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진-
dc.creator이은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7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training to support the adaptation and job performance capabilities of the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status,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the job training of the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reviewed the job training completion status, satisfaction for the job training and requirements for their job training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sex, experience and school size. The subject were 230 initial teachers under 5 years at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187 copies.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 use of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hi-square) and conducte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The findings were follows: Regarding the status of job training of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the beginner teachers complete job trainings three times a year in average and most of the training contents are how to teach subjects to the students. They did not deal with administration or personnel areas. Second, no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job training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When they chose job training, they placed the biggest importance on the contents. Third, the reason why they did not participate in job training was insufficiency of time. They could not find time for training because of overload. However, information insufficiency was another reason that teachers with less experience pointed. Regarding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the training; first, novice teachers showed better satisfaction for overall training than the average. However they showed less satisfaction for administration supports. Second, novice teachers thought job training made positive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capabilities at a little higher level than the average. Regarding the requirements of job training of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rst, they perceived the necessity of training for the beginner teachers and had strong will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sessions. Second, they felt that training would be mostly needed in student guidance area such as discipline, counseling and class management. They also thought that training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human relationship would be needed. However they felt that training for sense of value would not be needed such as general knowledge, theories of education and newest trend in educational field. Third, they preferred shorter period training, case study, participating practices and the ones hosted by senior teachers. Fourth, they perceived that Education Office or Educational Teaching Service Center should host the training for the novice teachers. Fifth, they requested to have training information search system as an administrative support and to reduce the workload.;교사양성기관을 졸업한 예비교사는 임용시험을 통과하고 불과 1~2달 만에 교사가 된다. 초임교사는 직전교육을 통해 교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많은 지식과 기술을 쌓았지만, 학교 현장의 실제에 대하여는 잘 알지 못한다. 그러나 입문과정 및 초기 사회화 과정이 비교적 느슨하고 비공식적인 교직의 특성상, 초임교사들은 경험과 전문성이 부족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도움이나 안내 없이 모든 일을 경력교사와 똑같이 수행하도록 요구받는다. 이 과정에서 초임교사들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혼란과 불안감, 무능력감을 경험하게 된다.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혼란과 무능력감은 앞으로의 교직생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전문적인 교사로 성장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초임교사가 갈등과 혼란을 극복하고 교직에 잘 적응하여 전문성을 갖춘 한 명의 교사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초임교사에게 그들의 요구와 필요에 적합한 공식적이고도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직무연수는 교사의 전문성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제공되는 공식적인 현직교육의 한 형태이며, 지금까지 현직 교사들의 직무능력 개발이나 전문성 향상 역시 연수라는 틀 아래 이루어졌다. 따라서 초임교사의 교직적응과 직무능력 개발을 위한 지원도 직무연수의 틀을 빌려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초임교사의 직무연수 이수 실태와 만족도,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하여 그들의 교직적응 및 직무능력 개발을 지원하는 연수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 초임교사들의 직무연수 이수 현황(이수 회수, 이수 시간, 교육내용, 직무연수 선택시 고려사항, 연수 촉진요인, 연수 방해요인)은 어떠한가? 2. 초등 초임교사들은 직무연수 만족도(교육내용 측면, 운영방식 측면, 행정적 지원 측면) 및 연수 효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3. 초등 초임교사들의 직무연수에 대한 요구사항(연수내용, 연수의 운영, 연수지원)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우선, 문헌분석을 통해 교사 발달 이론에 따른 초임기 교사의 특성,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의 내용, 초임교사 지원체제의 필요성과 종류, 현직교육과 직무연수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어서 초등 초임교사들의 직무연수 현황, 만족도, 요구사항을 탐색하기 위하여 경력 5년 미만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선행연구와 지도교수의 조언을 받아 직접 제작하였으며, 직무연수 이수 실태, 직무연수 만족도, 직무연수 요구사항 등, 3부로 나누어 총 48문항으로 개발하였다. 서울시교육청 소속 초임교사 230명을 무선 표집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성실히 응답한 187명의 의견을 통계처리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test 및 One-way ANOVA, x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초등 초임교사의 직무연수 현황과 관련하여 첫째, 초임교사는 주로 교육청이나 교육연수원을 통해 연간 평균 3회 가량의 직무연수를 이수하고 있었으며, 연수의 내용에 있어서는 교과지도 영역이 주를 이루었고, 행정업무 및 대인관계 영역 연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초등 초임교사들은 주로 전문성 신장을 위해 직무연수에 참여하며, 연수를 선택할 때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다. 셋째, 초임교사들이 직무연수에 참여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과다한 업무로 인한 시간부족 때문이었다. 또한 경력이 낮을수록 연수에 대한 정보 부족이 연수 참여를 제한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초등 초임교사의 직무연수 만족도 및 연수 효과 인식과 관련하여 첫째, 초임교사들이 직무연수 전반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는 대체적으로 보통보다 조금 낮았다. 연수 운영이나 연수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행정적 지원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초임교사들이 직무연수가 직무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보통보다 다소 높았다. 초등 초임교사의 직무연수 요구와 관련하여 첫째, 초임교사들은 초임교사 연수의 필요성에 매우 높게 공감하고 있었으며, 연수 참여 의지 또한 높았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생활지도 및 상담, 학급경영 등 학생지도 영역의 연수를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교수-학습방법과 대인관계 관련 연수의 필요성도 비교적 높게 인식하였다. 반면, 초임교사에게 일반교양이나 교육학 이론 및 최신 교육 동향 등, 가치관 영역의 연수는 불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수 시간에 있어서는 긴 시간보다는 짧은 시간의 연수를 선호하며, 연수의 방식이나 연수 강사의 선정에 있어서 교직에서 부딪치는 문제 상황에 대한 간접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사례연구, 참여실습 방식과 선배교사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임교사들은 교육청이나 교육연수원에서 초임교사 연수를 주관하여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초임교사는 직무연수와 관련한 행정적 지원사항으로 연수 정보를 안내해주는 시스템 마련과 업무 경감을 요구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초임교사의 교사 발달 = 5 B.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을 위한 지원 = 19 C. 현직교육과 직무연수 = 28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대상 = 38 B. 조사도구 = 39 C. 자료의 처리 = 4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42 A. 초등초임교사의 직무연수 이수 현황 = 42 B.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연수 만족도 및 연수 효과 = 52 C. 초임교사의 직무연수 요구 = 58 Ⅴ. 결론 = 70 A. 요약 및 결론 = 70 B. 제언 = 74 참고문헌 = 77 부록 = 80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38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 초임교사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직무연수 요구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Need Assessment for In-service Training Programme fo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Initial Teachers'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Lee, Eun Jin-
dc.format.pageix,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