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혜림-
dc.creator이혜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12-
dc.description.abstract자화상은 르네상스 시대 이후 많은 작가들에 의해 꾸준히 탐구되어 오고 있는 장르이다. 자화상에는 작가 개인이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으며, 이는 작품인 동시에 한 개인의 이야기이다. 본인은 자화상을 통해 끊임없이 자신을 탐구하며 그 안에는 쌍둥이라는 본인의 정체성 및 자의식이 기반이 되고 있다. 자크 라깡은 자의식이 형성되기 이전의 정신적 상태를 거울을 통하여 풀어낸다. 그에 따르면 생후 6~18개월의 아기는 처음에는 거울에 비친 모습과 실제를 혼동하다가 차차 그것이 허구의 이미지라는 것, 그리고 자신의 이미지와 타인의 이미지가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거울로 보는 이미지는 하나의 총체적인 존재로서의 자신이며, 이 단계를 거치면서 주체성과 자아라는 개념을 가지게 된다는 것인데 본인과 같은 쌍둥이의 경우는 이 경험이 조금 더 복잡할 수 있다. 자신과 동일한 이미지를 가진 또 하나의 인물이 가장 가까이에 있기 때문이다. 실제의 나, 거울 속 나, 실제의 쌍둥이 자매, 거울 속 쌍둥이 자매가 모두 동일한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이미지와 타인의 이미지가 다르다는 것을 깨닫는 여느 사람들과는 달리, 쌍둥이는 거울에 비친 상과 실제를 구별할 수 있을 만큼 성숙한 이후에도 여전히 자신의 이미지를 하고 있는 타인을 마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특수한 상황에서 형성된 자의식으로 인해 쌍둥이는 자신의 모습과 정체성에 대한 보다 깊은 고민과 성찰을 가지게 된다. 본인의 작업은 바로 그러한 쌍둥이의 자의식과 연관이 있다. 본인의 작업은 거울에 비치는 자신의 모습을 다각도에서 관찰하고 그 순간을 고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탄생한다. 거울에 투명한 비닐을 붙이고 마치 트레싱지로 라인을 베끼듯이 거울에 비친 모습을 거울 위에 그대로 선으로 따라 그린다. 보는 주체와 보여지는 대상물, 그리고 그려진 작품은 동일한 표면에서 서로 만나게 되는 것이다. 본인은 거울 앞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여가면서 여러 표정과 포즈를 취하며 본인의 손은 마치 잃어버린 형상을 더듬어 찾듯이 이를 한 화면에 옮겨 놓는다. 동일한 인물이 반복적으로 등장함으로써 화면 안에는 시간성이 개입되며, 한 화면 안에 누적된 시간은 마치 기억 속 잔상과 같은 이미지를 남긴다. 본인은 ‘배면채색’이라는 생소한 방법을 취한다. 투명한 비닐 위에 그려진 드로잉을 가리지 않기 위해 비닐 뒷면에 채색을 하는 것이다. 물감이 흡수되지 않는 비닐의 성질로 인해 색상은 중첩이 아닌 한 번의 붓터치로 만들어지며, 물감이 건조되면 긁어내지 않는 이상 수정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은 물감이 마르기 전 빠른 동작으로 순식간에 이루어진다. 마치 인상파 화가들의 제스쳐와 같이 신속하게 전체 느낌을 잡아내는 것이다. 그러나 즉흥적인 감흥에 의해 작업한 그들과는 달리, 본인의 작업은 철저한 계산과 순차에 의거한다. 일반적인 페인팅의 경우 먼저 칠해진 색이 아래에 깔리고 나중에 채색한 것이 표면에 보이는 게 당연하다. 그러나 투명한 비닐 뒷면에 그림을 그리는 이 작업에서는 가장 먼저 칠해진 부분, 즉 투명한 비닐 면에 맞닿아있는 색이 표면에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작가는 세밀한 고려와 계산을 바탕으로, 채색의 가장 마지막 단계부터 시작하여 반대로 과정을 밟아나간다. 작품의 시작부터 굵고 강한 선으로 형태를 잡아주는 드로잉선과 이를 바탕으로 한 채색과정은 펜터치를 한 후 채색에 들어가는데 이는 애니메이션 원화의 기법을 연상시키며 작품의 이미지를 평면적으로 만드는 데에 기여한다. 화면 속 이미지는 한 개인이자 작가로서 현재를 살아가는 자신을 담고 있다. 자신의 모습을 관찰하면서 포즈를 취하고 이미지로 남겨지기 위해 멈춰있는 그 이미지는 셀프카메라를 즐기는 한국 젊은 층의 문화와도 닮아있다. 이 이미지는 특유의 가벼움을 전제로 한다. 정교하게 짜여진 구성, 주의 깊게 선택된 배경과 포즈를 젖혀놓고, 무심하고 가볍게 이미지를 화면에 담는다. 마치 기분 내키는 대로 카메라 셔터를 눌러대듯 이 각도 저 각도에서 반복해서 드로잉을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이다.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누구와 있는지는 잠시 잊고 그 때만큼은 나만의 공간에서 나만을 주목하게 된다. 거기에는 자신을 보여주고자 하는 욕구, 그리고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담겨있다. 다른 사람 앞에서는 짓기 어려운 표정과 제스처로, 그러나 깊은 고뇌와 성찰이 아닌 신세대 특유의 가벼움과 유머로써 이미지들을 가지고 노는 것이다. 그림 속의 본인은 모두 한쪽 눈을 감고 있다. 두 눈을 뜨면 상이 두 개로 맺히기 때문에 굳이 한 눈을 감아야 자신의 모습을 옮겨낼 수 있는 것처럼, 자기를 찾으려 애쓰는 모습이 이런 게 아닐까? 쌍둥이 언니를 보고 있는 한 눈을 잠시 감아야 제대로 볼 수 있는 자신의 모습. 그러나 눈을 감는 것은 잠시일 뿐, 결국 우리는 두 눈을 가지고 세상을 살아간다. 본인에게 ‘나’라는 자아탐구는 결국 자신을 찾기 위해 애쓰는 행위임과 동시에 누구보다도 사랑하고 이해하는 작가 자신을 성찰하고 찾아가는 작업과정의 근간이 된다. 본인의 작업은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또한 각각의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현대의 수많은 자아들로 확장되며 보다 공적인 영역에서 소통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A self-portrait is a genre, which a lot of artists have constantly been exploring since the Renaissance era. The artists have expressed themselves for a long time in various ways by drawing the self-portrait,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only a piece of work but also a story, showing their lives. I have been trying to find my self-consciousness by drawing he self-portrait, and the reason is based on my identity as a twin. Thus, this thesis is presenting my self-consciousness with pieces of my work regarding the self-portrait, and various ways to approach to figure out with them. According to Jacques Lacan, a mental condition of human beings can be established by looking at themselves reflecting in the mirror before the self-consciousness is formed. In his theory, babies aged around 6 to 18 months are confusing themselves with 'another 'themselves in the mirror at the early stage. However, they are getting to perceive themselves from 'another' themselves in the mirror as well as others after the stage, and they are able to figure out others' existences from them. In other words, babies can recognize themselves in the mirror as 'another' themselves after the stage, and they can identify themselves and find out their self-consciousness in accordance with a certain time order. However, twins are likely to take different steps to identify themselves from others, and this process could be more complicated than usual as they can find 'another' themselves even in the real world not just in the mirror. Twins can see four different identities showing themselves, which are a twin (himself/herself), a twin in the mirror, a twin sibling and a twin sibling in the mirror. Different from others who perceived themselves from others in the age of 6 to 18 months, twins confront their twin sibling who has similar or same image all the time, even after they become adolescent. Thus, it is not as easy for twins to figure out their identity, and this leads them to go through a longer and more complicated way to build up their self-consciousness. As a twin, my thesis is strongly related to my self-consciousness. I observed myself in the mirror from various angles, and my pieces of work were born based on the moments that I observed. For this, I put transparent vinyl onto the mirror and outlined shape of myself in the mirror as if drawing on a piece of oilpaper so that an observer, a person observed and model in the piece of work were identical. I stroke different poses with various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and I accordingly outlined myself at the moment on the transparent vinyl at the same time. As an identical person was repeatedly appeared in the piece of work, it was completed in line with a certain time frame, which means that it showed afterimages in memories via the time frame. The Piece of work was done by painting in colors in unique orders. After I outlined shape of myself, I started painting on the backside of the transparent vinyl. Due to a property of the vinyl that cat not absorb paints, a color can not be piled on another color. Accordingly, painting colors should be done rapidly before the painting was dried as retouching is not possible unless removing all colors. This may sound similar to the impressionists' work as they captured the moments on a canvas promptly. However, different from the impressionists' work initiated by their prompt feelings, my work was taken step by step with thorough estimations regarding orders in a workflow. In other words, a basic color is painted on a canvas at first, and other colors are added onto the basic color normally so as to complete the painting. But painting on the transparent vinyl is totally different. In detail, the first color, painted on the backside of the transparent vinyl, appealed on the front when people view the piece of work. Consequently, I took steps in a reverse way based on thorough consideration and workflow from the first step to the final step, and this process was similar to drawing comic pictures since both starts from drawing the outline and adding colors based on the outline in orders. As well this technique help images to be looked flat. Images on pictures presented myself as an artist as well as an individual living in the present time. By observing, posing and drawing myself, various images could be left on pictures, and this work is also related with current culture of new generation due to a similarity with a self-camera phenomenon nowadays. Moreover, these images were formed on a basis of bright and cheerful characteristics. Without any consideration in terms of artificial formation, background or poses, the most natural poses were shown as images. As if taking photos from different angles, I posed myself and drew the outline from different angels repeatedly. In doing this, the most important theme is me, myself. It is required to focus on myself in a certain space and nothing else, and this work can be explained as a desire to show and express myself to the world. With various facial expression, gesture and body language, I represented myself simply and humorously, not taking into account any serious consideration and examination regarding circumstances around me. I, in all pieces of work, closed one eye, and the reason is clear. It can be explained that we have to close one eye in order to draw the outline of something and/or someone reflecting on the mirror, and two shapes in the mirror will confuse drawers in outlining it otherwise. In addition, it can be further explained as a way to figure out myself with a huge attention. Although I see this world with both eyes like others, I can clearly figure out my existence by gazing at myself with only one eye as far as there is my twin sibling who confused me regarding a way to find out my identity in the end. It has been a long way to find out my identity and there is still another long way to go to build up my self-consciousness. These pieces of work also included my effort to discover myself by pursuing my images reflecting on the mirror, who I have been trying to figure out and who I have loved most. This work may seem done in very personal and individual aspect since it only showed my images reflecting on the mirror. However, as people live in different ways, all of them have their own story in their lives. Thus, I believe this work can give a sort of inspiration to others in finding out themselves in a modern society, and it can help them to communicate with others by figuring out their identity as the first ste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자의식의 발현 = 4 A. 거울보기 = 4 1. 거울의 기능 = 5 a. 거울, 자의식에 관한 물음 - 초월적 자각능력 = 5 b. 미메시스 = 7 c. 거울, 자아분열과 정체성 위협의 장 = 9 2. 거울 : 반영으로의 이미지 - 진실과 허상의 반영 = 11 B. 거울을 통한 분신의 의미 = 15 1. 존재의 이중성과 자아분열 = 15 2. 분신(double gore:도플갱어)에 대한 개념 규정 = 16 C. 나르시시즘 = 18 Ⅲ. 유희를 통한 자의식의 표출 = 21 A. 자아표현 = 21 1. 자화상의 제작 = 24 2. 자화상 = 25 B. 디지털 시대의 자아개념 표현 = 28 1. 디지털시대의 자화상 = 28 2. 유희를 통한 작업, 놀이로서의 예술 = 30 3. 퍼블리즘(publizem) - 인터넷에 나타난 나르시시즘 = 32 Ⅳ. 작품 설명 = 34 A. 자전적 작업 = 34 B. 거울을 통한 비닐 드로잉 = 36 C. 응시와 연출된 표정 = 41 Ⅴ. 결론 = 56 참고문헌 = 58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983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거울메타포를 통한 자의식의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ression of self consciousness by a mirror metaphor-
dc.creator.othernameLee, Hae Lim-
dc.format.pagevi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