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청소년의 스포츠 경쟁관 개념 구조 탐색 및 측정 도구 개발

Title
청소년의 스포츠 경쟁관 개념 구조 탐색 및 측정 도구 개발
Other Titles
Analysis of Attitudes toward Sport Competition among Korean Young People and Development of the Attitudes toward Sport Competition Questionnaire
Authors
조수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체육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스포츠 경쟁관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탐색하고, 조사된 원자료를 바탕으로 스포츠 경쟁관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I, II, III 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과 검사지 개발의 관련 자료에서 제시하는 이론을 근거로 연구 목적에 맞게 실시하였다. 연구 I 에서는 청소년들의 스포츠 경쟁관 개념에 대한 구조를 알아보는 개방형 질문지 267명과 면접 조사 5명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II 에서는 스포츠 경쟁관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I 에서 추출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제작하고 620명(1차조사 310명, 2차조사 310명)을 조사하여 문항의 신뢰도 분석과 측정 질문지의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개발된 검사지의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내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III 에서는 연구 II 에서 개발한 스포츠 경쟁관 검사지의 외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청소년 310명(2차 조사자료)을 대상으로 스포츠 경쟁관 검사지(ASCQ), 스포츠 목표성향 질문지(TEOSQ), 스포츠 경쟁불안 검사지(SCAT)를 실시하였으며, 운동선수 15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 질문지를 실시하여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 교차타당도, 집단차이구명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I 의 연구방법에 따른 자료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들은 스포츠 경쟁 개념을 자아관여적 목표지향, 승부, 과제관여적 목표지향, 열성, 사회 및 도덕적 발달, 심리적 만족, 합리성, 극복력 등과 같은 내용으로 심리적 표상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은 스포츠 경쟁의 궁극적인 목적을 사회 및 도덕적 발달, 과제관여적 목표지향, 심리적 만족, 자아관여적 목표지향, 열성, 합리성, 극복력, 승패가리기, 보상 등에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은 스포츠 경쟁과정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을 열성, 사회 및 도덕적 발달, 자아관여적 목표지향, 과제관여적 목표지향, 심리적 만족, 합리성 등에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들은 스포츠 경쟁결과 중 승리했을 때, 승리를 사회 및 도덕적 발달, 심리적 만족, 열성, 목표지향, 극복력, 합리성 등과 같은 태도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경쟁결과 중 패배했을 때, 패배를 극복력, 합리성, 열성, 사회 및 도덕적 발달 등과 같은 태도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II 의 연구방법에 따른 자료분석 결과; 첫째, 스포츠 경쟁관 개념을 표현하는 원자료를 바탕으로 문항을 제작한 결과 총 105개로 나타났다. 둘째, 105 문항에 대한 기술 통계치와 신뢰도는 적합하게 나타났으며 셋째, 스포츠 경쟁관 검사지(ASCQ)는 5개 요인(열성, 사회 및 도덕적 발달, 목표지향, 합리성, 극복력) 22개 문항으로 나타났다. 넷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값들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내적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연구 III 의 연구방법에 따른 자료분석 결과, 수렴 타당도, 변별타당도, 교차타당도, 집단차이가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개발된 스포츠 경쟁관 검사지의 외적 타당성이 검증되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ual structure ofattitudes toward a sport competition among Korean young people and to developa valid and reliable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attitudes toward it. The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were: first, to analyze the conceptual structure ofKorean youth's attitudes toward a sport competition through a qualitativeapproach; second, to develop a questionnaire which can measure their attitudestoward a sport competition through a theory-grounded analytic method andrelevant literature review; third, to examine the validity for generalizing ASCQdeveloped in the study II. A total of 267 young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I. They were middleand high school students, male and femal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y were analyzed using aninductive analysis method to categorize the raw data obtained by the surve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II were 620 students (the first data 310, thesecond data 31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es, itemanalys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select the sub-scales with the primarydata. With the second dat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confirm the structure of the developed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III were composed of 310 students (same withthe second data) and 150 athletes. The 310 students completed ASCQ,TEOSQ(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and SCAT(SportCompetition Anxiety Test), and the 150 athletes completed ASCQ. Convergent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cross validity, differential validity of ASCQ wereanalyzed. The results in the study I, II, and III were as follows. 1) The construct of the attitudes toward sport competition for young people wascomposed with factors of enthusiasm, goal-orientation, rationality, social andmoral development, and resilience. 2) The 22 items that can reliably measure the attitudes toward sportcompetition for young people were developed. 3) The study II and III demonstrated that ASCQ had a satisfactory level of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which proved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ASCQ. Within limit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