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진자-
dc.creator최진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0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023-
dc.description.abstract변화의 패러다임에 놓여있는 현대사회에서 미래를 이끌어갈 학생들을 교육하는 학교의 교육력은 학교장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사회는 학교장의 전문성과 지도력의 토대 위에 단위 학교 중심의 자율적인 경영으로 교육력을 높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장은 학교 현장의 지도자로서 긍정적인 학교문화를 창조하여 조직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조직의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꾀하는 한편 평가를 통해 결과물을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인적, 물적 자원 활용의 최대화를 도모하여 학교교육의 목표 달성에 도달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장의 지도력이 학교 교육의 성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정아래 출발한다. 이것은 학교 교육의 성공적인 성과를 위해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며, 교사들의 직무만족도가 학교장의 지도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변화의 시대에 우리나라 중학교 현장에서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고, 중학교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이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학교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의 배경변인(학교 설립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둘째, 중학교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장의 개인 변인(교장성별, 경력, 전공과목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셋째, 중학교 조직에서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교사의 배경 변인 (학교 설립별, 교사 성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 교직단체 가입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넷째, 중학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배경요인(학교 설립별, 교사 성별, 교직 경력별, 직위별, 교직단체 가입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다섯째,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직무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를 통하여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직무 만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 행동 측정을 위해서는 1996년 노종희에 의해 개발된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성 행동의 진단목록’을 지표로 하였으며 중학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서는 김창걸의 측정도구(1983)를 지표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무선 표집 된 서울시내 현직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통계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설립에 따른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학교장의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력에 따라서는 교사들은 3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중학교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그다음이 20년 미만 경력의 교장, 20~24년 경력을 가진 교장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25년~29년 경력을 가진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중학교 교장의 전공과목에 따른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차이는 전공과목이 윤리인 경우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는 미술, 국어, 과학, 가정, 사회, 영어, 기술 및 상업, 수학 과목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정도를 교사들의 배경원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내지 않았다. 경력에 따른 차이에서는 2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고 그 다음으로 7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교사, 8년~14년, 15년~21년 경력을 가진 교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장교사가 평교사에 비해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을 크게 인식하였으며 노조가입여부에 따른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내지 않았다. 넷째, 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로는 설립별로 국·공립학교와 사립학교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차이에서는 2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의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7년 미만과 8년~14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각각 그 다음 순이었고 15년~21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에 따른 차이와 노조가입여부에 따른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 행동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변인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변혁 지향적 지도력은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인간존중, 지적자극, 높은 성과기대, 목표수용, 솔선수범, 학교 문화 창조, 집단참여 허용 등의 영역에서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일곱째,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변혁 지향적 지도력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도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변혁 지향적 지도력의 하위요인인 교직관, 행정적 지원, 교육과정운영, 인간관계, 인사관리, 유인체제와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중학교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정리하면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은 교사들의 직무만족을 증진시켜 학교의 교육력을 제고함으로써 바람직한 교육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학교장은 학교조직에서 추구해야 할 명확한 학교의 비전을 설정해야 하고 이의 실천을 위해 교사를 포함한 학교조직과 공유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매사에 솔선수범하는 바람직한 학교장의 모습을 정립하고 바람직한 학교문화를 창출하려는 부단한 노력을 함으로써 교사의 직무만족도 증진을 통한 바람직한 학교 교육 목표 달성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In this modern society where the paradigm chang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a school which educates potential leaders of this society are largely affected by a principal. The society requires autonomous school management by unit schools based on principal's professionalism and leadership. The principal should create favorable school culture so that it can motivate the members of the school. Also, the principal should present the vision of an organiz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grams. Furthermore, the objectives of school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evaluation of outcomes with making the most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a principal's leadership is crucial to the effects of school education. This means that a teacher's role is important and their job satisfaction is related to the principal's lead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how teachers are aware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 middle school in Korea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 middl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o that the effective ways of school education can be found. Noh Jong Hee's 'Examining Lis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1996) was used for measuri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Kim Chang Gul's measuring instrument (1983) was used for examining the middle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to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Korea.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 not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establishment of schools(whether a school has been established as nationally, publically or privately).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a principal's individual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principal's gender. Also, depending on principal's career, teachers found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highest for principals who have more than 30 years' career followed by principals who have less than 20 years' career and then, 20 to 24 years' career. And principals who have 25 to 29 years' career ranked the lowest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ncipal's major, principals who taught ethic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fine arts, Korean, science, home economics, social studies, English, technology and business, and math. Third, this study searche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gender. As the career changes, teachers who have more than 22 years' career found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teachers' with less than 7 years' experience and 8 to 14 years' career. Teachers between 15 to 21 years of experience ranked the lowest. According to teachers' position, chief teachers notice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re than that of general teacher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depending on whether teachers have joined the teachers' labor union. Fourth, th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whether a school has been established as nationally, publically or privately) and genders, either.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teachers who have more than 22 years' career found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teachers' with less than 7 years' experience and 8 to 14 years' career respectively. Teachers between 15 to 21 years of experience ranked the lowest. According to teachers' position, chief teachers notice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re than that of general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s and joining of teachers' union. Fifth, the study showed that a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are highly co-related with teacher's job satisfaction. Six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were highly co-related.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re humanism, intellectual stimulation, highly expected outcome, acceptance of objectives, taking the initiative and setting an example, creation of school culture and allowing the group participation. Seventh,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also highly co-related. Sub-variab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are education perspectives, providing administrative supports, curriculum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inducing systems. In conclusion, desirable educational outcomes will be come out by increas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is satisfaction can be achieved by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the study showed, a principal should set a school vision which will be pursued by an organization. Also, the principal should make an effort to share the visions with other teachers and school organization. Moreover, a principal ought to take the initiative and set an example of a good leader and make constant efforts to create favorable school culture. Through these efforts, teacher's job satisfaction would be increased and finally, the desirable school objectives will be accomplish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4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변혁 지향적 지도력 = 7 1. 변혁 지향적 지도력 이론의 형성 배경 = 7 2. 변혁 지향적 지도력 이론 = 10 3. 변혁 지향적 지도력의 측정 요인 = 16 B. 직무 만족도 = 21 1. 직무 만족의 개념 = 21 2. 직무만족의 중요성 및 형성 과정 = 22 3.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3 4. 학교조직과 직무만족 = 24 5. 직무만족도 측정요인 = 29 C.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33 Ⅲ. 연구방법 = 36 A. 연구 문제와 연구 모형 = 36 1. 연구문제 = 36 2. 연구 모형 = 37 3. 연구 절차 = 37 B. 연구 대상 = 39 1. 교사의 특성 = 39 2. 학교장의 특성 = 40 C. 조사 도구 및 분석 방법 = 42 1. 조사지 문항의 구성 = 42 2.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 행동진단목록 = 43 3. 교사의 직무만족도 척도 = 45 4. 자료 분석 = 4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48 A. 배경변인에 따른 중학교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 = 48 1. 학교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 = 48 2. 학교장의 개인 변인에 따른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 = 49 3.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차이 = 50 B.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직무 만족도 = 53 1. 교사의 배경요인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 53 2.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 55 C.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 56 1.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직무만족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 = 56 2.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변혁 지향적 지도력 하위요인과의 상관관계 = 57 Ⅴ. 결론 및 제언 = 59 A. 요약 및 결론 = 59 B. 논의 및 제언 = 64 참고문헌 = 68 부록1. 학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 측정을 위한 질문지 = 72 부록2. 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을 위한 질문지 = 75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05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교장의 변혁 지향적 지도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a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Choi, Jin Ja-
dc.format.pagex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