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3 Download: 0

일상(日常)을 통한 도자조형 연구

Title
일상(日常)을 통한 도자조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Human Daily Life as a Creative Idea in Ceramic Art
Authors
박수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작가는 눈에 보여 지는 현실의 세계에서 또 다른 세계를 본다. 일상은 자신의 삶이 진행 되고 있는 현실의 세계이다. 지나간 일상은 과거라는 이름으로 현재의 일상과 만나고 앞으로 맞이할 미래에 영향을 미친다. 그 자체로 연속성을 가지며, 살아있는 ‘역사’라 할 수 있다. 미술이 동시대의 사회와 역사를 반영 한다고 볼 때 일상은 그 시대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 예술가에 있어서 창조적인 새로운 매개체가 된다. 이 시대의 예술을 정의 내리기란 쉽지 않다. 예술의 창조가 어느 한 곳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생활로 모든 표현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예술의 다원주의적 시대가 시작되면서, 오늘날의 예술은 이제 “모든 것이 예술”이 되거나, “모든 것이 예술이 아닌” 시대가 되었다. 서구에서 ‘미술’ 개념이 출현한 이래 1960년대 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의 미술사를 진보적인 거대 내러티브(great narrative)로 본다면 그 내러티브를 구현하려고 했던 예술의 시기 는 끝이 나고, 작품들은 각각의 삶의 형식에 따라 다양한 개별 내러티브를 지니고 그것에 정당성을 부여하면 된다. 즉, 오늘날의 예술은 예술의 가치나 기준이 형식 자체에 내재 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형식을 통하여 ‘무엇을’ 드러내느냐에 집중된다. 본 연구는 예전과는 달라진 미술의 정의를 이해하고 동시대성을 가진 미술을 구현하고자 함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자가 살아가면서 만나는 여러 일상적인 사건들과 소재를 가지고 서술적 이야기를 통하여 도자조형화 함으로써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와 역사에 생각할 거리를 감상자에게 제공해 주고자 함이다. 현 시대를 반영한 작품을 제작하여 일상의 모습을 통해 사회적 쟁점을 던지고 일상 속에서 무심히 지나쳐버린 ‘주변’을 드러내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현대미술 속 포스트모더니즘 양상을 조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진행방향과 정당성을 찾았다. 또한 현대미술과 일상과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정립하여 오늘날 일상이 현대미술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일상을 표현한 작품 사례를 살펴보고 본 연구에 참고 하였다. 표현내용은 본 연구자가 살아오면서 보고 듣고 겪은 경험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무심히 지나쳤던 일상적 단면들 혹은 일상적 사물들을 환기시키고 서술적인이야기 구조로 진행 하였다. <작품1-2>는 과거와는 달라진 여성의 일상을 통해 현대사회에서의 여성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작품3-4>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달라진 현대사회의 문화를 재조명하였으며, <작품5-6> 바쁜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휴식의 의미를 본 연구자의 일상을 통해 새로 정의해 보았다. <작품7-9>는 현대사회 속에 주체성을 상실한 현대인의 모습을 패러디와 풍자를 통해 표현하였고, <작품10>은 일상 속 사물을 자신에 비유해 정체성을 찾고자함을 나타내었다. 작품의 제작은 형태에 따라서 자유로운 형태제작이 용이한 코일링 기법과 부분적으로 판 성형 기법을 병행하였다. 작품제작에 사용된 태토는 다른 점토에 비해 자유로운 제작이 가능하고 건조할 때 뒤틀림이 적고 소성할 때의 용이함 등의 장점을 가진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다. 기물의 표면장식은 유약을 사용하지 않고 테라 시질라타(Terra Sigillata)에 색 안료(Johnson Matthey, England)를 섞어 사용하였다. 현대미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주제와 표현의 한계가 사라진 장점과 동시에 기준이 없는 모호한 가운데 앞으로 미술을 개척해 나아가야할 과제를 지니고 있으며 이제 현 시대의 미술은 미적인 것뿐만 아니라 교육적 가치, 정신적 가치, 상업적 가치, 역사 이해의 가치, 정치적 가치 등의 비미적(非美的)기능으로 확대되었음을 알았다. 이제 작가는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 감상자로 하여금 생각의 장을 열어줄 문제를 안겨 주어야 함을 알았다. 이 같은 예술의 다원주의 시기에서 시대정신이 반영된 ‘일상’을 통한 자아성찰과 사회비판은 필연적임을 알았다. 현실의 모습에서 예술로 옮겨진 일상은 본래의 의미가 아닌 제2의 의미의 감정을 깨닫게 하는 가치를 전달해 주며 동시대를 살아가는 감상자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감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해줌을 알았다. 앞으로 사회적 기호로서의 미술이 일상을 통해 폭넓게 표현되길 기대한다.;An artist is able to intuition another world from the realistic world that one lives in. Daily life to an artist is a source of creative inspiration because one's life is established there within one's own reality. The life that has passed is referred to as the past and it meets with the present to form the future. Through this process our lives are repeated and we refer to this as 'history'. If art reflects on social and historical changes of current times, daily life is an important key to reading the period. Therefore what is current art? What is contemporary art? And what is the role of contemporary artists living in these current times? To define the art of the present is not easy. Creativity in art today lies not singularly in one area or one style, but it is expanding its boundaries beyond the realm of art. Today, because we are living in a period of pluralism,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everything by stating that "everything is art" and "everything is not art". The period of expressing great narrative has ended and we are entering to a diverse realm of individual narrative expressions. In other words, art or its value is no longer embedded in form itself rather artists are focusing to portray 'something' through various different forms. The study attempts to observe the conception of daily life in art. This is understood together with the notion of pluralism and how artworks should reflect upon this current phenomenon.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press different incidents that occur in the artist's daily life. The work is made in clay to depict the social aspects of these current times in order to think about the progressions in history. The study is interested in observing the 'surroundings' that we often pass by without giving much thought. It is making a depiction of scenes in reality and focusing on each one, for viewers to think and observe. For background research, theories and conceptions on post-modern art were examined. Furthermore, it looked at works of artists focusing on daily life and narrative expressions. the female gender position in today's society is depicted. It is looking at how women have changed from the past. recreates cultural changes taking place today. the notion of resting for the busy contemporary people is revised. are parodies and criticisms on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people. objects are compared to living human beings as their identity. The works have been made using the coiling and slab-building techniques in ceramics. Due to the fact that the works require much plasticity, stoneware clay body was used. For surface decoration, color stains and terra sigillata were applied. Terra sigillata was applied before biscuit firing. Then it was re-applied after biscuit firing. The method allowed two colors to appear on the surface. Mangan deoxide was applied to some pieces after biscuit firing. This was painted partially and then wiped off in areas. Depending on the work, mangan deoxide was applied together with color stains after biscuit firing. The firings were conducted in a 1.5㎥ and 0.3㎥ gas kilns. The first firing reached a temperature of 800℃ in 8 hours. The temperatures for the second firing differ because of the different color stains and terra sigillata applications. were fired in a 1.5㎥ gas kiln to 1280℃. The firing continued for 9 hours in a oxidation Firing. were fired in a 0.3㎥ gas kiln to 1200℃. This took 12 hours in an oxidation Firing. fired also in a 0.3㎥ gas kiln, reaching 1150℃ in 12 hours. This was an oxidation firing. for emphasis on color, they were fired in a 0.3㎥ gas kiln to 1200℃ in 10 hours. This was a third firing. The new paradigm in art is to find new paths in contemporary art. We no longer live in a period where there is a fixed notion on subject matter or even on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t. Today, when we think of art we cannot only think about aestheticism alone. We also have to include the non-aesthetical qualities. We have to think about educational purposes, mental values, commercial qualities, historical understandings, political statements and so 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art has expanded into a wider realm. Furthermore, the artist must open new doors for the observer, using the artist's own voice. The 'daily life' that reflects upon the mentality of the time combines self-examination and social criticism as a necessity. It is not simply about depicting daily reality but we must observe to study the secondary meaning embedded in our daily reality. The study hopes for art to be expressed in many different methods using social incidents as the main source of inspi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