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경-
dc.creator김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11-
dc.description.abstract입이 없는 얼굴을 그려본다. 호흡이 점점 쌓이고 눈의 초점이 깊어지는데 그 얼굴은 비로소 후- 하고 풀어낼 입은 비어있다. 좀 더 자세히 보니 듣고 보는 모든 소통의 통로는 열린 세계로 향해 있는데 입을 소유하지 못했기에 내부의 것을 밖으로 표출할 길이 없다. 보고 듣고 생각함에 이어 ‘말하기’ 라는 영역을 하나의 범주, 하나의 방정식과 같은 단 하나의 체계 안에 담으려 하는 것은 의미 없는 시도인 듯하다. 나는 내면 깊숙이 존재하는 울림과 목소리를 내고자 보편적 언어의 개념이 아닌 나의 고유한 언어를 통해 그 방법을 모색하려 한다. 본인 작품에 나타나는 주요 모티브는 자연에 내재한 언어적(혹은 의사소통적) 속성이다. 인간이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메시지는 자연의 요소로 환원되고 서술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침묵의 형태를 가지기에 그곳은 깊은 바다처럼 고요하며 풀어내지 못한 감정들은 보편적 언어라는 틀을 벗어나 자유롭게 표현된다. 자연으로 환원된 메시지는 빛으로 머물다 사라지기도 하고 한 방울의 물이 되어 떨어지기도 하며 종이 한 장이 되어 침묵의 집을 지탱하기도 한다. 규칙이나 제한이 없어 무질서하기도 하며 많은 이야기가 겹쳐짐에도 불구하고 한없이 투명하다. 본 논문은 ‘나의 언어’가 어디서부터 태어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 마다의 세계를 여행하며 자라다가 작품으로 표현됨을 꿈꾸고, 어떠한 형상을 가진 작품으로 결과를 만드는지를 다층적으로 살펴보고 그 관계를 유기적으로 묶으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어느 한 분야에만 집중되거나 치우치지 않고 행위자로서의 본인의 생활과 사고의 영역을 입체적으로 다루어야 함은 물론 자아에 대한 객관적인 시선을 가지고 관찰하려 한다. ‘태어남’ 이란 존재의 시작을 뜻한다. 여기서 ‘태어남‘은 태어나는 순간을 일컫는 시간적 순서의 개념을 넘어선 총체적 의미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본질의 실존에 대한 의미 이해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하에 본 논문에서는 본인의 작품이 어떻게 태동되었는지, 그 계기와 근간을 이루는 요인을 서술하고자 한다. 본문 제 2장 “태어나다”에서는 하나의 생각이 내면 의식 속에 머물다가 어느 정점에 이르러 물질 혹은 비 물질의 형태를 띠며 작품으로 형상화되는 잉태의 과정을 언어화(化)라 명하고 그 의미를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그 ‘언어화’의 철학적 의미와 영역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실존하는 것은 본질에 앞서며 언어화할 수 없는 것은 존재하지 않음을 주장하는 실존주의 철학에 그 토대를 두었다. 이러한 생각은 무엇보다도 작업 행위에 앞서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인간으로서의 본질에 대한 물음이 선행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제 3장 “자라다”에서는 앞서 언급한 존재를 인식하는 시각과 방법론에서 확산적 사고를 도와 준 철학, 그리고 다양한 매체로 언어화 된 예술작품과 본인의 작품과의 접점을 짚어봄으로서 사상사적, 그리고 예술사적 세계 내의 본인 작품의 위치를 좌표에 그려보고자 한다. 특히 그들의 사유가 발현되는 도구로서의 언어가 어떠한 방법으로 발화되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서술하였다. 이는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은유에 함축된 의미와 오브제의 성질을 그들의 언어를 빌어 정의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사상가들은 실존하는 모든 것은 언어의 범주 안에 있다고 보았다. 작가가 표현하는 명제 안에 작가 본인의 의미를 내포할 수 있지만, 그 의미는 의미가 담긴 명제를 읽는 독자에 의해 또 다른 의미를 파생시킬 수 있다. 기존에 본인이 갖고 있던 생각과 철학자들의 사상이 교감되어 보다 발전된 사유가 이루어졌고, 이와 같은 탐구는 작업에서 나와 타인을 향한 목소리를 가지고 대화하며 외부 세계와 균형있는 관계를 맺으며 자라났다. 마지막으로 제 4장 “꿈꾸다”에서는 본인의 언어가 작품을 통해서 꿈을 꾼다. 물이 되는 꿈, 빛이 되는 꿈, 투명한 바람의 거울이 되는 꿈. 그것은 사물과 운동, 자연의 속성을 차용하여 하나의 문장을 이루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본인의 언어는 물질과 비물질의 경계를 사라지게 하고 의미를 투영하며 또 다른 세계와 교감할 수 있도록 열려있다. 입을 가지지 못한 얼굴은 담론과 논쟁이 난무하며 비대하게 팽창된 현시대에 침묵이라는 더 큰 영역의 언어가 무한히 결합되어 내적 울림을 환유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다. 말로는 형용할 수 없는 깊은 소통의 공명이 있기를 꿈꾼다. 세계를 향해 열린 예술이야말로 진정한 생명력을 가진 언어이기 때문이다.;I draw a face without a mouth. The face has no mouth to being able to blow in and out while the breath is getting accumulated and the focus of eyes is getting deeper. When I look at through a magnifying glass, all the communication avenues of seeing and hearing are towards open-spaced world, however there are no ways to express out inner world on account of having had no mouth. Following with sense of seeing, hearing and thinking, the field so-called 'speaking' has no meaning of limiting into one fixed system such as a monolithic category or one fixed formulae. I try to find a method with the face without a mouth through my own language instead of using general words in order to create echoes and voices which are released from back of mind. The main motif of my works i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 of the nature have. I read every messages in a way that human-beings try to express out can be returned to the factors of the nature. It has form of silence. Its place is as calm as deep ocean. I break the general language boundary and disentangle messages without any restrictions. The messages that returned to the nature are stayed as form of light and disappeared or it sometimes becomes a form of a water drop and trickles down. Sometimes it becomes a leaf of paper and maintains the house in the silence. It is the state of chaotic and full of lots of stories. Although it has no regulations or restrictions, it is high purely transparent. This research paper will examine multi-perspectively where 'my language' is born, how travels around the tune of world and grows up and how dreams of being a form of work, and how to conclude a result, and is an experiment to tie up those relationships in terms of the organic view of the world. Therefore I do not to be concentrated on or be appendent on only one aspect. I more like to observe not only in relations to aspects of cubical observations onto own my life and the field of my thoughts as one of performers, but also observation with the objective perspective about myself. The term 'to be born' means the starting of being stand as an existence. The point, 'to be born' should be accepted as an entire meaning, it should be beyond the concept of time order, the moment to be born. Because it needs to be understood along with meaning about the existence of the essence. In these contexts, my research paper is explained the factors that carried out the motives and inspirations how my works was started. In chapter II 'to be born', I look into the process that one of thoughts stayed in the interior consciousness and then approach to the certain point and becomes a form of material or non-material forms and then formalize into a form of work. I name this process of gestation to the term, 'linguistic-lization' and explore the meaning. Furthermore, I look around in aspects of the field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linguistic-lization'. I base on the existentialism philosophy that insists the existing things are beyond the essence and there are nothing cannot be linguistic-lized. Also as one of the beings in the world, I highlight addressing a question about the essence should be precede before performing works. In chapter III, 'to grow up' I draw my position onto a coordinates in terms of philosophical and art historical world as pointing out the view of cognizing the existences that I mentioned before and the philosophy which helped multi-perspectives of thoughts and the connection between my works and the art works which be linguistic-lized as various medias. Especially, I explain about and focus on how the language be described to a form with using a metaphor as a tool of being generated their thoughts. It implies that my attempt to define the implication of metaphors and the characteristic of object that represented onto my works with borrowing those words. The philosophers embedded in my research paper insist that every existing beings are in the category of language. An artist can imply one's significance in the propositions whatever he/she express, but the meaning can be generated into another meanings depending on readers who read the implied propositions. The much developed thoughts have been completed through communicating with general my thoughts and ideas of philosophers. This kind of exploration has been grown up on account of having had the voice toward 'I' and other in my works when pursuing well-balanced relationships with the exterior world. Finally, in chapter IV, 'to dream' I dreams about that my language creates works such as the dreams of becoming water, lights, a mirror with clear wind. It appropriates an object, mobility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nature and finally creates a sentence. These kind of my language makes to fade out the boundary between material and non-material worlds. It penetrates the significance and be opened to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another world. The face without a mouth is rampant with discussions and arguments in relatively expanded present age, the silence which is much bigger field than language is combined endlessly and is believed to being able to return the inner echoes in. I dream of that the deep sympathy of communication be generated beyond words. Because the art that opening towards the world owns the real vital 'langu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들어감 = 1 Ⅱ. 태어나다 = 6 A. 언어화(化): 언어의 꿈 = 6 B. 언어의 빈자리 ― 침묵의 집 = 9 Ⅲ. 자라다 = 11 A. 마틴 하이데거: 존재에 대한 열려있는 물음들 = 12 B. 모리스 메를로퐁티: 침묵의 목소리 = 15 C. 가스통 바슐라르: 사물의 속성이 가진 언어 = 17 D. 알베르 까뮈: 『이방인』에 나타난 관계의 언어 = 21 Ⅳ. 꿈꾸다 = 23 A. art AS life = 23 B. 나의 장례식 = 25 C. 투명한 호흡 = 32 D. 꿈속의 꿈 = 41 Ⅴ. 나옴 = 49 참고문헌 = 51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508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언어의 꿈, 침묵의 집-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ream of language, The house of silence-
dc.creator.othernameKim, Min kyong-
dc.format.pagevii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