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나이테의 이미지를 표현한 도자조형 연구

Title
나이테의 이미지를 표현한 도자조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nnual Ring Marks on Trees as a Creative Idea in Ceramic Art
Authors
주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all natural things, there exists a harmony between discipline and necessity. Incessant changes have allowed nature to possess infinite beauty. Human beings live by the provision of nature and for centuries created art in many different methods inspired by it. Aesthetics found in nature has been most influential in creating formative images, while giving birth to new expressions in art. The study focuses on the annual rings found in trees. The objective is to combine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rees and integrate them with human life forms. It is a subjective view of trees and human life expressed in clay. The forms attempt to portray naturalness simultaneously as incorporating the artist's inner emo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nature was examined for the study. The theoretical conceptions for translating subjective images into clay were researched. In addition to this, the symbolism of annual rings were studied. For this, the biological aspects of trees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conducted researches on artists who have applied the same subject matter into their artworks. Both the works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artists were carefully observe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annual rings, tree trucks and stumps were studied. The different forms of annual rings, different layering structures, textures and trees were examined. The original tree and annual ring shapes were re-interpreted through simplification and transformation. The clay works were coiled for organic expressions and layering of different surfaces were done through the method of slab-building. Pressing-molding technique was also applied. The San-white stoneware clay body was used. For the surface, British manufactured color pigment were mixed with terra sigillata and poured on some works. With some, a combination of iron and mangane oxides were applied to exaggerate the annual rings. After application, the oxides were partially wiped off. Terra sigillata mixed with black color pigment was applied after the bisquit firing. This was also wiped off partially. On another work, black matt glaze was applied. After firing terra sigillata mixed with Green, Yellow, Deep Red, Gray Purple, Orange, Cobalt, Peacock Green Magenta Pink was applied. This was then put into a third firing. There are also pieces where matt and transparent glazes were applied randomly with large water contents. The firing was conducted in a 0.3㎥ electric kiln reaching a temperature of 800℃ in 8 hours. The second glaze firing was also conducted in a 0.3㎥ electric kiln. This reached 1250℃ in 10 hours in an oxidized condition. Some pieces were fired 3 times to a temperature of 1250℃. This took 10 hours. The study has proven that annual rings, which are only one aspect of a tree, can develop to give infinite creative ideas. Despite the fact that the annual rings on a tree are two dimensional, the study has attempted to make three dimensional interpretations. Due to the fact that both human beings and trees are a part of nature, the study endeavored to focus on this aspect to express the inner emotions of the maker and trees. Clay was most appropriate for creating the artworks and many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glaze and terra sigillata. Therefore, more than two colors were portrayed with color pigments and terra sigillata. The clay pieces are made into series, having more than just one piece. Today we are living in a period where issues on nature are being actively discussed. The clay works for this study can fit appropriately into a living space. The study has examined annual rings of trees which are only visible after a tree is chopped down. The life of a tree is no different to the life of a human being. It is this that the study focuses on to make a subjective statement.;자연의 모든 것은 질서와 필연적인 관계에 의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무한한 신비감을 가지고 있다. 자연의 이런 섭리 안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자연의 미를 예술의 소재로 삼아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변화하는 자연의 모습에서 느끼는 이미지는 다양하며 예술가는 관찰과 경험, 내적 의식을 통해 자신이 느낀 이미지들을 조형적으로 시각화함으로써 새로운 조형 작품을 탄생시킨다. 자연을 이루고 있는 수많은 소재 중에서 나이테는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고 삶의 흔적을 안고 있으며 나무를 베어야만 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오래된 나무 일수록 나이테의 수가 많다는 사실을 통해 인간에게 생기는 ‘연륜’의 이미지와 같다고 보았으며 이것을 연구의 동기로 삼았다. 그래서 우리의 삶 속에서 찾을 수 있는 나이테의 이미지를 주관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 도자 조형 예술로 표현함으로써 자연을 느끼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자연과 예술의 관계를 알아보고 소재가 갖고 있는 이미지를 조형화하기 위한 이론적인 개념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나이테가 갖고 있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나이테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나이테를 소재로 한 조형작품과 나이테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사례를 연구하여 다양한 표현방법과 조형성을 참고 하였다. 작품의 조형과정에서는 나이테의 여러 형태와 층층이 쌓여 있는 나무토막 등 나이테가 드러나 있는 그루터기를 단순화 또는 입체화 하였으며 나무의 표면 질감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나타내었다. 제작 방법으로는 자유로운 형태 표현을 위해 코일링 기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겹겹이 쌓이는 모습과 나무의 질감 표현을 위해 판 성형 기법과 석고 틀을 이용한 가압 성형기법을 병행 하였다. 태토는 조형작품 제작에 적합한 석기질점토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기(器)로도 쓰임이 가능한 <작품3>은 기능적인 면과 형태제작에도 적합한 산백토로 성형하였다. 전체적으로 나이테의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테라시질라타에 안료(Johnson Matte,영국산)를 섞어 붓으로 칠해 주었으며 <작품1, 8, 9>에는 나무의 질감을 살리기 위해 산화철과 망간을 물에 혼합하여 칠한 후 닦아내었으며 <작품2>는 나이테를 음각으로 표현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초벌 전 Black안료를 섞은 테라시질라타를 바르고 닦아내었다. <작품3, 5>는 흑색 매트유를 바르고 재벌 소성한 다음 Green, Yellow, Deep Red, Light Green, Orange, Cobalt, Sky Blue, Magenta Pink 등을 혼합한 테라시질라타를 각각 바르거나 닦아내어 3차 소성하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발색이 잘 되도록 <작품4, 7, 8>은 투명 무광유를 <작품1, 2, 3, 5, 6, 9, 10>은 투명유를 분무 시유하였다.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800℃까지 8시간 동안 1차 소성 한 후, 2차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1250℃를 마침 온도로 10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을 하였다. <작품3, 5>는 0.3㎥ 전기가마에서 1250℃를 마침온도로 10시간 동안 3차 소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록 나이테가 나무의 단면에 보이는 평면적인 동심원 형태이지만 이것을 입체화함으로써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소재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이테도 자연의 유기체이기 때문에 생명력과 함께 인간의 삶과 비슷한 이미지를 작업 과정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이 같은 이미지를 흙의 물성으로 표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가지의 색으로 보여 지는 나이테지만 안료와 테라시질라타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의 사용이 가능하며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확실히 보여 줄 수 있었다. 또한 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서 하나의 작품을 여러 개의 군집으로 표현 하는 방법도 소재를 더욱 극대화하고 부각시킬 수 있는 적절한 표현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연적인 소재를 이미지화 한 조형물들은 ‘자연’이라는 주제에 관심이 많은 요즘 시대의 주거 환경에 자연스럽게 어울려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나무를 베어야만 볼 수 있는 나이테지만 그 속에 담고 있는 이미지들이 우리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러한 이미지를 작가의 내면세계와의 교감을 통해 창의적인 자신만의 표현 방식으로 발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