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지-
dc.creator김현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8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815-
dc.description.abstract유희의 사전적 의미는 ‘즐겁게 놀며 장난함’을 뜻한다.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어린아이가 가장 애착을 느끼고 몰두하는 행위를 ‘유희’ ‘놀이’ 라고 하였다. ‘유희’의 본질은 자유로움이다. 순수한 유희적 놀이 속에 참여하는 데는 아무런 의무도 책임도 있을 수 없다. 모든 형태의 문화 속에는 유희적인 놀이라는 요소가 내재 되어 있으며, 예술과 놀이 사이에는 아갈마 (Agalma) 즉, 환희, 기쁨이라는 요소인 유희성이 내재한다. 이러한 유희적 놀이 속에서 자신의 세계를 창조할 때 룰이 아닌 자유를 향한 하나의 몸짓이다. 본인의 연구는 우리가 지나쳐 버린 어릴 적 순수했던 유희적 상상의 감성을 거슬러 올라가 작업을 풀어내고자 하였다. 가장 원초적인 유희적 상상을 통해서 순간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그 속에 독특한 나만의 세계를 창출하여 제약적인 상황에서 벗어나 자신을 치유함과 동시에 자아의 무의식적 욕망을 반영 하였다. 본 논문의 이론적 연구에서는 기억에 의한 유희적인 방법으로 유년 시절의 기억과 유희적인 상상을 통해 나타나는 자유로운 유년기의 심리 와 우리에게 색을 통해 다가오는 기억의 색채 속에 느껴지는 색채의 심리와 연상 작용을 통해 보편적으로 나타난 인간의 감정을 연구 하고자 한다. 또한 예술로서의 유희적인 표현으로 현대 미술에 유희적인 개념을 가지고 작업을 하는 파울클레, 미로, 키스해링, 바스키아, 마르크 샤갈, 장욱진 등의 유희적, 장식적이고 원색적인 작품을 참고하여 다양한 감정표현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적 연구에서는 ‘닦아내기 기법’ 을 통하여 기억의 흔적을 표현하였는데 먹을 3번에서 4번 바른 후 아교포수와 호분을 10번 이상 겹쳐 바르고 물과 아교를 적절한 비율로 섞어 붓으로 닦아내어 기억 흔적을 나타내고 그 속에 시간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즉흥적인 드로잉을 통해 본인의 느낌을 표출 하였다. 색채의 장식적인 표현은 수간채색의 기본적인 기법을 바탕으로 동양화 물감, 크레용, 오일 파스텔 등을 사용하여 유희적인 감정의 색의 조화를 표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희적인 상상표현을 통한 순수했던 본인의 유년시절을 기억하고, 이론적인 연구와 방법적인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보다 넓은 시각을 갖고 앞으로 더욱 더 발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The dictionary meaning of a play is 'an act or instance of playing or of doing something.' Sigmund Freud defined 'play' as an activity which the children finds most amusing and hence get preoccupied. The essence of 'play' is the freedom.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duty or responsibility in participating in a pure play. In virtually every type of culture, there is always an element of play in it. And, in between art and play, there is agalma, which means great joy and happiness, elements of play. When one creates his/her world through play, he/she is not limited by rules but becomes one with the act of creation in freedom. The paper seeks to trace back to our childhood when we were susceptible to purely playful imagination. The paper describes the momentary emotions one feels during the most instinctive playful imagination, the creation of a unique world of one's own in order to escape conditional situations to heal oneself, and the ego's unconscious desires. In theoretical analysis portion, the paper looks into remembering the childhood memories through playful method, and the men's free and playful memory materializing from playful imagination. Furthermore, it examines how these memories affect men's phyche and instincts to ultimately create a dominant psyche. The paper also scrutinizes the associations we derive from looking at different colors, and the general view of the colors and human emotions. In addition, the paper also refers to modern artistic playfulness embodied in the works of Paul Klee, Joan Miro, Keith Haring, Jean Michel Basquiat, Marc Chagall and Ucchin Chang, to study detailed expressions of various human emotions. The works referred to in the paper are playful, decorative, and make use strong colors. In methodological analysis portion, the paper notes the 'color-lifting technique' which in a way expresses the remnants of a memory-Repeatedly painting with Chinese ink for 3 to 4 times, coating with glue and aleurone for over 10 times, and finally using a appropriate mix of water and glue to lift the color with a brush express remnants of a memory as well as add a time dimension. Also, drawing on a whim seeks to capture the author's momentary emotions. The decorative appearance of the coloring makes use of basic techniques of Soogan coloring, Oriental painting colors, crayons, and oil pastel in order to express playful emotions as captured in overall harmonization of different color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expression of playful imagination has reawakened memories of the childhood, and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nalyses have broadened the horizons for continuous future improvements through analyzing one's own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Ⅱ. 본론 = 5 A. 이론적 연구 = 5 1. 기억의 유희 = 5 a. 본인의 유년시절 심리 = 6 b. 색채 심리 및 연상 작용 = 8 2. 예술의 유희 = 14 a. 유희적 동, 서양의 현대적인 작가 = 15 B. 방법적 연구 = 22 1. 닦아내기 기법을 통한 기억의 흔적 표현 = 22 2. 즉흥적인 드로잉 = 25 3. 색채의 장식적인 표현 = 29 Ⅳ. 작품분석 = 33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7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536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희(遊戱)적 상상 공간의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ression of a Playful Imagination Space-
dc.creator.othernameKim, Hyun Ji-
dc.format.pagev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