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초혜-
dc.creator김초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95-
dc.description.abstractWhen we face to many problems in our life, and feel uneasiness and suffocating, we can find the peace in our mind and be encouraged to open the new life by taking a walk through a forest. This can be said as the healing of nature. When I felt the moment of being free in the nature, I imagined the peripatetic pleasure of Chuang-tzu. And I intended to realize the meaning in my work by taking the world of peripatetic pleasure from Chuang-tzu's philosophy of art as the symbol of Utopia. As a theoretical study, Chuang-tzu's doctrine, in the view of the spirit of art, represents the aesthetic boundary of the absolute beauty and the spiritual boundary of the absolute freedom. This Chuang-tzu's philosophy of art provides the spiritual and aesthetic basis to realize the internal desire toward the utopia which my work is seeking for. Also, as the method to reach his doctrine, Chuang-tzu suggested 'sitting and forgetting' and 'clearing mind', and in the view of the process of creation, these methods could be considered as the similar meaning to the efforts in the process reaching the ultimate goal of art and the aesthetic boundary. Therefore, together with the amusing moment derived by concentrating in art works, art work has both of the meaning as 'discipline' and as 'pleasure' for m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uang-tzu's spirit of art appeared in each of 'the theory of landscape painting', 'the theory of literary artist's style painting' and 'the theory of calligraphy'. And through appreciating the real works and considering the meaning carefully, the study investigated on the method to realize my work. As for the methodological side, I chose 'wood' as the material to express 'the peripatetic pleasure' which is considered as the utopia, and traced out the self-image reflecting the internal desire toward the utopia of 'free spirit'. I tried to give direction and rhythm on the screen by expressing the trait of a tree which represents 'freedom' with the features of branches freely spreading out and the leaves blown away. The image of the peripatetic is expressed by blue color and blank space. The wood material and the symbolic meaning of blank space associates with the oriental naturalism which pursues the union and the harmony with the nature, hence becomes the method of symbolic expression corresponding the utopia I intended to express. As for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glue and the amount of water, I expressed the change of color tone in depth with spreading and soaking. This intended to accomplish the changes of screen naturally by deepening the emotional depth and concentrating on the amusing changes of screen.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art in depth by understanding Chuang-tzu's spirit of art and taking it as the aesthetic foundation, and to lay a cornerstone of expressing and realizing the internal desires toward freedom on works by investigating the repetitive experiments and expressions about materials and expressions. Furthermore, by helping the modern society aware of the meaning of 'peripatetic' and providing th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it, the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direction of art as the meaning of overcoming the circumstance of isolation and conflict and of searching for the possibilities of communication and harmony.;우리는 현실에서 부딪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의해 내적 불안감이나 갑갑함을 느낄 때, 숲이나 산책로를 걸으면서 편안한 마음의 안정을 찾고 새로운 세계를 열어갈 힘을 얻는다. 이는 자연으로부터의 치유일 것이다. 본인은 이렇게 자연 안에서 자유로워지는 순간을 느끼며 장자의 소요유(逍遙遊)를 떠올리게 되었고, 장자의 예술철학에서 말하는 소요유의 세계를 이상향으로 상징화하여 작품 안에서 그 의미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연구로서, 장자의 도(道)는 예술 정신의 차원에서 볼 때, 절대미의 심미 경계이자 절대 자유의 정신 경계를 말한다. 이러한 장자의 예술철학은 본인의 작품이 추구하는 이상향에 대한 내적 욕구를 실현하는 정신적·미학적 토대가 된다. 또한 도(道)에 이르는 방법적 측면으로, 장자는 심재(心齋)와 좌망(坐忘)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예술 창작의 과정에서 보면 예술의 궁극적 목적에 도달하고, 심미적 경계에 이르는 과정의 노력과 같은 의미로 이해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에 몰입하며 느끼는 유희적인 순간과 더불어, 본인에게 작업은 수행(修行)과 유희(遊戱)의 양의적 의미를 갖는다. 장자의 예술정신이 산수화론(山水畵論), 문인화론(文人畵論), 서론(書論)에서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고찰하고 실제 작품의 감상을 통해 그 의미를 숙고한 후에 본인의 작업의 형상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방법론적 측면에서 본인은 이상적 세계인 ‘소요유’을 표현하기 위한 소재로 나무를 선택하고, 나무에 ‘자유정신’의 이상향을 향한 내적 욕구가 반영된 자아상을 투사하여 표현하였다. 자유로움을 지향하는 나무의 모습을 분방하게 뻗은 가지, 흩날리는 듯 하는 나뭇잎을 자유롭게 표현하여 화면에 방향성과 리듬감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작품에 소요의 이미지를 청색과 여백을 통해 표현하였는데, 이는 나무라는 소재와 청색과 여백이 갖는 상징적 의미가 자연에로의 합일(合一)과 조화를 추구하던 동양의 자연주의 사상과 연관되어,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향과 부합하는 의미로서 상징적 표현의 방법으로 작용한다. 재료 기법의 측면에서는 아교포수의 농도나 물의 양을 조절하여, 번짐과 스밈을 통해 깊이 있는 톤의 변화를 표현하였다. 이는 정서적 이미지의 깊이를 더하고 유희적인 화면의 변화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서 자연스러운 화면의 변화를 얻고자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장자의 예술 정신을 이해하고 이를 작업의 미학적 토대로 삼아 앞으로 깊이 있는 작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재료와 표현에 대한 반복적인 실험과 연구를 통해 자유로움에 대한 내적 욕구를 작업으로 표현하고 실현하는데 그 초석이 되고자 한다. 나아가 현대 사회에서 ‘소요’의 의미를 일깨우고 감상자에게 소요의 실현 기회를 제공하여 소외와 갈등의 현실을 극복하고 소통과 조화의 가능성을 찾는 의미로서 작업의 방향을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Ⅱ. 소요(逍遙)의 예술적 관점 = 4 A. 장자(壯子)의 예술철학과 소요유(逍遙遊) = 4 B. 수행과 유희로서의 창작과 소요 = 8 C. 소요의 현대적 의미 = 12 Ⅲ. 서화론에 나타난 소요(逍遙)의 실현 = 16 A. 산수화론에 나타난 소요(逍遙) = 16 B. 문인화론에 나타난 소요(逍遙) = 19 C. 서론(書論)에 나타난 소요(逍遙) = 24 Ⅳ. 형상화 방법론 = 28 A. 나무에 투사된 자아상 = 28 B. 자유와 소요의 이미지 = 31 Ⅴ. 작품 분석 = 35 Ⅵ. 결론 = 50 참고문헌 = 52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053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소요(逍遙)'의 현대적 실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odern Realization of 'Peripatetic'-
dc.creator.othernameKim, cho hye-
dc.format.pagevi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