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1 Download: 0

매체 변용을 통한 사물의 은유적 표현연구

Title
매체 변용을 통한 사물의 은유적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etaphoric Expressions of Objects through Media Change
Authors
양주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hile living a daily life in the present time, people retrospect their past and make a plan of their future, through which they make their subjective self and build up the sense of values. The thoughts of the daily life can be expressed out through past memories. Many of daily memories have motivated artists to express something. The objects that are closely connected in individually accumulated memories become the origin of the mental ideology, and they are the transformed aspects of the memories and daily episodes. This researcher intends to re-interpret the objects, which are symbolically remembered by the surroundings, into sculptures having artistic values through visual expressions. In order to make metaphoric expressions by examining human beings' memories, which induce human beings to internally reflect themselves, and by drawing the objects, which become the symbols in memories, into the works of formative arts, this paper was progressed on the basis of a philological study.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d the concept of lines that speak for the shape of thin wires used as a expressing medium, and it also investigated the shapes of nature and artistic works that are made through lines. Through this process, it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works of formative arts that are expressed in lines. For the expression of the shapes suitable for the topic, this researcher extracted particular objects from the personal memories that have been accumulated from childhood to the adult age. Centering on the objects that have been specially recognized in the researcher's space and living, this paper intended to understand the objects as metaphoric and symbolical objects beyond their intrinsic meanings, and then, to make formative expressions. The modern textile art has been positioned as an area of the arts having the unlimited possibility of expressions, not restricted to the existing traditional techniques or materials. Therefore, the expression range through various media has been more extended, which has broken down a genre or its boundary. In the textile art, unlike other formative arts,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re emphasized because of the visuality and the tactile sense of the material feeling of textiles so the study of materials should be made first. For the three-dimensional formative expression of the works, thin wires were made into springs which are elastic and strong. And unit shapes which have the similar structure with that of lace were proposed to express flexibility, elasticity, and resilience of textiles, through which the researcher's unique and original expressive shapes could be drawn out. The works proposed in this paper revived the objects in memories by giving vital power to them and by repetitively arranging them in a row. And the objects were born into independent and extensive shapes. In that the memories can be developed into the works of pure formative arts, this paper is meaningful.;사람들은 일상을 살아가는데 있어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살아가며 미래를 계획함으로서 주체적 자아를 형성해나가고 가치관을 확립해 나간다. 이런 일상에 대한 생각들은 과거의 기억을 통해 표면으로 표출될 수 있다. 예술가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일상적인 많은 기억들이 표현의 동기를 부여해주는 소재를 제공해왔다. 개인적으로 집적해온 기억들 속에 긴밀하게 연관되는 사물들은 정신적 관념의 원천이 되고 기억 속 상황과 일화들의 변형된 모습이라고도 하겠다. 이에 본 연구자는 주변 환경들로부터 무수한 영향을 받아 상징적으로 기억된 사물의 시각적 표현을 통해 예술적 가치를 가진 조형물로 재해석하여 창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내면적 성찰을 유도하는 인간의 기억에 관한 고찰과 기억속의 상징이 되는 사물을 조형예술 작품 속으로 이끌어내어 은유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문헌연구로 진행하였다. 또한 표현매체로 사용한 지철사(紙鐵絲)의 형을 대변하는 선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선을 통해 구성되어지는 자연과 예술작품 속의 형태를 조사해봄으로서 선으로 표현된 조형작품들과의 상호관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주제에 적합한 형태 표현을 위해 개인적 기억속의 특정 사물을 선택함에 있어 유년시절로부터 성년에 이르기까지 일상을 통해 집적된 기억 중에서 추출하였다. 본 연구자의 공간과 생활 속에서 특별히 인식되어져 온 사물들을 중심으로 사물의 본질적 의미를 넘어서 내면을 은유하고 상징하는 의미의 사물로 보고 조형적 표현을 하고자 하였다. 현대 섬유예술은 더 이상 기존의 전통적 기법이나 재료에 의한 구분에 국한되지 않고 무한한 표현가능성을 지닌 미술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로 인해 다양한 매체 표현의 범위가 점점 더 광범위하게 그 영역을 확장해감으로서 장르를 해체시키기도 하고 그 경계를 넘나들기도 하고 있다. 섬유예술은 타 조형예술 분야에 비해 섬유 질감의 시각성과 촉각성으로 인해 재료에 대한 감성적인 특성이 다른 예술 장르에 비해 강도 높게 다루어지므로 재료에 대한 연구조사가 선행되어야 함은 필연적이었다. 작품의 3차원적 조형표현을 위해 표현재료로는 작품에 긴장감을 부여하고 탄력성 및 견고함을 통한 입체물 표현을 위해 지철사를 코일링하여 스프링으로 제작한 후 섬유의 유연성과 탄력성 및 신축성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레이스의 형태소와 유사한 조직을 가진 단위형태를 제시함으로서 본 연구자가 추구하는 독자적이고 고유한 표현 형식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본 논문에 제시한 작품들은 기억속의 사물들을 단위형태의 반복적 나열이라는 형식을 빌려 독립적이고 확장적인 사물의 형태로 생명력을 불어넣어 기억 속 사물들을 재현함으로서 순수 조형예술 작품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