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주애-
dc.creator안주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87-
dc.description.abstractThe need for new art forms arising from the change in social and cultural norms in the late 20th century has affected a dance and forced it to seek new forms of movements as well. Post-modern dance has emerged as an experimental movement that pursues a free formality and shows all possibilities in terms of the extent of creation, rebelling against the rigorous fixed formality that had existed so far. Post-modern dance groups appearing and performing actively in this period extended the range of a dance and focused on improvisation which was free expressions and impulsive movements of human beings based on the challenge and experiment. In the 1950s, the performances of San Francisco Dancers Workshop led by Ann Halprin spread wide to a number of other performers and influenced the choreographers of the 1960s. The 1960s is the time when innovative and experimental tryouts were most actively made and Judson Group, called the representative of post-modern dance appeared in this period. Some choreographers of Judson Group organized an improvisation group, named The Grand Union in the 1970s. Steve Paxton, a member of this group introduced improvisation in dance composition which was a new form of choreography through an organization, named Contact Improvisation Group. By doing so, he found out a variety of dance languages and brought a change in the field of choreography. Basically, this study is about the attributes of improvisation reflected in creation works done by post-modern dance groups.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s and improvisational works created by dance groups who adopted improvisation, serving as a fundamental drive force for experimental art work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ir works. The importance of improvisation serving in creation works is examined in several perspectives such as social meanings, expression techniques, post-performing stage, and value creation as arts. In terms of social meanings that the attributes of creation works done by dance groups have, the groups added everyday-affair elements to improvisation by associating social issues. They focused more on conveying social messages than exhibiting the changes and decorations of movements in the form of performance. These movements used plural open spaces rather than a singular space, sharing information with untrained dancers and having communications each other. The dancers performed literally everywhere even on the streets. In terms of expression techniques, the dance groups adopted daily movements and unprocessed techniques in creation works. They performed in any place where they could contact directly with daily affairs and used a space without limits in pursuit of the diversity of a performing stage. In terms of post-performing stage, the dance created by post-modernism dance groups pursued improvisational and free movements not limited by a certain space, breaking away from the fixed form of a theater. It emphasized this attribute by using experimental spaces such as outdoor stages of a free atmosphere, parks, streets, on the top of buildings and roofs and on a floating raft. In addition, the improvisational movements arising spontaneously in nature were made in natural environments. In terms of value creation as arts, the dance put an importance in the moments of creating process beyond the complete outcome of improvisational work. It pursued value creation by giving a meaning to a movement itself and it also reduced the fantasy elements that a stage which was regarded as a special space originally owned by recognizing even a single piece of props as part of an art work.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the attributes of the improvisation reflected in creation works of post-modern dance groups can be summarized that it drew everyday life close to a stage through a change in choreography, discovery of various dance languages, and associating with social issues. Currently, improvisation is studied and introduced as a method of choreography, dance education, and treatment and it is expected that improvisation will continuously contribute to a dance as a means of creativity expression. Therefore, the attributes of the improvisation used by post-modern dance groups are expected to bring a drive force and experimental spirit for today's dancers to challenge as an expression technique to open all the possibilities.;20세기 후반, 사회, 문화적 가치규범의 변화를 통해 나타난 새로운 예술형태의 요구는 무용도 영향을 받게 되었고 새로운 형태의 움직임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엄격한 정형성에 반발하여 자유로운 형식을 추구하며 창작의 범위에 있어 모든 가능성을 보여주는 실험적 움직임으로 나타난 포스트모던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등장하여 활발한 활동을 한 포스트모던댄스그룹들은 무용의 영역을 확대시키고 도전과 실험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로운 표현과 충동적 움직임인 즉흥에 중점을 두었다. 1950년대에는 앤 할프린의 샌프란시스코 댄서스 워크샵 활동이 많은 예술가들에게 확산되어 60년대의 안무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1960년대는 혁신적이고 실험정신이 가장 눈에 띄게 전개되었던 시기로 포스트모던댄스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는 저드슨 그룹이 등장하였다. 저드슨 그룹의 일부 안무가들은 70년대에 그랜드 유니온이라는 즉흥 단체를 창단하게 되며 이 그룹의 멤버인 스티브 팩스턴은 접촉즉흥 그룹이라는 단체를 통해 즉흥이라는 새로운 안무방법을 무용작업에 사용하여 무용언어의 다양한 발견과 안무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댄스그룹들의 창작작업에 나타난 즉흥의 특성에 관한 논의로 실험적 예술 활동의 근본적인 원동력 역할을 하였던 즉흥을 사용한 무용그룹들의 활동과 즉흥작업들을 분석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들의 창작작업에서의 즉흥의 중요성을 사회적 의미, 표현적 기법, 탈 무대화, 예술로서의 가치창조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댄스그룹들의 창작작업에 나타난 특성들로 사회적 의미에서는 사회적 이슈들과의 연계를 통해 일상성이 도입된 즉흥을 사용하여 퍼포먼스의 형태로 움직임의 변형이나 장식을 하기보다는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목적에 충실한 움직임들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훈련되지 않은 무용수와의 정보를 공유하며 의사소통을 시도할 수 있는 열려진 공간으로 단일 공간이 아닌 복수의 공간을 사용하였고 길거리나 어디에서든 공연을 하였다. 표현적 기법에서는 일상적 움직임, 테크닉을 가공하지 않은 움직임들을 창작작업에 사용하여 일상과 직접 접촉가능한 곳에서 공연을 가졌으며 무대공간의 다양성을 추구하면서 공간의 사용을 무제한적으로 활용하였다. 탈 무대화는 기존의 극장 틀에서 벗어나 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즉흥적으로 자유로운 움직임을 추구하여 자유로운 분위기의 야외무대, 공원, 거리, 즉흥의 실험적인 특성을 빌딩 위, 지붕 위, 물 위에 떠다니는 뗏목 위와 같은 실험적인 공간의 사용으로 더욱 부각시켰고 또 자연 상태에서 저절로 일어나게 하는 방식에 의한 움직임인 즉흥은 자연환경에서 작업하기도 하였다. 예술로서의 가치창조는 즉흥작업에 있어서 완성도 있는 작품의 결과물에서 벗어나 창작과정의 순간들을 중요시하였고 움직임 그 자체에 의미부여를 두어 예술로서의 가치창조를 추구하였으며 무대의 소도구 하나하나도 작품의 일부로 인식하였으며 이용함으로써 무대라는 영역의 환상적인 특성을 축소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포스트모던댄스그룹들의 창작작업에 나타난 즉흥의 특성은 창작과정에서 발생한 안무방식의 변화와 그로 인하여 무용언어의 다양한 발견과 사회적 이슈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실생활을 무대로 접근시킨 점이었다. 오늘날의 안무방법과 무용교육, 치료의 수단으로서 즉흥이 소개되고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무용작업에 있어서도 창의적 표현방법으로 지속적으로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포스트모던댄스그룹들의 즉흥의 특성은 모든 가능성을 보여주고 실험할 수 있는 표현기법으로 오늘날 무용가들에게 도전할 수 있는 힘과 실험정신을 선사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4 A. 포스트모던댄스의 출현배경 = 4 B. 즉흥의 개념 및 발전 = 12 III. 포스트모던댄스그룹들의 활동과 즉흥작업 = 20 A. 샌프란시스코 댄서스 워크샵(San Francisco Dancers Workshop) = 20 B. 저드슨 그룹(Judson Dance Theater) = 25 C. 그랜드 유니온(The Grand Union) = 37 D. 접촉즉흥 그룹(Contact Improvisation Group) = 42 IV. 포스트모던댄스그룹의 창작작업에서의 즉흥의 중요성 = 50 A. 사회적 의미 = 50 1. 움직임 = 50 2. 공간개념 = 56 B. 표현적 기법 = 59 1. 움직임 = 59 2. 공간개념 = 65 C. 탈 무대화 = 69 1. 움직임 = 69 2. 공간개념 = 71 D. 예술로서의 가치창조 = 74 1. 움직임 = 74 2. 공간개념 = 78 V. 결론 = 81 참고문헌 = 84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75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포스트모던댄스그룹의 창작작업에 나타난 즉흥의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ttributes of Improvisation Reflected in Creation Work of Post-Modern Dance Groups-
dc.creator.othernameAn, Joo Ae-
dc.format.pagev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