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전업주부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가 전업주부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전업주부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가 전업주부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Housewife’s Recognition to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of One’s Spous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usewife based on The Family Life Cycle
Authors
박주혜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goal of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housewife’s recognition to the balance of spouse’s work with lif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usewife based on the family life cycle. For this, we checked the value of housewife to the work of one’s spouse in detail and examined the level of balance between spouse’s work and life recognized by the one’s housewife. Finally, we also examined the relative effects of variables which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housewife. The research subjects are 345 housewives who live in Seoul or capital region and whose spouses are salaried workers. We used a written inquiry for measurement and measured the value of housewives to their spouses’ quality of lifes, the level of balance between spouses’works and lives recognized by housewives, and the quality of life of housewive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The summary of result of the research is following: First, when we reviewed the value of housewife’s to work of one’s spouse, the highest portion of result is that the work of spouse is important for the household economy, while the lowest portion of result is that the work of spouse is the part of self accomplishment for spouse’s accomplishing goal of oneself. In the family life cycle, the individual feature of housewif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housewives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level of education institute have more significance in the response that the work of spouse is important for self accomplishment and development of society than the housewives graduated from high school or lower level of education institute do. In addition, there is a trend in which housewives who have higher income level have the higher recognition to that the work of spouse is important for spouse’s accomplishing goal and self accomplishment. When we considered the feature of spouse’s occupational feature, such as a class and type of occupation, and whether operating five-day work week or not, only a call of occupation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nd it is indicated that the housewives whose spouses’ occupation type is a professional or technical work have more significance in that the work of spouse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an the housewives whose spouses’occupation type is sales, manufacturing, and service have. As a result, it is demonstrated that the value of the spouse’s work recognized by one’s housewife can be different by the level of education, income, and type of occupation of housewife. Second, in the level of balance of the work of spouse and each other sections recognized by housewife, the balance of the work with family has the highest portion, and the next is the balance of the work with social activities, the work and leisure, and the work and self-developing in the order. In terms of individual features of housewife, such as the family life cycle, and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the group of housewives whose children attend middle, high school student, or college, or not attend school have more recognition to the balance of work with family and the balance of work with leisure than the group of housewives who do not have a child. In terms of the occupational features of spouses, housewives whose spouses’level of occupation is a clerk or deputy of manager have a more significance in the balance of work with family than the housewives whose spouses’ level of occupation is a manager of division or department have. Moreover, the group of housewives whose spouses’ work places operates five-days work week have more significance in the balance of work with family, work with self development, and the work with social activities than the group of housewives whose spouses’work places does not operate five-days work week have. Based on this fact, we can infer that the level of harmony of spouse’s work with each section recognized by housewife is affected by the family life cycle (individual feature of housewife), the class of occupation and five-days work week (both are the occupational features of spouse). Third, the higher education housewife took and the more recognition one has to the balance of work with life, the higher subjective quality of life housewife can have. The research has dealt with the balance of spouse’s work with life recognized by housewife by extending existing research of the balance of employees’ work and life to the housewives whose spouses are employees.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 which only reviewed the housewife’s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demographic features, this research included the occupational features of spouse. Furthermore, the research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balance of spouse’s work and life recognized by housewife based on the occupational features of spouse and has an importance that the research identified the effect of level of balance of spouse’s work with life recognized by housewife on the quality of housewife.;본 연구는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전업주부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가 전업주부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배우자의 일에 대한 전업주부의 가치관을 파악하였고, 전업주부가 지각한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 수준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전업주부의 삶의 질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며, 배우자가 직장을 다니며 봉급생활자인 전업주부 3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질문지로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배우자의 일에 대한 전업주부의 가치관 태도 척도, 전업주부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 척도, 전업주부의 삶의 질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의 일에 대한 전업주부의 가치관을 살펴보았을 때, 배우자의 일은 가정경제를 위해 중요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배우자의 일은 배우자 개인의 목표성취를 위한 배우자 개인의 자아 성취적인 부분이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업주부의 개인적 특성인 가족생활주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졸이상 전업주부가 고졸이하 전업주부보다 배우자 개인의 목표 성취를 위한 개인의 자아 성취적 부분과 배우자의 일은 사회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는 부분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전업주부는 배우자의 일이 배우자 개인의 목표성취·자아성취적인 부분으로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의 직업적 특성인 직급, 직종, 주5일 근무제 실시 여부에 따라서는 직종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배우자의 직종이 전문·기술직인 전업주부는 판매·생산·서비스직의 종사하는 배우자를 둔 전업주부보다 배우자의 일이 사회발전을 위해 중요하다고 나타냈다. 이렇게 전업주부의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 배우자의 직종에 따라 전업주부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일에 대한 전업주부의 가치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전업주부가 지각한 배우자의 일과 각 영역의 조화수준에서는 일과 가족의 조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일과 사회활동의 조화, 일과 여가의 조화 그리고 일과 자기개발의 조화 순으로 나타났다. 전업주부의 개인적 특성-가족생활주기,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는 가족생활주기에서 중·고등학생, 미취학자녀, 대학생(성인)이상의 자녀를 둔 전업주부 집단이 자녀가 없는 전업주부보다 배우자의 일과 가족의 조화와 일과 여가의 조화를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배우자의 직업적 특성에 따라서는 배우자의 직급이 사원·대리급인 전업주부가 배우자의 직급이 과장·부장급인 전업주부보다 배우자의 일과 가족의 조화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배우자의 직장이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하는 전업주부 집단이 배우자의 일과 가족의 조화, 일과 자기개발의 조화, 일과 사회활동의 조화를 배우자의 직장이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하지 않는 전업주부 집단보다 높게 나타냈다. 이를 통해 전업주부가 지각한 배우자의 일과 각 영역의 조화 수준은 전업주부의 개인적인 특성인 가족생활주기와 배우자의 직업적 특성인 직급과 주 5일 근무제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전업주부의 주관적 삶의 질은 전업주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전업주부가 배우자의 일과 삶이 조화를 이룬다고 지각할수록 전업주부의 주관적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직장인의 일과 삶의 조화에 관한 연구에서 직장인을 배우자로 둔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확대하여 전업주부가 지각한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를 연구하였다. 기존 연구는 전업주부의 삶의 질을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서만 본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의 직업적 특성까지 포함시켜서 제시하였다. 또한 전업주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배우자의 직업적 특성에 따라 전업주부가 지각한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수준의 차이를 비교 연구했으며, 전업주부가 지각한 배우자의 일과 삶의 조화 수준이 전업주부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