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애란-
dc.contributor.author이예진-
dc.creator이예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3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8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9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854-
dc.description.abstractThe 21st is the age of image. Flooding of digital image makes modern people live in the world in which they receive naturally all the various desires and wants of stimulating their eyes. This has made the artists of this age realize people's dreams and visions at the critical visual sensation, through observing the image; and from a basis on reappearance I gave an important position to the sovereignty of visual sensation that contributed to the thought of human's thinking much of Seeing and so has made nature the humanization. Thanks to this thought, I will actualize the idea of desire by interchanging existence and no existence of image, the object and the subject, and the actuality and the vision; and recognize the position of a picture which is loitering between the position of photo and the overflow of image from the basis on the realism of using digital colors. In this logical connection, the appearance of the photography of replacing reality is thought not as the despair of realism that express the truth of the object realistically on the rational order; but as a strong wind toward the picture. The visual experience that people come to see will be able to become a special experience as each individu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ubject being put, and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or spacial peculiarity. For me, fruit is the symbolic main body of modern people's desire and the visual experience through it, expresses their self-will of Narcissism which can't distinguish truth from false by recognizing real fruit and reflected existence of a virtual image. When the object is also reflected in the work, it may show a transformation or a distorted form in accordance with light and the external structure of a reflector. It may mean only looking squarely at the phenomenon expressed according to an observer's viewpoint, or stimulate a mental image by reflecting itself on the reflected object. A mirror has only a fabricated image but doesn't have the fact that the image reflects the real self-image. If the self lose another as an essential object because of the deviation from the relation between self and another, the self makes up for the position of the object without self. From this process, the self comes to deny the self because of the uneasiness of the existing layer. Like this, the structure of the misconception which the self of the Narcissosm has makes the self have the negative recognition of existence. Therefore I will restore the loss of the sense of existence through liking ring like death, instinct, sexual desire or appetite; and talk about the various desires of modern people in the frame of human's confused sense of value. The transparent surface of the metal like a mirror and the object of the apple which is put on the metal or side by side with it in my work, are the material which symbolizes the desire of the self, and the main body; at the same time, play a role in confirming each other as the stared object. The distortion of the imperfect surface of metal makes the form of the fruit on the metal distorted, and makes the fruit and the distorted object exist simultaneously in a picture. This means that the main body stares at another form of self, and because the human being or the observer outside the picture watch them as the objective outsider, he comes to see the forms about the desires of the main body. The present age is the age of digital image and the age which can modify and transform the image by digital mechanism of color. When artists have expressed the color until now it is universal to express the color reflected by natural light or artificial light, but to the modern people accustomed to the stimulative color of fluorescence shined on a TV screen or the monitor of a computer, the color of the source of light has become universal. I will see through the falsehood and overflow of image showed in the part of life and every day, and express the desire of self opposite to them by using the pictorial method and the improved digital medium.;21세기는 이미지의 시대이다. 디지털화된 이미지의 범람으로 현대인들은 그들의 눈을 자극시키는 온갖 욕구와 욕망의 이미지들을 받아들이는 것이 자연스러워진 시대에 살고 있다. 이것은 이 시대의 작가들에게 그 이미지들을 봄(seeing)을 통하여 인류의 꿈과 환상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현실화시켜 나가게 한다. 이러한 사고에 힘입어 이미지의 실재와 비실재, 객관과 주관, 현실과 환영의 끊임없는 교류를 통해 욕망의 개념을 형상화하며, 컴퓨터에 의한 왜곡된 색채를 바탕으로 사진의 위상과 이미지 사이를 배회하고 있는 회화의 위치를 인식하고자 한다. 이런 의미에서 리얼리티를 대체하는 사진술의 등장은 합리적인 질서 위에 대상의 진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리얼리즘의 절망이라기보다는 회화를 향한 독자적 열풍으로 받아들여진다. 인간이 접하게 되는 대상의 시각적 체험은 그 대상이 놓여있는 상황과 시대적 환경 및 공간적 특수성에 따라 각각의 특별한 체험이 될 수 있다. 본인은 과일을 소재로 하여 작업을 하고 있는데 작품 속 과일은 현대인의 상징적 욕망을 뜻하고 있다. 주체인 과일은 거울에 반영된 허상의 존재를 인식함으로써 진위와 허위를 구분하지 못하는 현대인의 혼돈스런 자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또한 작품에서 과일이 거울에 투영될 때 빛과 반사체의 표면 구조에 따라 변형 혹은 왜곡된 형태를 보이기도 하는데 그것은 흔들리는 물결 위로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아름다움에 빠진 나르시시즘적 자아의 모습을 보는 것과도 같다. 이렇듯 나르시스적인 자아가 갖는 오인의 구조는 존재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한다. 이에 본인은 죽음과 본능, 식욕이나 성욕이라는 연결고리를 통해 존재감의 상실을 환원시키고 현대인의 다양한 욕망을 인간의 혼란한 가치관의 틀 속에서 말하고자 한다. 본인의 작품 속 거울과도 같은 금속의 맑은 표면과 그 위에 혹은 그와 병치되어 놓여 진 과일이라는 대상은 자아의 욕망을 상징하는 소재로서, 주체이며 동시에 응시당하는 객체로서 서로를 확인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불완전한 금속표면의 일그러짐은 그 위에 놓인 과일의 형태를 왜곡시켜 한 화면 안에 과일과 왜곡된 변형체의 모습이 동시에 존재하게끔 한다. 이것은 주체가 자신의 또 다른 모습을 응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황을 관찰하는 그림 밖의 존재자는 객관적인 외부의 입장에서 이들을 응시하게 됨으로서 주체의 욕망에 관한 형상들을 보게 된다. 현대는 디지털 이미지의 시대이며 색채의 디지털적 메커니즘의 증폭에 의한 이미지의 수정과 변형이 가능한 시대이다. 지금까지 작가들은 색을 표현할 때 자연광 혹은 인공 광에 의해 반사된 색을 보고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오늘날과 같이 TV화면이나 컴퓨터 모니터 상에 비춰지는 자극적인 형광의 색에 익숙해져 있는 현대인들에게 광원의 색은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본인은 삶의 부분과 일상 속에서 보여 지는 이미지의 허구와 범람을 살펴보고 그것과 마주하고 있는 자아의 욕망을 극 사실 이라는 회화적 양식과 진보된 디지털매체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작품 형성의 배경 = 3 A. 과일로 상징된 욕망 = 3 B. 거울의 반영과 나르시시즘 = 9 Ⅲ. 작품의 조형적 전개 = 16 A. 하이퍼 리얼리즘 = 16 B. 디지털사진과 왜곡된 이미지 = 20 C. 컴퓨터에 의해 조작된 색채 = 23 Ⅴ. 본인 작품 분석 = 25 Ⅳ. 결론 = 37 참고문헌 = 39 Abstract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971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반영된 실재 속에 내재된 욕망의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Expression for Desire through the reflecting reality-
dc.creator.othernameLee, Ye-Jin-
dc.format.pageⅴ, 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