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부토 작품에 나타난 조형성에 관한 연구

Title
부토 작품에 나타난 조형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ve Nature in Butoh Works
Authors
신지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메시지를 표현하는 시ㆍ공간적 예술인 무용이 무대 공간을 적극 활용하면서, 그 속에 위치하고 있는 신체를 포함한 모든 입체물과 조형적 연관성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의 표현효과를 창출해 내고, 신체를 새로운 미의 개념으로 재현한 부토 작품의 조형성을 연구하였다. 그것을 통해 현대적 무대 공간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며, 움직임과 그 패턴을 조형해 나가는 실험적인 표현방식의 중요성을 찾고자 하였다. 전 예술 분야에서 전환기를 맞고 있던 1960년대의 일본은 전쟁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현대화를 위해 서구 문화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무용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었다. 안무가들은 다른 예술가들과 공동 작업을 하기도 하고 즉흥적 공연을 펼치기도 하는 등 계속해서 새로운 것들을 시도하였으며, 일본의 사회적 문화 현상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실험적 무용 활동은 전쟁에서의 패배와 같은 사회적 충격과 혼합되어 무용의 신체 움직임 뿐 아니라 미의 개념까지도 변화하게 만들었으며 독특한 춤 양식들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그 당시 신체를 직접적인 표현매체로 사용하고자 시도했던 예술계의 붐이 일본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물화된 신체의 변형을 강조하고 그러한 움직임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는 표현성을 조형적 시각으로 이미지화 시키고자 하였으며, 그것은 무용 개념을 확장시키고 개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부토는 조형적 시각에 근거하여 규칙적인 조화에서 벗어나 새로운 개념의 신체를 통해 충격적이고 비애적인 어두운 인간의 경험 등을 주제로 삼아, 그 시대를 반영하고 있는 일본의 독자적인 춤 형식이다. 온 몸에 흰 칠을 한 상태로 느리게 움직이며 조각처럼 이미지화되거나, 물화된 신체를 탐구하여 시각화된 조형성을 나타내는 등 작품 전체에서 풍부한 표현성을 가진 조형적 이미지가 보여졌으며, 다양하게 재해석된 새로운 형태로의 접근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색다른 시선으로 작품을 재해석한 조형성이 표현된 부토의 안무형태는 시각적 표현성의 증대로 관객들에게 안무의도를 더욱 확실하게 각인시켜주었으며, 그들의 끊임없는 실험성과 도전정신을 대변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형적 이미지가 가장 뚜렷하게 표현된 부토 작품인 히지카타 다츠미의 「육체의 반란」(1968), 오노 가즈오의 「죽은 바다(死海)」(1985), 산카이주크 무용단의 「우네츠- 경이롭게 서 있는 달걀」(1986)을 주제 및 구성, 움직임, 공간 이미지, 무대미술로 나누어 조형성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조형미가 무용 공연의 안무 작업에 있어서 어떻게 인식되고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히지카타 다츠미의 「육체의 반란」은 매우 수동적인 움직임으로 왜곡된 신체의 모습을 조형적으로 표현하였고, 오노 가즈오의 「죽은 바다」는 즉흥적 이미지들로 가득 찬 무대를 선보였으며, 산카이주크 무용단의 「우네츠」는 상징적인 무대미술을 활용하여 매우 섬세하고 정교한 조형적 이미지들을 강조하여 보여주었다. 이렇듯 부토 작품에 나타난 조형적 표현은 신체와 공간의 결합으로 무용의 무한한 표현성과 색다른 이미지의 시각화를 가져왔으며, 새로운 스타일을 형성하여 무용 영역의 독창성을 만들었다. 또,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작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면서, 춤의 미적 개념을 변화시키며 자국의 정서를 담아내는 창의적 표현방식을 표출한 안무형태를 제공하였다.;This thesis examines the formative nature in Butoh works which regenerated the body as a new concept of beauty and created a variety of image expression effect by forming the formative association with all of geometries including a physical body with its outer dancing as a time and space arts which expresses a message by the physical movement actively utilizes the stage space. Along with it, this thesis attempts to find an importance of the experimental expression method which creatively utilizes the modern stage space through it, and form its corresponding movement and pattern. Japan in 1960s, when faced with a turning point in every field of arts, had the unavoidable situation to accept Western cultures for modernization in spite of a national crisis by the war, and it was the same case with dancing. Choreographers continued to challenge for something new through a teamwork with other artists and improvisation performances, and thi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of Japan. This kind of experimental dancing activity was combined with a social shock like a defeat of the war and caused to change not only physical movement of dancing, but also the concept of beauty and motivated unique dancing styles to develop in its steps. As Japan was also influenced by the booming in the field of arts which attempted to use the physical body as a direct expression material, it reflected a formative view to make imaging of the expression which can emphasize the materialized physical transformation and maximize such a movement to far more extent, and this also played a critical role to reform and broaden the concept of dancing. Butoh is a Japanese unique form of dancing which reflects the period with a topic of shocking, sorrowful and dark human experience through the new conception of body releasing from the regular harmony, based on a formative view. The formative image which had rich expression in the entire works was observed with its nature of imaging like a sculpture or moving slowly with the body plastered in a white color, and othertimes representing a visualized formative nature by exploring the materialized body, as well as the approaches to a new form which was variously reinterpreted. Thus, the choreography pattern of Butoh, in which the formative nature was expressed with a new view of reinterpreting the works, etched the choreography intention in audience more clearly with the increase of visual expression, and represents their incessant spirit of experiment and challenge. In this sense, this thesis analyzes Butoh works which expressed the formative image most clearly, for example,「Uprising of Physical Body」(1968) by Hijikata Tats umi,「Dead Sea」(1985) by Ohno Kasuo,「UNETSU- an egg standing surprisingly」(1986) by Sankai juku dance troupe under the categories of topic and structure, movement, space image and stage arts to see how its formative nature was expressed, and then identify how this formative beauty is considered and treated as important in the choreography work of dancing performance. 「Uprising of Physical Body」by Hijikata Tatsumi formatively expressed the distorted physical shape with a very passive movement, and「Dead Sea」by Ohno Kasuo presented the stage filled with the impromptu images, and「UNETSU- an egg standing surprisingly」by Sankai juku dance troupe showed a very delicate and sophisticated formative image by using the symbolic stage arts. Thus, the formative expression in Butoh brought about a visualization of distinctive image and infinite expression of dancing with a combination of body and space, and created originality of dancing area by forming a new style. Also, it facilitated the understanding of works throughout this approach and provided a form of choreography which output a creative expression with the capacity of holding the national emotion in a change of the aesthetic conception of danc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