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세라-
dc.creator박세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어린 시절의 회상으로부터 출발되었다. 누구나 어린 시절의 기억 속에는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놀이에 흠뻑 빠져 어두워질 때까지 혼자만의 세계에 빠져있었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놀이를 하는 동안의 나는 누구의 간섭이나 어떠한 규율이 없고, 내가 곧 규칙이고 내 목소리만이 세상을 지배하는 권력이다. 어린 시절의 놀이는 어른이 되어 성숙한 인간으로 나아가는 내적기질과 성향을 개발하게 하고, 사회화의 긍정적인 에너지로 표현되기도 한다. 무의식적인 모든 놀이의 기억들이 어른이 되어서도 내면깊이 잠재되어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누구나 경험하였을 보편적인 놀이를 재현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재현되어지는 놀이는 타인과 함께 하는 놀이가 아닌 혼자 하는 놀이로 자기만의 세계로 이끄는 도구로서의 놀이이다. 나름의 질서와 규칙을 가지고 직접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사용을 하는 놀이경험을 재현함으로써 유년의 기억을 이끌어 내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예술과 놀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적 견해로서 프로이트의 놀이이론과 호이징거의 놀이이론; 호모루덴스(놀이하는 인간)를 각각 살펴보고 현대미술에서 보여지는 어린 시절의 놀이에 대한 기억을 소재로 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표현내용은 어린 시절 누구나 경험했던 보편적인 놀이경험을 재현하여 순수하고 자유로운 기억을 되살려 작업과정의 영감을 얻어내었다. 기억 속의 놀이를 재현하기 위해 어릴 적 애착을 갖고 사용하던 놀이의 대상물을 재구성하였고, 각각 고유의 놀이방식을 탈피해 나만의 경험과 기억 속의 방식으로 새롭게 해석하여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자존감과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가다머(Gadamer)는 그의 해석학에서 예술작품의 존재론적 해명을 위한 실마리로 놀이를 바라보았다. 그는 놀이란 주관적인 체험을 넘어서 예술 자체의 존재양식이며, 놀이의 주체는 놀이하는 사람이 아니라 놀이하는 사람이 몰두하여 생각하고 행동하는 놀이의 상황이고, 예술 경험에서의 주체도 그 작품을 만들어 낸 작가가 아니라 관람자를 끌어들이는 지적 자극으로서의 예술작품이라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놀이란 단순히 즐거움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예술적 행위와 마찬가지로 존재성을 확립하게 해주는 행위로 재평가된다. 놀이는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안, 자기실현에 대한 불만족감, 삶과 죽음에 대한 실존의 문제 등으로 인한 심리적 억압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내면에 집중하게 해준다. 나는 이 작업을 통해 비슷한 놀이 경험을 갖고 있는 관람자와의 교감을 이루어 나의 개인적 경험이 외부세계와 연결되어지는 다리가 되기를 바란다.;Art and play are the basic mental activities of human beings. They have been existed in our experiences and expressed from our own experienced feelings. Human beings are born with the instinctive desire to express ourselves, which is embodied in our play. Art and play are very similar in that we create our own world through immersion, behave according to the order, and rearrange things. This study has been started from the memory of my own childhood. Anybody has the memory that we were so much absorbed in the play and our own world until it was getting dark, forgetting to go home. During my playtime, nobody can interrupt me and there is no rule. That is, I am the rule and my own voice has the power to lead the world. Play in childhood helps our inner disposition and inclination mature to attain full growth. It also gives us a positive energy of socialization. The memories of all the unconscious plays still remain latent, and we can remember them even when we grew up. In this study, I reproduced the common play that anybody had experienced in his or her early days. The play which is reproduced in this study is not just a play that is done with others, but a play that is done by ourselves and leads the way to our own world. I derived the memory of our early days by the way of reproducing the experience of play in which we move our bodies with our own orders and rules. I researched Freud’s theory of play in the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and Huizinga’s theory of play: Homo Ludens (playing human) in order to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play highlighted by this study. Furthermore, I examined the works dealing with the materials of early childhood memories shown in the modern art. The content that is expressed in my work was inspired the work procedures by reviving the pure and free memory and reproducing the common experience of the play that anybody had experienced in his or her early days. In order to reproduce the play in our memories, I reorganized the things that we loved to play with when we were young. Moreover, I eschewed a peculiar way of playing, reanalyzed and expressed it based on my own experience and memory. The procedure of the work itself, which reproduced the play, using the stuffs of play made to reproduce the experience of the play, gave me a lot of pleasure and helped me to devote myself to this study. According to Gadamer’s analysis, he regards play as the clue for the ontological explanation. He thinks that play is the ontological form of art itself beyond the subjective experience. The main body of play is not the person who is playing but the circumstance of play in which a person who is playing is absorbed and thinks and plays. In addition, he emphasizes that the subject of the art experience is not the artist who makes art works, but the art work as an intellectual stimulation which draws the attention from the visitors of a gallery. In the modern society, play does not just give us pleasure, but it is reevaluated as the activity that establishes existence like artistic acts. Play helps us to escape from the mental pressure from the problems about the existence of life and death and the dissatisfaction of self-realization, and to focus on the inside of ourselves. I hope this work will produce a consensus of feeling between we and the visitors of a gallery who have the same experience about play so that it will serve as a bridge that links my own personal experience with the outside wor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예술과 놀이 - 프로이트와 호이징거의 놀이이론 = 3 Ⅲ. 기억 속의 어린 시절 = 8 A. 기억으로부터 생성되는 예술 = 8 B. 현대미술에서 보여지는 놀이의 기억 = 10 Ⅳ. 표현 내용 및 표현 방법 = 16 A. 표현 내용 = 16 B. 표현방법 = 18 Ⅴ. 작품분석 = 20 Ⅵ. 결론 = 39 참고문헌 = 41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412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린 시절의 놀이 기억을 통한 자아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Self-Expression through the Memory of Childhood Play-
dc.creator.othernamePark, Sera-
dc.format.pagevi,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