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유미-
dc.creator김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2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49-
dc.description.abstractToday, dance combines artists, properties and works of art into the body of human and generally spectators who see dancing try to perceive symbolic meaning of the objects which are expressed by visual work of art performed by art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expressional symbolism of Hahoe byulsingud mask dance which was the archetype of the today's performance art and the primitive origin of the Korean dance. Through gestures and properties of primitive and undifferentiated mask dancing, It investigated visual expression and its symbolism which includes Korean feelings and also investigate it as reference which presents diversity of themes of Korean dance and expression of themes To achieve this objec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terature and audio-visual material. Also to understand expressional symbolism of Hahoe byulsingud mask dance it investigated the origin, contents, characteristic and structure and then investigated the concept of symbol. Next, It investigated dance's characteristic of Hahoe byulsingud mask dance and symbolism of masks' shape and to understand what kind of expressional symbol these have, it investigated each chapter. Hahoe byulsingud mask dance has been performed since 12th century at Hahoe village, Andong, Kyungsang bukdo by commerners. 9 characters appear on th 10 stage and each has its own movement and mask with strong individuality. These help each stage's theme expressed symbolically and show diversity of each stage's theme. So it could extracted 5 main factors of expressional symbolism of Hahoe byulsingud mask dance from characteristics of each character's dance and symbolism of the masks' shape altogether. A wife actor-play dramatizes new year's ceremony by presenting marriage ceremony and sexual intercourse of a bridal room and audiences' participation as a public factor raises pleasure of the mask dance. As a ironic and witty factor, it criticizes reality of human society by expressing social discrimination and secularization out of relogious precepts. As a festival factor, it symbolizes mask dance itself is a festival which raises vitality of life and the audiences feel pleasure in that. And last as a artistic factor, masks's shapes are appreciated as a world-wide masterpiece and dance performance decides characters' characteristics and the style of mask performance and it has complex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 So now by presenting diversity of theme choice of Korean dance and diversity of methods how to express the theme, studying expressional symbolism of Hahoe byulsingud mask dance looks closely into the possibility of presenting more active and creative move in the creational work of Korean dance. And this is the study which prepares theoretical base of expressional symbol to develop performing art of Korean dance and presents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of Korean dance.;오늘날 무용에서는 예술가, 소도구, 작품 등이 인간의 인체와 구성되어 표현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무용을 보는 관객은 그러한 예술가의 예술작품을 감상하면서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대상의 상징적 의미를 지각하려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공연예술의 원형이자 한국무용의 원시적 기원인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표현적 상징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원시적이고도 미분화된 탈놀이의 몸짓과 소품을 통해 한국적 정서가 담긴 시각적인 표현과 그 상징성을 알아보고 공연에 쓰일 한국무용 주제의 다양화와 주제 표현에 있어서 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는 자료를 제시하려는 연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시청각 자료 연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표현적 상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유래와 내용 및 성격, 구조를 알아본 후 일반적 상징개념과 무용에 나타난 상징성을 알아보았다. 다음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춤의 특성과 탈의 조형적인 상징성을 알아본 후 이것이 어떠한 표현적 상징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 마당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에서 12세기부터 상민들에 의해서 연희되어온 탈놀이이다. 총 9명의 인물이 10가지 과장을 통해 등장하며 각각의 인물은 정해진 동작과 개성 넘치는 탈을 갖고 있다. 이것이 각 마당의 주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데 일조하였으며 각 마당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의 다양함도 있었다. 그리하여 인물의 춤 특성과 탈의 조형적 상징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결과 크게 다섯 가지 요소로 하회 별신굿 탈놀이 표현의 상징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제의를 상징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초례의 절하기와 신방의 성행위를 연출하는 각시광대놀이는 신년제의(新年祭儀)를 극화시켰으며 대중적 요소로 관객의 참여가 탈놀이의 진행에 흥을 높이는데 일조한다는 점이다. 풍자와 해학적 요소로 사회적인 신분 차별, 종교적 계율에서 벗어나 세속을 추구함의 표현 등에서 인간 사회의 현실 비판적 형상을 갖고 있었으며 축제적 요소로 그 안에서 웃고 즐거움을 느낀 관객은 탈놀이에 몰입되고 탈놀이 자체가 삶의 생동성을 높이는 놀이판임을 상징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술적 요소로 소품에서 볼 수 있는 탈의 조형성은 이미 세계적 수준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을 뿐 아니라 춤사위는 탈놀이의 연희 형태로 인물의 성격과 탈놀이의 양식을 결정지으면서 문화예술의 복합적 성격을 갖고 있다. 오랜 시간을 통해 전해 내려온 하나의 탈놀이 공연이지만 그 안에 인물의 동작특성과 탈의 조형적 생김새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나온 상징적인 표현들이 있다. 이로써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표현적 상징성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무용 주제선택의 다양화와 함께 주제를 표현하는데 방법의 다양화를 제시함으로 나아가 한국무용 공연의 창작작업시 보다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움직임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규명하고 있다. 또한 한국무용의 공연예술 발전을 위한 표현적 상징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하회 별신굿 탈놀이 = 5 1.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유래 = 5 2. 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성격과 구조 = 9 B. 상징성 = 13 1. 상징의 개념 = 13 2. 탈춤의 상징성 = 14 Ⅲ. 하회 별신굿 탈놀이 춤의 특성 및 내용 = 16 A. 하회 별신굿 탈놀이 춤의 특성과 탈의 상징성 = 16 B. 각 마당의 내용 = 28 1. 강신 = 28 2. 무동마당 = 29 3. 주지마당 = 30 4. 백정마당 = 31 5. 할미마당 = 33 6. 중마당 = 34 7. 양반선비마당 = 36 8. 당제 = 38 9. 혼례마당 = 39 10. 신방마당 = 40 Ⅳ. 하회 별신굿 탈놀이가 갖는 표현의 상징적 특징 = 42 A. 제의적 요소 = 42 B. 대중적 요소 = 45 C. 풍자 해학적 요소 = 47 D. 축제적 요소 = 50 E. 예술적 요소 = 52 Ⅴ. 결론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60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78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하회 별신굿 탈놀이의 표현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xpressive Symbol of Hahoe Byolsingud Mask play-
dc.creator.othernameKim, Yu Mi-
dc.format.pagevi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