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근로자의 일 지향성, 일 스트레스, 조직문화가 일과 삶의 조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근로자의 일 지향성, 일 스트레스, 조직문화가 일과 삶의 조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Job Involvement, Work Str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Work-Life Harmonization
Authors
한나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employee’s demographic and job related factors, job involvement, work stress, and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harmonization between their life and work. Meaning, which reason better explained the work-life harmonization level between demographic and job related factors and work related facto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81 employees, living in Seoul and the surround metropolitan area. The survey’s questions consisted of the employee’s job involvement, work stress,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life harmonization leve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for Window 14.0.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at job types and job position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xplanation of job involvement. The results found that executive groups indicated higher scores than other group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factors. In addition, gender, education and incom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xplaining the variations of work stress. In other words, work stress is explained by demographic factors rather than job related factor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executive groups indicated higher scores than other groups. Males and females attach a different mean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Women indicated higher scores than men. Employee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dicated higher scores for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I found that job types and office scal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xplanation of work life harmoniz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al factors. It offers the key to an understanding of work life harmonization. Work life harmonization was more explained by job related factors than demographical factors. Third,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job involvement, and work stres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work life harmonization. Both job involvement, and work str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wer levels of work life harmonization. Added to these, organizational cultu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levels of work life harmoniz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higher levels of organizational culture predicted work life harmonization for employees. In short,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ulture has an influence on the work life harmonization of Korean employees. I would like emphasize organizational culture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for work life harmonization.;본 연구는 근로자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직업적 변인, 일지향성, 일 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해 주고자 하는 조직문화 수준이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근로자가 지각하는 일 지향성, 일 스트레스,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해 주고자 하는 직장의 조직문화 수준과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 수준이 사회 인구학적 변인 및 직업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관련 변인들이 일과 삶의 조화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로 유의 표집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변수의 측정을 위해 개인이 일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인 일 지향성, 일로 인해 받게 되는 스트레스 수준,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해 주고자하는 직장의 조직 문화 수준,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직업적 변인에 따라 근로자가 지각하는 일 지향성, 일 스트레스,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해 주고자 하는 직장의 조직문화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일 지향성의 차이는 없었으며, 직업적 변인에서는 직종과 직급에 따라 근로자의 일 지향성에 차이가 있었다. 직급 중에 부장 및 임원집단의 일 지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직급의 집단들과 비교하여 큰 평균차이를 나타냈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직업적 변인에 따라 근로자가 지각하는 일 스트레스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서는 성별. 학력. 소득이, 직업적 변인에서는 근무년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일 스트레스의 차이는 직업적 변인보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직업적 변인에 따라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해 주고자 하는 직장의 조직문화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을 때.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서 성별과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남성이 지각하는 조직문화 수준보다 여성이 지각하는 조직문화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0대 보다 20대의 조직문화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직급의 Scheffe test에서 사원 집단은 다른 집단들과 조직문화 수준에 차이가 없었고 부장 및 임원의 조직문화 수준은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직업적 변인에 따라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등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이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직업적 변인은 직종과 직장규모이며, 직종은 전문・기술직보다 판매 및 생산・서비스직의 일과 삶의 조화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직장규모에서는 규모 100인 이상-500인 미만집단보다 100인 미만 집단의 일과 삶의 조화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 및 직업 변인들과 일 지향성, 일 스트레스,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해 주고자 하는 직장의 조직문화 수준이 일과 삶의 조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일 지향성과 일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일과 삶의 조화 수준은 낮아지고, 조직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일과 삶의 조화 수준은 더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 수준이 개인의 성별, 연령, 혼인상태 등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이 아닌 근로자의 일과 삶의 조화를 지원해주고자 하는 직장의 조직문화수준이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조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