성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며,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노인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인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원봉사활동의 특성을 변수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본연구의 조사는 2008년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서울 지역의 만 60세 이상의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노인자원봉사활동 요인을 살펴보았으며, 요인별로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인구학사회학적 특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 결혼관계, 경제적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하위 요인별로 살펴볼 때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족관계와 건강상태에 따른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가족관계가 좋을 수 록 하위영역인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건강상태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건강상태가 좋을 수 록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활동 특성 중 자원봉사활동 동기, 자원봉사활동 기간, 자원봉사활동 평균시간, 자원봉사활동 분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의 반응, 자원봉사활동의 적극성, 자원봉사 모임의 필요성 인식 정도,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자원봉사활동 권유 여부, 자원봉사활동 보상,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 자원봉사 이외의 시간 교류여부, 자원봉사활동의 적합성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인구사회학적특성에서는 노인 자원봉사자의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과 자원봉사활동특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노인의 연령의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 수록, 자원봉사활동의 적합할 수 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이 많을 수 록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하위 영역별 자기효능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건강이 좋을수록,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적합 할수록, 자원봉사에 대한 보상이 많을수록 자원봉사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적합 할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은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특성에 적합하고 그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노인의 경험, 지식, 기술, 능력 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의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 요인 중의 한 가지는 바로 건강상태이다. 건강한 정신력과 신체적인 건강유지는 자신은 물론 피 봉사자들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기관에서는 노인들의 건강유지를 위한 입체적인 제도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공식적, 비공식적인 보호·보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며, 다양한 보상 방법을 활용하여 노인들이 원하는 보상을 고려하고 개인차에 따른 욕구에 맞는 보상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에 따른 노인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 수준과 자기효능감의 3가지 하위 영역별 수준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였으므로 이를 보완하여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Due to the increase in the aged population and long duration of senescence, it is coming to the fore as an important issue how to spend the senescence in an active manner and also how to make use of a lot of free time for individual satisfaction and social contributions. What is the most importantly perceived in improving an aged person's life quality equipped with a satisfactory old-age living and successful aging could be an old man'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volvement in social activity. Among the concepts reflecting the state of an old man'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unction that plays the most vital role in maintaining a positive living is no other than a sense of self-efficacy.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the revitalization scheme of the aged people's volunteer work that could promote the life quality during senescence by taking a look at the relation between the volunteer work of an aged volunteer worker involved in volunteer work and a sense of self-efficacy as well as the relations by subordinate factor and by inquiring into an involvement plan to form a positive sense of self-efficacy in her/his volunteer work by clarifying what effect of an aged person's volunteer work has on self-efficacy and affecting factor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measured self-efficacy by setting sociology-of-population-based characteristic of an age-old volunteer worker and the characteristic of volunteer work as a variable. This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targeting the aged bracket above full age of 60 living in Seoul district who are involved in volunteer work from April until mid-May, 2008;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5.0. The research results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took a look at the sociology-of-population-based factor and an old person's volunteer work factor in an old person's volunteer work's effect on self-efficacy and also looked into whether those factor had an effect on the subordinate sector of self-efficacy by factor. Then let me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ology-of-population-based characteristic and self-efficacy as follows: In sociology-of-population-based characteristics,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sex distinction,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nd economic level, nor did a significant difference even in time of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by subordinate factor; however, there appeared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subsequent to family relationship and health state. The better an old person's relationship with his/her family, th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ordinate sector- general self-efficacy; as for self-efficacy as against the state of health, the better state of health one had,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physical self-efficacy and general self-efficacy. The relation between volunteer work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is as follow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work, the motive of volunteering , volunteering service period, average volunteering hours, volunteering field, family members' response to volunteering, aggressiveness in volunteering, awareness level of the necessity of a gathering for volunteering, satisfaction with volunteering, whether or not he/she was persuaded into volunteering, compensation for volunteering, relationship with his/her co-volunteer, whether or not he/she exchanges time besides volunteering, and suitability of volunteering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also on the subordinate sector of self-efficacy.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f volunteering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in sociology-of-population-based characteristics, the better a volunteer's relationship with his/her family and the better an old volunteer's state of health, the higher the old volunteer's self-efficacy appear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difference in influential power of the sociology-of-population-based characteristics and volunteering characteristics on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age of an old person and the better his/her state of health and the more suitable his/her volunteering as well as the more compensation for one's volunteering, the more influential on an old person's self-efficacy. Nex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f an old person's volunteering on the level self-efficacy by subordinate sector,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result in social self-efficacy, but as for physical self-efficacy, the better the health, the more fit the volunteer work with an old volunteer's ability and aptitude, and the more compensation for volunteering, there appeared higher physical self-efficacy in volunteering ; as for general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 lower the age and the more fit the volunteer work into an old volunteer's ability and aptitude, the higher se;f-efficacy. On the basis of the identifi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the connoted social welfare-based meaning for revitalization of an old person's volunteering is as follows: First, as for an old person's volunteering, it is necessary that volunteering work should be suited for an aged person's physic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hould be a sort of work an aged volunteer can do with interest; in short,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 program in which an aged prospective volunteer can select his/her favorite field where he/she can fully display his/her experience, knowledge, techniques and ability, etc. Second, one of the important affecting factors in self-efficacy of the aged people involved in volunteering is the very the state of health. Sound mental strength and maintenance of physical health could be a very important matter not onlty to him/herself but also to the beneficiaries of volunteering work. Therefore, the authorities concerned are required to prepare stereoscopic system and plan for the aged people's keeping health. Third,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a substantial plan for formal or informal protection & compensation in relation to the aged person's volunteering ;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compensation should be made to meet the needs followed by individual difference while considering the compensation level the aged generation wants by using a variety of methods of compensation. Fourth, this research offered basic data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an aged person subsequent to volunteering and on each level of the three subordinate sectors of self-efficacy; thus, this researcher thinks that follow-up research work should be done to make up for this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 5 1.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의의 = 5 2.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선행 연구 = 6 B. 노인자원봉사활동과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고찰 = 8 1. 자기효능감의 이해 = 8 2. 노인의 자기효능감의 중요성 = 10 Ⅲ. 연구방법 = 15 A. 연구모형 = 15 B. 연구가설 = 16 C.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16 D. 연구도구 = 17 E. 설문지 구성 = 18 F. 자료분석 방법 = 20 Ⅳ. 연구결과 = 22 A.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2 1.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 = 22 2. 노인의 사회학적 특성 = 22 B. 노인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 26 1.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 = 26 2.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로 = 27 3. 자원봉사활동 기간, 횟수, 평균 시간 = 28 4. 자원봉사활동 분야 = 29 5.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의 반응 = 30 6.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교육 = 31 7. 자원봉사활동의 참여 정도 및 자원봉사자 모임의 필요성 = 32 8.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 및 이유 = 32 9. 타인에게 자원봉사 권유 여부 = 34 10.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보상 및 보상 내용 = 35 11. 자원봉사자와의 관계 및 교류 = 36 12. 자원봉사활동이 능력과 적성에 적합 정도 = 37 C.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38 1.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38 2. 학력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40 3. 종교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41 4. 결혼관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41 5. 가족관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42 6. 건강상태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43 7. 경제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44 D. 자원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46 1. 자원봉사활동 동기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46 2.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로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48 3. 자원봉사활동 기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49 4. 자원봉사활동 주 평균 횟수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50 5. 자원봉사활동 주 평균 시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51 6. 자원봉사활동 분야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53 7.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의 반응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54 8. 자원봉사 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55 9. 자원봉사활동 적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56 10. 자원봉사 모임의 필요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57 11.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58 12. 자원봉사활동 권유 여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59 13. 자원봉사활동 보상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60 14.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61 15. 자원봉사 이외의 시간 교류 여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62 16. 자원봉사활동의 적합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 63 17. 자원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하위영역별 자기효능감의 차이 요약 = 65 E. 노인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66 F. 자기효능감의 결정요인 = 68 1. 자기효능감 결정요인 = 68 2. 사회적 자기효능감 결정요인 = 69 3. 신체적 자기효능감 결정요인 = 71 4. 일반적 자기효능감 결정요인 = 72 Ⅴ. 결론 및 제언 = 74 A. 연구결과의 요약 및 결론 = 74 B. 연구에 대한 함의 및 제언 = 79 C. 연구의 제한점 = 80 참고문헌 = 82 부록 = 86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36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title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 between Volunteering and Self-Efficacy of aged person-
dc.creator.othernameBaek, In Kyung-
dc.format.pagexi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