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어머니의 직업 유무 및 취업 관련 특성과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

Title
어머니의 직업 유무 및 취업 관련 특성과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
Other Titles
Mother's Parenting Stress realated to Maternal Eployment Job Characteristics and spouse support
Authors
김기원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직업 유무, 취업 관련 특성 및 배우자의 지지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배우자의 지지가 어머니 직업 유무 및 취업 관련 특성과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각각 중재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3개 구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509명(남아: 265명, 여아: 244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취업모의 아동은 207명, 비취업모 어머니의 아동은 300명이었다. 취업 관련 특성은 취업유형, 소득, 출퇴근 및 근무 시간, 토요일 및 일요일 근무횟수와 같은 일반적 특성을 비롯하여, 근무조건 융통성과 직업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근무조건 융통성은 Glass와 Camarigg(1992)를 기초로 한 강희경(1998)의 척도를, 어머니의 직업만족도는 이선희(2007)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배우자의 지지는 현온강·조복희(1994)의 척도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을 번안한 김민정(2008)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단순회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직업 유무는 양육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배우자의 지지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양육 스트레스를 덜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셋째, 배우자의 지지는 어머니의 직업 유무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중재적 역할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취업모의 취업 관련 특성 중 소득과 같은 일반적 특성을 비롯하여 근무조건 융통성과 직업만족도는 양육 스트레스와 유의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에서도 직업만족도는 다른 변인들에 비하여 양육 스트레스에 상대적으로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즉, 직업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모는 양육 스트레스를 덜 경험하였다. 다섯째, 배우자 지지가 높을수록 취업모는 양육 스트레스를 덜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배우자의 지지는 취업모의 취업 관련 특성 중 직업만족도가 취업모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였다. 즉, 배우자의 지지가 낮은 집단은 직업만족도에 관계없이 배우자의 지지가 높은 경우에 비해 양육 스트레스가 높았다. 그러나 배우자의 지지가 높은 집단은 직업만족도가 낮은 경우, 높은 경우에 비해 양육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직업 유무 자체보다는 어머니를 둘러싼 가정 및 직업 환경, 그 중에서도 배우자의 지지가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 스트레스에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다양한 취업 관련 변인들 가운데 직업만족도가 양육 스트레스에 매우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발견하였다. 이와 동시에, 배우자의 지지가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차지하는 중재적 역할을 발견함으로써,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 배우자 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employment, job characteristics, spouse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spouse support plays moderating roles between both maternal employment and job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stress.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with a sample of 509 mothers, who had an eight or nine-year-old child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in three different kinds of provinces (D, K, S) in Seoul with the questionnaire method. The 509 children whose mothers were surveyed included 265 boys and 244 girls. Among the children, there were 207 children (boys: 105, girls: 102) who had working mothers. In addition, flexibility of working surroundings was estimated by Rhee(1998)’s scale, and job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was computed by Kang(1998)’s scale. Spouse support was measured by Hyun and Cho(1994)’s scale, and parenting stress was gauged by Kim(2008)’s scale which was modified from Abidin(1990)’s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se variables were calculated. The data were also analyzed by both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employment was not 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Second, spouse support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parenting stress of a mother. Third, spouse support did not moderate between maternal employment and parenting stress. Forth, of working mothers’ job characteristics, income, working on weekend, flexibility of working surroundings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variables. Of them, especially, job satisfaction was the variable that relatively influences more than others. Fifth, when only working mothers were examined, spouse support was also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maternal employment, as the level of spouse support increases,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decreases. Sixth, the interaction effect of both job satisfaction and spouse support was analyzed in terms of parenting stress, in order to test whether or not there is moder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in a relation between a working mother’s job characteristics and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spouse support moderated the degree of effect which job satisfaction impacts on a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Whe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e level of a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became lower. In addition, working mothers with lower spouse support had higher parenting stress, regardless of job satisfaction. This study found that maternal employment did not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and family and working surroundings of a mother, especially, spouse support, were largely significant, by surveying mothers in various kinds of social status. Moreover, this study considered divers variables that had impacts on parenting stress. Furtherm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job satisfaction among job characteristics relatively affected more than other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discovered that spouse support moderated the effect that job satisfaction of a working mother affected parenting str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