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주희-
dc.creator박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51-
dc.description.abstract산 속에서 들리는 장엄한 새벽 북소리와 깊고 청명한 새벽하늘 속 별나라, 정신을 일깨워 주는 상쾌한 바람과 하늘을 날아오르는 물고기... 어린 시절부터 접해온 산 속에서 얻은 이런 환상적인 기억들은 도시생활의 건조함에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바쁜 일상에 고요함의 지혜를 가르쳐 주었기에 산수자연을 제작하고 색을 칠할 때에, 갈망하는 산수에 대한 욕망의 분출과 함께 일상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마음의 평안을 가질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본인이 보았던 추억이 되어버린 산수의 실경을 이상 공간으로 표현하는데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는 동양의 산수관과 관련된 많은 서적을 살펴보고 연구하여 본인이 산수를 소재로 작품을 하는데 있어 다양한 시각을 가지고, 표현에 대한 뚜렷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본인은 이론적 배경의 첫 번째로 산수를 포괄하는 ‘자연’에 담긴 의미를 도교의 도(道)사상과 불교의 공(空)사상에서 말하는 우주(宇宙)의 기(氣)와 연결된 본질적 의미를 가진 이상세계로써 접근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산수화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했던 중국의 곽희가 논한 산수를 대하는 작가의 자세와 산수를 그리는 방법론을 중심으로 동양의 산수화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세 번째로는 산수가 독립된 감상회화로서 전성기를 누렸던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산수화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중 조선 초기의 대표작인 안견의 <몽유도원도>에서 표현된 산수의 이상 공간에 대해 연구하고, 그런 이상 공간을 꿈꾸었던 안평대군과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채색산수화는 따로 분류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채색산수화를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조선시대 민화로 분류되는 궁중병풍인 <일월오봉도>를 분석하여 음양오행의 근원적 의미로 해석되어지는 동양의 색채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적 연구에 있어서는 첫 번째로 산수라는 이상향과 일상이라는 현실공간을 설정하고 이상에 대한 갈망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로 본인작품색의 바탕으로 사용된 빨강·노랑·파랑 세 가지 기본색들의 조합으로 중간색들이 만들어지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삼원색을 조합하는 과정에서 모든 색의 바탕이 되는 삼원색(三源色)의 의미를 발견하여 동양의 음양오행사상에 기초한 우주의 근원적 개념으로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세 번째로는 본인이 장식적 요소로 사용하였던 다기와 산사의 꽃 창살문과 풍경에 담긴 의미를 살펴보고, 장식적 소재들에 의해 연출될 수 있는 이상 공간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작품분석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방법적 연구를 토대로 하여, 작품의 제작 동기, 구도, 사용된 소재와 색의 사용, 그리고 제작 방법에 대한 순서로 자세히 기술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의의는 본인이 산수의 이상 공간을 시각화하는데 당위성을 확인하고, 더욱 폭넓은 관점으로 효과적인 산수의 표현방법을 찾기 위함에 있다고 하겠다.;As fantastic memories obtained in mountains from my childhood such as solemn sound of drum heard from the mountain, deep and crystalline star-stud sky in the early morning, spirit-awakening refreshing winds, and fish springing up to the sky, have been revitalizing dried city life and teaching the wisdom of tranquility in our busy schedule, longing for landscape has been fully expressed, in a peaceful state of mind free from stressful daily lives, whenever painting landscape of the nature and adding colors to it. This paper is intended to lay a firm foundation for expressions based on various perspectives on landscape painting, by examining a number of literatures on Oriental viewpoint of landscape painting, which is to be theoretical backgrounds of expressing actual landscape scenery cherished in the memory of the author into ideal space. As far as theoretical backgrounds are concerned, firstly, the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nature’ covering maintains and waters, from the perspective of ideal world, the terms of essential meaning linked to the energy of the universe as mentioned by tao of Taoism and emptiness of Buddhism. Secondly, the Oriental viewpoint of landscape painting was examined, focusing on attitudes and methods of landscape painting artists discussed by Gwakhee of China, who studied landscape painting theories systematically. Thirdly, the study analyzed landscape paint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landscape paintings enjoyed their heyday as independent appreciation painting. Among others, ideal space in Angyeon’s Mongyoudonwondo, representative work of early Joseon Dynasty was analyzed, and Prince Anpyeong who aspired for such an ideal space and situations of the time were investigated. Colored landscape paintings were separately discussed. Korean traditional colored landscape paintings were analyzed depending on historical trends, and Ilwallobongdo, a folding screen used at royal palace, which is classified as folk painting of this period was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the Oriental views on colors as interpreted the underlying meaning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In methodology, first of all, mountains and waters as an ideal land and daily life as a realistic space of were introduced to express longing for an ideal. Second, the method in which intermediate colors are produced by combining basic colors such as red, yellow, and blue, used as the background of the author’s paining was explained, and the meaning of three primary colors as the basis for all colors was explored in the course of mixing three primary colors, a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on the basis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the Orient. Third, meanings delivered by tea set and flower-latticed door and sceneries of temples in the mountain used by the author as decorative elements were analyzed, and ideal space created by decorativ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In analyzing paintings, motif of the work, planning, materials and use of colors, and creation method in order were discussed in detail,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s and methodological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in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visualizing the ideal space of mountains and water and seeking the effective expression method of mountains and water with much wider point of view.-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Ⅱ. 본론 = 4 A. 이론적 배경 = 4 1. 도교와 불교의 자연관 = 4 2. 곽희의 산수화관 = 6 3. 조선시대 산수화 = 9 가. 안견의 몽유도원도 = 12 4. 한국의 채색 산수화 = 15 가. 동양의 색채관 = 20 B. 방법적 연구 = 21 1. 산수와 일상의 결합 = 21 2. 三源色의 사용 = 23 3. 장식적 소재의 표현 = 25 Ⅲ. 작품분석 = 27 Ⅳ. 결론 = 49 참고문헌 = 51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518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산수의 이상 공간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Ideal Space of Landscape-
dc.creator.othernamePark, Ju Hee-
dc.format.pageviii,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