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주연-
dc.creator오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2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TV 광고에 나타난 춤을 중심으로 대중춤의 독립적인 특성을 밝히고 이의 함축적 의미를 다루었다. 포스트모던 시대에는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이분법이 해체되고, 대중매체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활성화된 대중문화는 오늘날 새로운 기준에서의 담론을 요청한다. 지금까지 대중예술은 순수예술의 하위 범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중예술은 작품의 생산에서 수용까지 순수예술과는 다른 맥락에서 이루어지므로 고유의 가치기준에서 다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특히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대중춤은 전례 없는 활성화를 보이며 하위문화에서 지배문화의 위치로 이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춤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활발치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문화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TV 광고에 나타난 춤을 중심으로 대중춤의 독립적인 특성과 함축적 의미를 밝히고 궁극적으로 춤의 학문적 영역을 확장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는 TV 광고 춤을 다룸에 있어 무용예술의 기준에서 움직임을 분석하거나, 또는 페미니즘의 기준에서 섹슈얼리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TV 광고 춤을 무용예술의 하위범주나 이데올로기의 재현물이 아닌 대중매체시대에 새로이 등장한 독립적인 춤의 형식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TV 광고 춤은 무대가 아닌 영상을 통해 수용된다는 특성에 중점을 두어 움직임보다 영상 이미지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TV 광고 춤의 섹슈얼리티는 페미니즘 외의 다른 해석이 가능하며 이에 춤과 신체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해석을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차별성을 두었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밝히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TV 광고 춤 영상 이미지에 나타난 신체의 선(line)과 의상과 표정을 통해 나타난 신체 이미지는 어떠한가? 둘째, TV 광고 춤 영상 이미지에 나타난 움직임 특성과 댄서의 개성 및 분위기를 통해 나타난 춤 이미지는 어떠한가? 셋째, TV 광고 춤 영상 이미지는 어떠한 방식으로 편집되었는가? 넷째, TV 광고 춤이 내포하고 있는 함축적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와 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자넷 애드쉐드(J. A. Kansdale)의 무용 분석의 구성 요소와 루돌프 본 라반(R. Laban)의 에포트 이론, 마르틴 졸리(Martine Joly)의 영상 이미지 구분에 기초하여 TV 광고 춤의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영상 이미지 분석은 2000년대 춤 광고 141편 중 행위자, 춤의 유형, 상품 유형의 대표성을 띠는 다섯 대상의 신체 이미지, 춤 이미지, 영상 편집에 따른 이미지의 구조를 살피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TV 광고 춤 영상 이미지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 이미지 분석 결과 TV 광고 춤은 새로운 젠더 이미지를 표상하였다. 둘째, 춤 이미지 분석 결과 TV 광고 춤은 고유의 안무 형식을 갖추면서 댄서의 존재감을 극대화하였다. 셋째, 영상 편집 분석 결과 TV 광고 춤은 영상 매체 활용을 통한 미학적 가능성을 보였다. 넷째,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TV 광고 춤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영상 이미지 시대의 문화 정체성을 대변하는 함축적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이미지 분석 결과 댄서들은 외형적 신체 이미지(몸의 선, 의상)는 전통적인 섹슈얼리티를 강조 하였지만 재현?수용 방식(표정)에서 전통적 성별 구분 타파하면서 새로운 젠더 이미지 창출하였다. 춤 이미지 분석 결과 TV 광고 춤은 고유의 안무 형식을 갖추었고 이 중 춤의 본질 중 일부를 극대화하였는데 특히 댄서의 존재감이 핵심 요소가 되는 특성을 보였다. 마지막 영상 편집 분석 결과 이들은 춤에 대한 주목과 효과를 극대화하고 상징적 의미를 재구성하였으며 영상의 시뮬라시옹 효과를 통한 가상의 카타르시스 효과를 제공하면서 영상 매체 활용을 통한 미학적 가능성을 보였다. 이러한 TV 광고 춤의 특성을 대중매체시대 춤의 특성에 적용시키면 대중매체시대의 춤은 무대 위 실제 육안을 통한 직접적 교류가 아닌 영상 속 가상의 카메라의 눈을 통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교류하게 된다. 3차원 현시성은 2차원 가상성으로 변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움직임의 포즈와 선을 강조하게 된다. 또한 자연 상태에서의 일회적 체험은 확장 또는 축소된 시간의 반복적 체험으로 변화되면서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뛰어넘게 된다. 나아가 댄서들은 젊고 매력적인 신체와 주체적인 자아를 가진 한명의 댄서가 가상의 시뮬라시옹적 효과를 가지는 영상 매체를 통해 소비자를 유혹하고 선망과 동일시 욕망의 스타가 된다는 점에서 영상 이미지 시대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였다 볼 수 있으며 이로써 21세기 춤의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섯 개 광고의 영상 이미지 분석 결과를 TV 광고 춤 전체에 적용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시각적인 감각에 근거한 것이기 때문에 영상 분석의 틀을 활용해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지만 주관적인 해석의 가능성을 완벽히 배제하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TV 광고 춤을 무용 예술의 하위 범주나 이데올로기의 재현물로 보는 선행 연구로부터 벗어나, 영상 이미지 분석을 통해 독립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섹슈얼리티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이분법을 약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대중매체시대 춤의 새로운 의미를 규명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is study aims to find out unique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meaning of popular dance focusing on TV commercial. Mass culture has been dealt with as a subcategory of pure art so far. Previous researches analyzed dance movement based on dance art or sexuality based on feminism ideology in relation to dances in TV commercials. However, mass culture is different from pure art in the overall process ranging from creating work of art to accepting the work.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dances shown in TV commercials which have the most impact on mass culture, concentrates on analysis of image structure and tries to find out if dances in TV commercials can create a new gender image.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suggested. First, how body images are expressed through body line, clothes and facial expressions shown in TV commercials ? Second, how dances images are expressed through movement quality, personality of dancers, and atmosphere shown in TV commercials ? Third, how the images of dances in TV commercials are edited? Fourth, what is potential meaning of dances in TV commercials? Results from this analysis are mentioned below. First, result from analysis of body images dancers in TV commercials represent a new gender image. Second, result from analysis of dances images in TV commercials maximize existence of dancers as having their own choreography. Third, result from analysis of editing dances in TV commercials show aesthetic potential by utilizing visual media. Fourth, dances in TV commercials realize core characteristics of video image age through dancers whil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newly interpreting 21st century dance.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of all,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esults from 5 image design analysis of the 2000s to all dances across TV commercials. In addition, since images were generally based on visual sense, it was not easy to exclude subjective interpretation using the analysis grid of image structure. Despite the above l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onsiders dances in TV commercials as an independent dance type and suggests potential meaning of dance, beyond previous researches viewing them as dance art subcategory or the representation of ideology. Furtherm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weaken the dichotomy of pure art and popular art considering the era where dance is active mass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11 A. TV 광고의 기본적 특성 = 11 B. 포스트모던 광고의 이미지 중심성 = 18 C. TV 광고 춤의 시대별 특징 = 24 1. 1980년대 = 25 2. 1990년대 = 34 Ⅲ. TV 광고 춤 영상 이미지 분석 = 45 A. 2000년대 TV 광고 춤 실태조사 = 45 1. 춤 유형 = 46 2. 상품 유형 = 51 B. TV 광고 춤 영상 이미지의 구조 = 64 1. 삼성전자 「애니콜」 = 64 2. 삼성전자 「애니콜 애니스타」 = 69 3. LG전자 「싸이언 아이디어」 = 74 4. 카스맥주 「카스」 = 79 5. 동아제약 「에너젠」 = 84 C. TV 광고 춤 영상 이미지의 함의 = 89 1. TV 광고 춤 영상 이미지 분석 결과 = 89 2. TV 광고 춤의 특성과 함축적 의미 = 103 Ⅳ. 결론 및 제언 = 121 참고문헌 = 125 부록 = 131 Abstract =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398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TV 광고 춤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영상 이미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dances in TV commercials : Focusing on Visual Images-
dc.creator.othernameOh, Ju Yeon-
dc.format.pageviii, 1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