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문경-
dc.creator최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2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266-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the character, attitude and purchase of consumer about the low-calorie fo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28 man and woman. They are over 20 years old and living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such as a concern of body and heath, consumer attitude and consumer behavior about the low-calorie food. And then we make an investigation into diet.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And also we analyze the degree of dispersion and relevance by one-way ANOVA verification and Chi-square distribu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 character of social economy and information ability of low-calorie food were related like this. The women, higher education and higher income group have strong information ability of low-calorie food. Second, the consumer attitude according to character of social economy was related like this. The women, higher education group has positive attitude to low-calorie food. And the consumer attitude according to character of body and health was related like this. When increase in concern of health, experiences of diet, normal weight group has positive attitude to low-calorie food. Third, purchasing and non-purchasing group was positively related to character of consumer, information ability and consumer attitude like this. The women, bachelor's degree group, under two million won income of a month, students, house wife group and office worker has higher purchasing frequency to low-calorie food. And higher concern of health and normal weight group has higher purchasing frequency, too. Finally, the positive attitude of consumer has higher purchasing frequency to low-calorie food. It is suggested that consumer attitudes was related to low-calorie food. But have to consider the character of social economy and health. We have to research about the consumer behavior and important factors toward low-calorie food in the future.;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올바른 식품구매활동을 통하여 건전한 식생활과 건강을 유지,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범위를 ‘저칼로리 식품’으로 국한하여 소비자들의 지식수준과 태도가 저칼로리 식품의 구매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식품정보의 획득과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저칼로리 식품이 다이어트의 사전적 의미인 미용이나 건강을 이유로 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규정식 또는 체중조절을 위한 식이로만 국한시키지 않았다. 광범위한 범위의 건강을 지향하는 것으로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 소비자 태도 그리고 이들이 저칼로리 식품 구매와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 특성에 따라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태도를 파악하고, 저칼로리 식품의 구매여부에 따라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저칼로리 식품 구매와 관련된 소비자 특성, 태도 및 구매행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조사는 서울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소비자 중 50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법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무응답이 많은 불성실한 자료와 비회수설문지를 제외하고 42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 태도 및 구매여부 그리고 신체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사회경제학적 특성과 관련된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았다. one-way ANOVA를 통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DUNCAN의 사후검증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t검정을 산출하여 변인 및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변수간의 연관성 유무를 측정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통한 χ2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특성과 신체건강관련 특성에 따라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지식수준은 여성, 2년제 이상 대졸집단, 400만원 이상의 고소득집단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지식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사회경제적 특성과 신체건강관련 특성에 따라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니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소비자태도는 여성,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에서 저칼로리 식품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신체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소비자태도는 신체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할수록 다이어트 경험이 있는 집단, 자신의 신체에 대한 주관적 인지가 보통체중인 집단에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셋째, 저칼로리 식품 구매 집단과 비구매집단에 따라 소비자특성, 지식수준, 태도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한 결과, 우선 사회경제적 특성과 신체건강관련 특성의 차이를 보면 여성, 2년제 이상 대졸자집단, 월평균가계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 학생, 주부, 무직, 사무직에서 구매빈도가 높았으며 신체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집단, 정상체중집단, 신체에 대한 주관적 인지가 보통체중인 집단에서 구매빈도가 높았다. 또한 구매집단과 비구매집간의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은 어떠한 차이를 있는지 분석해 보았지만 지식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구매집단과 비구매집단간의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태도는 어떠한 차이를 있는지 분석한 결과 소비자 태도가 중, 상인 긍정적인 집단에서 구매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은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행동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가운데 기초자료로써 연구의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위의 결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지식수준이 구매집단과 비구매집단간의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는 지식수준과 구매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지식수준 자체가 직접적으로 구매로 이어진다고 할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소비자들이 처한 시장 환경으로 인한 원인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당수의 구매는 충분한 지식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도 있는데 소비자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소비자의 정보탐색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위의 결과와 같이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구매로 이어짐을 알 수 있는데 호의적 태도를 가지는 집단이 구매의사가 높다는 기존의 연구와도 동일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변수와의 측정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소비자 태도와 구매가 모든 상황에서 반드시 일치한다고 볼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바와 같이 교육, 소득, 과거의 경험 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하여 달라 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소비자는 저칼로리 식품 구매시 지식을 갖춘 상태에서 선택기준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는 반드시 식품 정보를 확인한 후 구매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기업측면에서도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올바른 식품정보표시를 의무화해야 할 것이며 소비자들이 원하는 식품정보를 허위, 과장 없이 기록하여 소비자들이 믿고 선택할 수 있게 도움을 주어야만 한다. 다섯째, 소비자의 3대 권리 즉, 안전할 권리, 알권리, 참여할 권리가 충족될 수 있도록 제조업계는 물론 정부기관 등 많은 분야에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 본 논문이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전환하고 올바른 지식과 정보로 활용되어 저칼로리 식품의 구매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실용화 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6 Ⅱ. 이론적 고찰 = 7 A. 저칼로리 식품 = 7 1. 저칼로리 식품의 개념 및 특성 = 7 2. 다이어트 식품시장 현황과 문제점 = 15 B. 식품 관련 선행연구 고찰 = 20 1. 소비자 지식 영역 = 20 2. 소비자 태도 영역 = 24 3. 소비자 구매 영역 = 26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문제 = 28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29 V. 연구결과 분석 및 해석 = 32 A. 조사대상자의 특성 = 32 B.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 = 36 C. 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 43 D. 저칼로리 식품의 구매집단과 비구매집단간의 비교 = 47 IV. 결론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65 <부록> 설문지 = 70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37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저칼로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nsumer Behavior of Low-Calorie Food-
dc.creator.othernameChoi, Moon-Kyung-
dc.format.pagevi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