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선희-
dc.creator정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28-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처용무」와 「봉산탈춤」에 나타난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한국 무용 중에서도 수용계층에 따라 궁중 무용과 민속무용 두 가지를 들고 그 중에서도 향악 정재인 「처용무」와 집단 무용인 「봉산탈춤」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 무용에 나타난 사상과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춤의 분석 요소로는 시간적 요소, 공간적 요소, 그리고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춤의 구성’, ‘무대 공간’, ‘움직임’ 을 중심으로 그에 나타나는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에 관한 연구는 전통춤의 기저라고 여겨온 민속춤을 중심으로 주로 논의되어왔고 그러한 논의에서 추출된 한, 흥, 멋 등의 특성만으로 한국의 전통춤 전체를 설명하려는 경향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궁중정재와 민속춤을 균형 있게 바라봄으로써 한국춤의 사상과 미의식을 진단해보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미의식이란 서양 미학적 관점에서 ‘미적가치의 체험’을 의미하지만 한국의 전통예술과 서양의 예술은 그 개념에 있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서양 미학의 개념이나 방법론을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난점과 한계가 있다고 보고, 서양 미학의 개념에 의존하지 않고 한국춤이 형성된 사상적 배경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한국적 미의식을 추출해 보았다. 이에 따라「처용무」와 「봉산 탈춤」에 나타나는 사상과 미의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처용무」의 진행절차에 따른 춤의 구성에서는 예악사상의 영향에 따른 미선일치의 일원론적 미의식으로서 ‘조화미’를 지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대 공간인 궁궐에 나타난 미의식은 유학 사상을 바탕으로 한 ‘숭고미’로 이는 수직적 위계질서의 유지를 위한 정치적 영향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움직임에서는 음양오행사상의 상생상극의 원리를 바탕으로 갈등보다는 화합을 추구하려한 한국인의 가치체계를 ‘상징미’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다음으로「봉산탈춤」의 구성 및 진행절차에 나타난 주된 미의식은 인간과 신이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예술로써 현세 구복적 신앙을 비는 무속사상의 영향과 이를 바탕으로 한 ‘제의성’을 추론할 수 있었다. 또한 무대공간에 서는 무대와 객석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동체적 ‘축제성’의 미의식이었으며이는 배타와 독신을 넘어서서 크게 하나 되고자 하는 우리민족 고유의 한사상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움직임에 나타난 미의식은 꾸밈없는 멋으로 자연과 합일하고자 하는 풍류사상을 바탕으로 삶의 애환과 한풀이를 넘어서는 ‘신명풀이’의 미의식을 들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한국 전통춤의 미의식의 근원을 탐구하여 앞으로 창조해야 할 한국춤의 전통성을 구축해 나가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한국의 춤 예술의 미의식을 주체적으로 탐구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무용학 연구에 있어서 한국 전통춤의 사상과 미의식에 대한 논의는 이제 시작 단계에 있으며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궁중정재와 민속춤뿐만 아니라 의식무와 신무용에 나타난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을 다각적으로 탐구하고 심도 있게 논의하는 후속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 춤의 뿌리와 원형을 아는 것은 전통의 창조적 계승에 중요하다. 한국춤의 정체성을 찾고 가치를 인식하는 학문적 연구가 바탕이 되어 문화예술의 현장에 실천적으로 활용되었을 때 공연 예술의 상업주의 일변도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이 생겨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무용사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갈 수 있는 한국 춤을 창조하는 데에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고, 한국춤의 가치를 세계 속에 알리는 무용학 연구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예술현장의 춤꾼들이 한국춤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이를 문화예술 창조의 밑거름으로 활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This research is aimed at mainly dealing with the Korean idea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displayed in 「Cheoyoungmu」and 「Bongsan Masked Dance」. This research targeted the two types of dances among the Korean dances according to the adoption class that is, court dance and folk dance. Amongst them, 「Cheoyoungmu」, a Hyangakjeongjae, and 「Bongsan Masked Dance」, a group dance,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through which this research will look into the idea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represented in Korean dances. In addition, as for the analytical factors, an attempt was made at analyzing the idea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displayed mainly in ‘the composition of dances’, ‘stage spaces’ and ‘movements’ of the dance based on its time factor, space factor and movement. As for the research on the Korean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to date, it has been customary to do research on folk danc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a base of traditional dances and generally, there was a lot of tendency to try to explain the whole of the Korean dances using only the characteristics of a regret, excitement, and exhilaration extracted from such discussions.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ed to diagnose the idea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by giving a balanced view Kungjungjeongjae and folk dance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means ‘an experience in aesthetic value’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stern aesthetic value, but this researcher judged that the Korean traditional art and the western counterpart are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oncept. Therefore, there remain difficulty in and limit to applying the concept or methodology of western aesthetics the way it is, so this research deduced the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specific analysis of works by finding out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Korean dance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stead of relying on the concept of western aesthetics. Thu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on 「Cheoyoungmu」 and 「Bongsan Masked Dance」 are as follows: It could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of dances based on the progress procedure for 「Cheoyoungmu」 came to have ‘beauty of harmon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dea of Yeak. In addition, it could be found out that aesthetic consciousness displayed in the court, the stage space, was ‘sublime beauty’ which stemmed from the political influence to maintain the grade of rank and vertical order. Lastly, ‘symbolic beauty’ was the most remarkable aesthetic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the dual cosmic forces and five elements as far as the movement was concerned. Next, as for the main aesthetic consciousness displayed in the composition and progress procedure for 「Bongsan Masked Dance」, the influence of shamanism seeking earthly blessings and ‘ritual nature’ based on this could be inferred. In additi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isplayed in the stage space was the beauty of ‘festive quality’ based on Hanism and the influence of Hanism oriented toward a life of getting joined together could be found. Lastly, the beauty of ‘venting out in exhilaration’ based on refined tastes could be cited a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isplayed in movements. This research can have its meaning in the fact that it made an inquiry into the Korean dance art's aesthetic consciousness subjectively as a theoretical base to establish the traditional nature of the Korean dance which should be created from now on by inquiring into the origin of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When we manage to find the mind of our ancestors toward dances, who manifested the beauty of highly refined harmony, the quality of ritual and ceremony, the sublime beauty of stage spaces, festive quality, and the beauty of symbolism in movements and that of venting out in exhilaration, a real performance art containing a really proper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could be created. Consequently, I hope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in further vitalizing academic researches inquiring into the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dances for the sake of dance studies and also providing base data to dancers on the field of art to create cultures and arts having the Korean ident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방법 및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처용무와 봉산 탈춤의 이해 = 8 B.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에 관한 논의 = 26 Ⅲ. 처용무와 봉산 탈춤에 관한 논의 = 46 A. 「처용무」의 공연 구조 = 46 1. 「처용무」의 구성 = 46 2. 무대 공간의 활용 = 52 3. 움직임 = 56 B. 「봉산 탈춤」의 공연 구조 = 62 1. 춤의 구성 = 62 2. 무대 공간 = 68 3. 움직임 = 70 Ⅳ. 「처용무」와 「봉산 탈춤」에 나타나는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 = 75 A.「처용무」에 나타나는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 = 75 B.「봉산탈춤」에 나타나는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 = 84 Ⅴ. 결론 = 92 참고문헌 = 95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89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처용무」와 「봉산탈춤」에 나타난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Ideas and Consciousness Displayed in「Cheoyongmu」and「Bongsan Masked Dance」-
dc.creator.othernameJUNG, Sun-Hee-
dc.format.pageiv,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