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남녀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걱정간의 관계

Title
남녀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걱정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Perfectionism and Worry : The Moderating Role of Problem Solving Confidency
Authors
이영선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완벽주의의 두 차원인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적응적 완벽주의와 문제해결 자신감과 걱정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청소년의 완벽주의와 걱정간의 관계가 문제해결 자신감에 따라 달라지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을 구분하여 성별이 문제해결 자신감의 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 208명, 여학생 186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걱정, 완벽주의, 문제해결 자신감에 관한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청소년의 완벽주의는 Frost등(1990)이 개발한 Frost의 MPS(Multidimensional Perfectioni sm Scale)로 측정하였으며, 문제해결 자신감은 Heppner와 Peterson(1992 )이 개발한 PSI(Problem Solving Inventor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청소년의 걱정은 Meyer등(1990)이 개발한 PSWQ(Penn State Worry Questionnarie)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적응적 완벽주의는 걱정을 예측하는 주요변수였다. 둘째, 남학생은 문제해결 자신감이 부족할수록 걱정을 하는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 문제해결 자신감과 걱정은 관련이 없었다. 셋째,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문제해결 자신감은 성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걱정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었으며, 문제해결 자신감이 걱정을 감소시키는 중재적 역할을 하였다. 한편 남학생의 경우,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문제해결 자신감은 걱정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었으며 문제해결 자신감이 걱정을 감소시키는 중재적 역할을 하였다. 반면, 여학생은 오직 부적응적 완벽주의만이 걱정을 예측하는 주요요인이었으며 문제해결 자신감의 중재적 역할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청소년의 적응적 완벽주의는 성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걱정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었으나 문제해결자신감의 중재적 역할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남학생의 경우 적응적 완벽주의와 문제해결 자신감은 걱정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었으나, 문제해결 자신감은 걱정을 중재하는 변인이 아니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적응적 완벽주의만이 걱정을 예측하는 주요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남녀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걱정을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학생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그리고 문제해결 자신감이 부족할수록 걱정을 많이 하는 한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걱정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 자신감이 높을수록 걱정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학생의 경우 오직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적응적 완벽주의만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완벽주의의 두 차원인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적응적 완벽주의와 문제해결 자신감이 청소년의 걱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걱정증상이 나타나고 지속되는 청소년의 경우 그들의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인 안녕에 위협을 받을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남녀 청소년들이 지나친 걱정을 하는 원인이 완벽주의와 문제해결 자신감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완벽주의로 인한 부적응을 중재할 수 있는 성격적 특성으로 문제해결 자신감을 제시함으로써 남녀 청소년 지도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adolescent's gender, maladaptive and adaptive perfectionism, problem-solving confidency predict worry. Moderating problem-solving confidency was also examined. The subjects were 208 male and 186 female from two high-schools located in Seoul. FMPS(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PSI(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PSWQ(Penn State Worry Questionnarie) were used to measure adolescent's perfectionism, problem-solving confidency and worry. Data wer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male and female adolescent's maladaptive perfectionism, adaptive perfectionism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worry. Seco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confidency and their worry was found for boys. That is, male adolescents who had less problem-solving confidency worried more.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confidency and girls' worry. Third, problem-solving confidency moderated the negativ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worry only for boys, indicating the moderating role of problem solving confidency. In conclusion, both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daptive perfectionism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nes' worry. Particularly, Maladaptive perfectionism, adaptive perfectionism and problem-solving confiden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oys' worry. Moreover, problem-solving confidency moderated the negative effect of perfectionism on boys' wor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