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혜연-
dc.creator신혜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1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188-
dc.description.abstractThere are things around us which we often overlook the importance for they are common in everywhere, despite that we cannot live without them. Air and water could be one of the examples. In particular, ten numbers from 0 to 9, which are the basic of all numbers, fall under this. It is true that our daily life can be interpreted in association with the infinite mixture of these ten numbers. Upon recalling the epigram of St. Isidorus, lived in 600s that, "Get rid of the numbers on everything, then everything is going to disappear", our life might be meaningless, or it could be even impossible to live our daily life without these numbers. Arabic numerals which we use daily are the method of transcript the number as letter according to culture, language and an era, also it represent 'mark' or 'sign'. Semiotics views artistic work as a sign hence the image of work becomes an object to be interpreted. Effort to interpret or read the image is possible only because there are accumulated abbreviations exist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In other words, operating capability of sign exists within the socially-recognized abbreviation. Therefore, interpreting works is not something that recipient alone try to grasp the sign secretly made by an artist, but it is rather constructing the artistic consensus while interacting with abbreviations that constitute the recipients? mentality as well as the signs agreed in intellectual, psych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 surrounding the artist. As Peirce marked, "Sign is something that produces inner mass on human mentality to the surface". That is, sign process occurring between sign and the object is concertized as active process in which interaction between the sign and object take place in observer?s mind. Numbers are signs. Likewise, numbers are represented as an artistic figure of image from the researcher in conformity with the perspective and view of observing an object. Art has no common rules unlike any standardized products. It means that art is about creating and expressing the new world of figuration while the figure satisfies rationality. At the same time, it is a work which constantly transforms the figures in artistic way by vivid and rational force. Territory of art is expanding in terms of the variety of genre and, unlike the past in which it was unfolded with specific forms, now it includes various subject, techniques, and artistic intention. Particularly, as Conceptual art rises, focus is being shifted from figure and material to concept and meaning while utilizing language-character-number themselves.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probability of polysemous expression between reality and configuration and is trying to visualize figure of numbers which are commonly used as sign through transformed image with this artistic work. That means, it is about studying the law of visual language to understand how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figuration of numbers is being implemented. This research finds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l meaning in visual art and visual signs to configurated theories and terms needed to explain visual communication with linguistics or semiotics and did research on semiotics expression through figuration of numbers. Therefore this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ime-nature by figuration of numbers from one to twelve which indicates time. Numbers are tools which made serial numbers up to means of communication. This researcher looked at the origin of Arabic numerals which are widely used nowadays, and tried to explain the artistic works made of numbers which stand for time while analyzing and comparing with contemporary arts through formative interpretation. With these numbers, researcher tried to sho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which each artistic work conveys by setting up the esthetic relationship. Putting image, text, and object at unexpected context such as art gallery or street, researcher tried to attract interest into the context. Connecting this work to semiotics, image of numbers that the work conveys is expressed as a sign and is recognized differently by each appreciator through time-nature expression among the numerous meanings of numb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derived images is formed. In order to express numbers configuration through semiotics interpretation, this researcher studied visually-revealed change of phenomenon with reiteration and repetition as means of expression. Anyone on earth feels the time nature which is repetitively shown with circulation of the nature in the system of universe, and lives while thinking through visual and mental experience. Being is the aggregation of something that is said to exist and, from the visible to the invisible, is recognized and proved within time and space through conscious and unconsciousness. That means, basing on the flow of time which exists in the consciousness of human, by expressing observation toward existence on textile the artist tried to express continuity, flow, and change with figure of the numbers through repeating reiteration effect of vertical-horizontal reiteration of surfaces and embroidery. In other words, taking numbers which facing daily as an artistic object this artist conducted repetitive works, wanting to put the figures as a form of life which I exist in. Repetition means that every visual factor of unit figure such as form, size, color, and feel of material has to be same. This artistic work includes, as gradually repetition of unit figure, orderly changes or changing continuous arrangement which means gradual changes of unit figure. This can be expressed in three different ways-gradation that numbers being repeated with its size changing, gradation that only figure being changed while size is repeated, and simultaneous gradation that both figure and size being changed. Characteristic of formative effect is having visual unity, regularity and that it appears to be solid aggregate. Also, repetitive formation differs its characteristic in accordance with its direction which means that it can be a wall formation if proceeded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nly and steric effect of three dimension if front and rear direction is added onto this. Likewise, recording numbers repetitively is one of the ways to show that something has existed. Through the process of recording, reiteration of numbers take place infinitely and changes are happened at the same time, which hides the original figure. With regard to figures reflected on a mirror or reiterated, it is difficult to point out what a fact widely known really is because the object that we recognize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actual object. In particular, this researcher has created fiber-focused embroidery model with an effort to read inner side through semiotics model language and interpret the configuration of numbers.;우리 주위에는 절대로 없어서는 안 되지만, 너무 흔해서 그 중요성을 잊고 있는 것들이 있다. 공기나 물이 그 같은 것들이다. 특히 모든 수의 기본이 되는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도 여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일상생활은 이 10개 숫자들의 무한한 조합 속에서 숫자에 의해 해석할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600년경에 살았던 성(聖) 이시도루스의 "모든 것에서 수를 없애보라. 그러면 모든 것이 사라져버릴 것이다."라는 경구의 의미를 되새겨 볼 때 이 숫자들이 없다면 우리 모두는 무의미한 생을 영위함은 물론이고, 어쩌면 생활 자체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현재 매일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는 문화, 언어 및 시대 등에 따라 수를 글자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표기' 또는 '기호'됨을 나타낸다. 기호학은 미술작품을 하나의 기호로 보며, 따라서 작품의 이미지는 해석대상으로 보는 것이다. 이미지를 해석하려는, 즉 읽어내려는 시도는 사회구성원들 간에 축적된 약호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사회적 인식 약호 속에 기호의 운용능력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작품해석이란, 미술가 혼자서 비밀스럽게 만든 기호를 수용자가 은밀하게 혼자 힘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미술가를 둘러싸고 있는 지적, 심리적, 사회적 관점에서 약속된 기호뿐만 아니라 수용자의 정신을 이루고 있는 약호들과 상호작용하여 형상화되면서 예술적인 교감이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퍼스는 "기호는 인간의 정신에 대한 내면적인 물질량을 표면으로 생산해 내는 어떤 것" 즉, 기호와 대상사이에 벌어지는 기호작용이 관찰자의 마음에서 기호체와 대상체의 교류로서 능동적인 작용이 구체화 된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숫자는 기호이다. 이처럼 본 연구자의 이미지화된 숫자는 대상을 보는 관점과 시각에 따라서 예술적인 형상으로 드러난다. 예술은 규격화되면서 제조되는 상품과는 달리 일반적인 규칙이 없다. 즉 예술은 새로운 형상화의 세계를 창조하고 표현하는 일이며 그 형(形)은 합리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생명적이고 합리적인 힘에 의하여 형(形)을 끊임없이 예술적으로 변형해 가는 일이기도 하다. 미술이라는 영역은 장르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특정한 양식을 중심으로 전개해온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주제와 기법, 그리고 예술적 의도들을 포괄한다. 특히 개념미술이 대두한 이후 형태나 재료에 관한 것이 아니라 개념과 의미에 중점을 두면서 언어-문자-숫자 그 자체를 이용한다. 본 연구자는 실재(實在)와 형상간의 다의적 표현 가능성에 관심을 갖고 기호로서 통용되는 숫자를 작품으로 형상화하여, 변형된 이미지를 통해 시각화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예술에서 관념적인 의미와 시각적 기호(Visual Signs)의 연관성을 찾아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용어를 기호학을 통해 해석하여 언어를 미술에 사용하게 된 시대적 흐름을 알아보고 그중에서 숫자의 분석을 통해 형상성을 연구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숫자가 가지고 있는 수많은 의미들 중에 시간을 나타내는 1부터 12까지의 기호를 형상화함으로써 시간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숫자라는 것은 일련번호를 전달도구로 만들어낸 도구이다. 본 연구자는 현재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의 기원을 알아보고 숫자를 조형적인 해석을 통해 사용한 현대미술들과 비교, 분석하여 본 연구자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의 표현으로 제작된 작품들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숫자를 통해 미학적인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작품마다 가지고 있는 시간성을 조형적 특징을 통해 보여 주려고 하였다. 이미지, 텍스트, 사물을 미술관이나 길거리 같은 얘기치 않은 문맥 속에 갖다놓아 그 문맥으로 관심을 끌어내는 것이다. 연구 작품을 기호학과 연관시켜볼 때, 작품이 지니는 숫자 이미지는 하나의 기호로서 표출되며, 수많은 수의 의미중 시간성 표현을 통해 감상자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어 실재 도출된 이미지와의 관계가 형성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숫자의 기호학적 해석을 통한 형상성을 표현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현상의 변화를 숫자의 중첩과 반복을 표현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누구나 자신이 속해 살아가는 우주의 질서 속에서 자연의 순환과 더불어 반복되어 드러나는 시간성을 느끼고 자연의 변화를 시각적, 정신적 경험을 통해 사유하며 살아간다. 존재는 있다고 말할 수 있는 모든 것의 총괄이며 보이는 것에서 보이지 않는 것까지 의식과 무의식을 통해 시간과 공간 안에서 인식되고 증명되어진다. 즉, 인간의 의식 속에 존재하는 시간의 흐름을 근거로 하고 존재에 대한 관찰을 섬유에 나타냄으로써 수평 수직을 통한 면의 중첩과 자수표현기법을 통한 중첩의 효과를 반복시켜 연속, 흐름, 변화라고 하는 시간성과 관련해 숫자형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본연구자작업에서는 낯선 소재가 아닌 매일 접하는 숫자들을 미적대상으로 삼고 그 형상들을 내가 존재하는 삶의 모습으로 담아보고자 반복적인 기록을 하게 된 것이다. 반복은 좁은 의미에서 형태, 크기, 색채, 질감 등 단위형태의 모든 시각요소들이 같아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본연구자의 작업은 단위형태의 점이적 반복으로 질서 정연하게 변이되거나 변화되는 연속적 배열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단위형태의 점차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이것은 숫자가 반복되며 크기만 변하는 점이, 크기가 반복되며 형태만 변하는 점이, 형태와 크기 등의 동시점이 3가지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형상의 반복으로 얻어지는 조형적 효과의 특징은 시각적 통일성, 규칙성을 주며 견고한 집합체로 보인다. 또 반복구성은 방향성에 따라 성격을 달리하는데 상하 또는 좌우로의 수평과 수직방향으로만 진행되면 벽면체 구성이 되며, 이에 덧붙여 전후의 방향이 추가되면 앞의 2면성과는 달리 3면성의 입체효과를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숫자를 반복적으로 기록한다는 것은 존재했었음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그 기록의 과정을 통해 숫자의 중첩이 무수히 일어나고 그와 동시에 변형이 일어남으로써 원래 형태는 가려지고 있다. 거울에 반사되거나 중첩되는 형태는 우리가 인식하는 대상이 실제대상과 정확히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보편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이 실제로는 어떠한 것이었는지 정확하게 지적하기는 어렵다. 특히 본 연구자는 기호학적 조형언어를 통해 내면을 읽어내고 숫자의 형상성을 해석하려 하는 새로운 방향성으로 섬유 중심의 자수조형을 창출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내용 및 방법 = 2 2. 기호학을 통한 언어의 형상성 = 4 2.1. 기호학 = 4 2.2. 언어의 형상성 = 9 3. 숫자의 형상성 = 25 3.1. 숫자의 기원 및 조형적 해석 = 25 3.2. 현대미술에서의 숫자 = 33 4. 작품제작 및 분석 = 47 4.1. 작품제작 = 47 4.2. 작품분석 = 51 5. 결론 = 66 참고문헌 = 69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066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호학적 해석을 통한 숫자의 형상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numbers configuration through semiotics interpretation-
dc.creator.othernameShin, Hye Yeon-
dc.format.pagex,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