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지숙-
dc.creator박지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8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38-
dc.description.abstractThe research is an inquiry case on a curriculum carried out by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research investigates experiences of students who specialized in dance in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ve stated the actual contents of experience concretely at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he exploration was carried out to define what meaning the experiences they have gone through have. In a concrete manner for the performance of this research,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in the forms, such as autobiographic essays, journals, interviews, dialogs, teaching practice diaries, and e-mails, for about seven months from the three participants who had educational experiences at universities or education graduate school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key words which best represent the contents after binding up the stories with the same logical connection that correspond to the matters of this study.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discussion about the experience, which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have gone through as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of socialization process of regular dance teachers,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difficulty due to the lots of conflicts and confusion about their own ability and selection of a job after graduation, which were mainly caused by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education received at universities and the reality. It is connected to the fact that the dance departments of universities can not play the role of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reality, and the result played a role in hindering the potential growth of the dance students with various capabilities. Therefore, departing from the practical technique-oriented education for dance performance and skills, the education focused on the efforts to provide academic and educational identity and to help the students identify their own aptitude, course and choose a proper job at the university level is needed. Secondly, it was found out that though the educational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which was designed to cultivate regular dance teachers,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goals separately for each, the major of P.E. education and the major of dance education,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ourses. Both educational courses were carried out with priority given to the basic compulsory subject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the level 2 license of secondary P.E. teacher under the common goal of regular dance teacher. As a result, the course for the major of dance education presents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established educational goals and the actual educational courses, and it resulted in the lack of the specialty of educational course and the limitation of various educational effects and the capability of regular dance teachers.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courses that meet the educational goals to cultivat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regular dance teachers by improvement or partial amendment of the educational course of graduate schools in the next time. Thirdly,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had been overwhelmed because the courses were centered on P.E. theories at the early time when they entered graduate schools, and the burden was connected to the concern about the practical skills of P.E., so they felt necessity the re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of major practical skills in the course of education graduate schools.They had to under go lots of pressure against the theories related to P.E. they faced for the first time, so they demanded more systematic and organized educational cours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ve to face. Therefore, the educational course has to be improved to allow both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P.E. to develop their capability as regular dance teachers by breaking away from the formal educational course ofeducation graduate schools, and above all the P.E. practical skills classes are requested to be improved. Fourthly,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zed the on-the-job training of teaching was the essential course for preliminary teachers and the absolute chance to understand the actual site of secondary schools as they were experienci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theories and realities. Under the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perceived the limited ability as a P.E. teacher due to the shortage of P.E. practical skills, but they were narrowing difference between theories and realities through the imitation of the guidance teacher in the on-the-job training. So, it is necessary to bring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taining the prior on the-job training program which may provide opportunity to prepare for the actual job-site at schools. As stated in the above content, the narrative inquiry o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is an important research method to demonstrate vivid experiences of a dance teacher in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o obtain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rather than to seek general principles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material to diagnose and prescribe the reality of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a dance teacher.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earch provides significant information in building education polices and administrations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본 연구는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직전교사교육단계에 관한 무용전공생들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적용한 교육과정 탐구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이 직전교사교육단계에서 실제로 경험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그들이 겪은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탐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학과 교육대학원의 교육적 경험을 지닌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로 부터 자서전적 글쓰기, 저널쓰기, 인터뷰, 대화, 교육실습 일지, 전자우편 형태로 약 7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부합되는 같은 맥락의 이야기들을 묶어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주제어를 찾아 재구성 하였다. 연구 결과,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로서 연구 참여자가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직전교사교육단계에서 겪었던 경험과 그 의미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은 졸업 후, 대학에서 배운 교육과 현실과의 괴리로 자신의 능력과 직업 선택에 있어 많은 갈등과 혼란 등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무용전공생의 직전교사교육 현실에 있어 대학 무용학과가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재능을 가진 무용전공생의 잠재적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무용공연과 기능숙달을 위한 실기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무용의 학문적, 교육적 정체성을 갖기 위한 노력과 무용전공생들의 적성, 진로, 직업 선택에 대한 교육이 대학차원에서 요구된다. 둘째, 무용 정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체육교육전공과 무용교육전공으로 교육목표의 성격을 각각 다르게 규정하고 있었지만 실제 두 교육과정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두 전공의 교육과정은 모두 무용 정교사라는 공통된 목표 아래, 체육중등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전공기본이수과목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무용교육전공 과정은 제시하고 있는 교육목표와 실제 교육과정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되었고, 무용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와 무용 정교사의 역량을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의 차기 교육과정 개선이나 부분 개정으로 무용전공생과 무용 정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은 교육대학원 진학 초기, 체육이론에 중점을 두면서 부담감을 느끼게 되며 점차적으로 체육 실기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서 전공실기에 대한 교육이 새롭게 정립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들은 우선적으로 처음 접하게 되는 체육 관련 이론에 대해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용 전공생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좀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교육과정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형식적인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무용 정교사로서의 역량을 키워나가도록 무용전공생과 체육전공생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체육 실기 수업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넷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들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 이론과 실제의 분리를 경험함과 동시에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에게 있어 필수적인 교육과정으로 실제 중등학교 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절대적인 기회임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무용전공생이라는 공통된 특징 아래 체육 실기 능력이 충분하지 않아 교육실습 시 체육교사로서의 능력에 한계를 느끼고 있었지만 실습의 모방상대인 지도교사를 통해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좁혀나가고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학교현장에 대비할 수 있는 사전 실습프로그램을 포함한 직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함이 요구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무용전공생의 교사 사회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는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일반화된 원리를 찾기 보다는 무용전공생들이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 현장에서 겪게 되는 실제 생생한 경험들과 경험의 의미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방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과 관련된 교육정책과 교육행정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4 D.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교사사회화의 개념 및 특징 = 7 1. 교사사회화의 개념 = 7 2. 교사사회화의 이론적 관점 = 9 3. 교사사회화의 단계 및 관련 요인 = 15 B. 무용 정교사의 자격기준과 사회화 과정 = 22 1. 무용 정교사의 자격기준 = 22 2.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 = 25 3. 선행연구 = 27 C.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 방법론 = 30 1.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 30 2.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 32 3. 내러티브 탐구의 의미 = 36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 참여자 = 39 B. 자료 수집 = 41 C. 자료 분석 = 42 D. 연구 절차 = 43 Ⅳ. 무용전공생의 교사 사회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결과 및 논의 = 46 A. 무용전공생의 교사 사회화 과정 경험 이야기 = 46 1. ‘권’ 의 경험 이야기 = 46 2. ‘배’ 의 경험 이야기 = 56 3. ‘정’ 의 경험 이야기 = 64 B. 무용전공생의 교사 사회화 과정 경험 의미 해석 = 73 Ⅴ. 결론 및 제언 = 83 A. 결론 = 83 B. 제언 = 86 참고문헌 = 88 부록 = 95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22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무용전공생의 교사 사회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Narrative inguiry o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regular dance teacher experienced by students majoring in dance-
dc.creator.othernamePark, ji-suk-
dc.format.pageix,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