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희-
dc.creator박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85-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다 변화, 다 문화의 시대로 세계화의 개념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화 문화는 문화 전반에 걸쳐 조합과 조화의 형태인 크로스오버 문화(Cross Over Culture)를 과급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고 이와 같은 현상은 오늘날의 무용공연예술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기존의 개체별 장르방식을 과감히 탈피하면서 타 장르와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양식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다양한 표현양식의 결합에 의해 여러 매체와 여러 장르의 양식이 혼합되어 영역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탈영역화 현상, 탈장르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용공연예술분야에서 이러한 현상은 미국 후기 현대무용계에서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으로 1960년대 활동을 하던 저드슨 그룹이 해체되고 1970년에 이르러 그랜드 유니온이 결성되면서 더욱 다양한 안무 방식과 실험적인 무용형식이 나타나면서 이루어진다. 이 시기 대표적인 안무가라 할 수 있는 트왈라 타프는 기존의 현대무용의 개념을 무너뜨린 안무가로써, 1970년대 이후 전통적이고 대중적인 것을 수용하여 여러 형태의 무용을 혼합하는 새로운 안무 스타일을 추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음악적, 연극적 요소와 영상매체와의 혼합을 하는 등 타 장르, 타 매체와의 크로스오버 현상을 두드러지게 보여준 안무가로 꼽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크로스오버의 개념과 기원과 발전, 무용공연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크로스오버현상에 대해 알아보고 트왈라 타프의 작품 중 크로스오버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작품으로 「Deuse Coupe」, 「The Catherine Wheel」, 「White Night」, 「Movin Out」을 주제, 움직임, 음악과 무대미술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살펴보고, 크로스오버 현상이 트와일라 타프의 창작 작업에 있어서 어떻게 인식되고 중요하게 다뤄졌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트왈라 타프의 작품에서 나타난 크로스 오버 현상으로 세 가지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발레와 현대무용, 다양한 무용장르의 혼합과 둘째, 비디오 매체를 이용하여 제한된 무대예술의 한계를 보안해 준 것과 셋째, 영화와 뮤지컬과 같은 타 예술분야에서의 협력 작업을 한 것이다. 이러한 타프가 보여준 크로스오버적 특징을 통해 그녀가 춤 공연의 총체성을 도모하려 하였으며 가능한 표현적 요소를 재수용하려는 노력을 볼 수 있었다. 오늘날 무용공연예술은 자유로움과 개성, 새로움을 창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때문에 타 매체와 타 장르의 수용과 같은 복합적인 춤의 형태를 통해 새로운 표현 방식의 연구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this modern society,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has been diffused being expressed as the age of multi-changing and of multi-culture in all fields, including social, economy, political and cultural life. This globalized culture has caused excessive supply of crossover culture, which is a form of combination and harmony across entire culture, and such a phenomenon is no exception in the dance and performing arts field of today. Getting rid of conventional genre method according to individual entity boldly and drastically, Twyla Tharp’s her works has been expanding as with new style through engrafting onto other genre. Such movements have been revealed as deterritorialisation and anti-genre phenomenon where borders between fields are becoming unclear or ambiguous due to the mixture of various media and genres on account of combinations of a variety of expression styles. Such phenomenon in the field of dance and performing arts is remarkable occurrence appeared in the late modern dance circle in the United States, and having organized Grand Union in 1970 after disbanded Judson Group which was active in 1960s, much more varied method of choreography and experimental dance style were appeared and accomplished. Twayla Tharp who is considered a prominent choreographer representing this time is the choreographer who laid the conventional concepts of modern dance down, and pursued a new choreographic style that mixes variety of dance styles having accommodated traditional and popular dance forms after 1970s. Moreover, Twayla Tharp can be counted as a capable choreographer who displayed conspicuously the crossover phenomena associated with other genre and media having combined musical, dramatic factors with visual media and so on. In this paper, therefore, researcher aims to identify how crossover phenomenon was perceived and importantly dealt with in creative works of Twyla Tharp, having investigated the concept of crossover, and its origin and developmental stages with careful review of her choreographic works among many, such as 「Deuse Coupe」, 「The Catherine Wheel」, 「White Night」, and 「Movin‘ Out」, in which crossover phenomena had been exhibited remarkably with a focus on theme, movements, music and stage design thereof. Through this study, 3 crossover phenomena were derived in the works of Twyla Tharp. First, her works mixed ballet, modern dance and different genre of dances. Second, her works compensated limitation of the restricted performing arts by using video media. Third, she tried to work collaboratively with other arts such as movie, musical and etc. Through this crossover characteristics in her works, Tharp tried to seek integrity of dance performance and adopt possible expressive elements. Even today, efforts in order to create unconventionality, individuality, and freshness or newness have been exerting continuously. Thus, researches on new expression method through means of composite style of dance as with acceptance of other media and genre should be conducted without interrup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크로스오버의 개념 = 5 B. 크로스오버 문화의 기원과 발전 = 7 C. 무용공연에 나타난 크로스오버 = 11 1. 타 예술과의 크로스오버 = 12 2. 무용장르내의 크로스오버 = 14 Ⅲ. 트왈라 타프의 예술활동 = 17 A. 트왈라 타프의 성장과정과 무용활동 = 17 B. 트왈라 타프의 작품세계 = 23 Ⅳ. 트왈라 타프 작품에 나타난 크로스오버적 특징 = 28 A. Deuse Coupe (1973) = 28 1. 주제 및 내용 = 28 2. 움직임 = 29 3. 음악과 무대미술 = 32 4. 타 매체와의 결합 = 33 B. The Catherine Wheel (1981) = 35 1. 주제 및 내용 = 35 2. 움직임 = 36 3. 음악과 무대미술 = 38 4. 타 매체와의 결합 = 41 C. White Night (1985) = 43 1. 주제 및 내용 = 43 2. 움직임 = 45 3. 음악과 무대미술 = 46 4. 타 매체와의 결합 = 50 D. Movin' Out (2003) = 52 1. 주제 및 내용 = 52 2. 움직임 = 54 3. 음악과 무대미술 = 55 4. 타 매체와의 결합 = 56 Ⅴ. 결론 = 59 참고문헌 = 62 부록 <Twyla Tharp의 작품연보> = 67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60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Twyla Tharp 작품에서 나타난 크로스오버(Crossover)현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rossover Phenomena that appeared in Twyla Tharp’s Choreographic Works-
dc.creator.othernamePARK, Eun Hee-
dc.format.pagevii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무용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