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희원-
dc.creator윤희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읽기 및 쓰기 수업에서 협력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 수업이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협력적 읽기·쓰기 통합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이하 CIRC) 모형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CIRC 모형은 초등학교 읽기, 쓰기 등의 언어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모형(Madden 외, 1986)으로 본 연구에서 다루는 읽기와 쓰기 능력에 관한 학습을 연구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CIRC 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절차는 직접교수, 교사의 안내, 읽기와 쓰기의 통합,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집단 구성원들의 자발적 협력과 논의를 통한 학습자의 능동적인 언어 사용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는 전통 수업과 협력학습, 전통 수업과 컴퓨터 보조 학습의 학습효과를 비교하였으며, 협력학습과 컴퓨터 보조 학습이 전통수업에 비해 학습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협력학습과 컴퓨터 보조 학습 간의 학습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는 부족하였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력학습 집단을 실험집단으로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이 두 집단간의 학습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에게 협력학습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통해 읽기 및 쓰기 학습을 실시하였을 때 두 집단 간 학습자의 학습흥미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에게 협력학습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통해 읽기 및 쓰기 학습을 실시하였을 때 두 집단 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와 K초등학교에서 기초학습부진아로 판별된 60명의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두 초등학교를 본 연구의 실험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S초등학교와 K초등학교의 기초학습부진아 집단의 학년구성과 학업성취도가 유사하며, 두 집단의 사회·경제적 여건이 유사하기 때문이었다. 실험집단인 S초등학교의 협력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총 24차시로 구성되었으며, 1주에 3차시씩, 1차시에 40분씩 120분간이었다. 한편, 통제집단인 K초등학교에서는 서울초등국어 교과교육연구회에서 개발한 ‘기초학습 부진학생 지도자료’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실시하였다. 협력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적용한 수업에 비해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전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검사로 두 검사지의 내용타당도는 3-6학년 4명의 담임선생님들과 협의를 통하여 검증되었으며, 원 검사지의 문항 중 학습부진학생이 응답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문항은 삭제하여 검사지를 구성하였다. 실험 후에는 사후검사를 각 집단에 실시하여 협력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적용한 수업에 비해서 학습부진학생의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검사결과는 Windows SPSS 12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학습을 적용한 수업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적용한 수업의 실시 결과, 협력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적용한 집단에 비해 흥미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력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적용한 수업보다 읽기 및 쓰기 학습의 흥미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협력학습을 적용한 수업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적용한 수업의 실시 결과, 협력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적용한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력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을 적용한 수업보다 읽기 및 쓰기 학습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협력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개별학습을 강조하는 컴퓨터 보조 학습보다 학습부진아의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classes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in reading and composition targeting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on interest on learning and study achievements. The study examined definition of cooperative learning for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and various type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educational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is study applied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CIRC) model which appropriately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in Korean curriculum. Direct teaching, guide by teachers, integration of reading and composition, evaluation are performed in stage from classes applied with CIRC model and it should be per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students actively use languages through voluntary cooperation and discussion by the members of the group to achieve high learning effects. This study regarded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terest in learning and study achievements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us set the study tasks as follows. 1. Is th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interests in learning between students of two groups when reading and composition were conducted individually on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2. Is th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tudy achievements between students of two groups when reading and composition were conducted individually on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This study was experimented on 60 students between Grade 4~6 judged as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basic fields from S Elementary School and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seo-Gu, Seoul. Total of 120 minutes of classes of cooperative learning was conducted at 40 minutes per 1 class, 3 classes per 1 week, 24 classes in total in S Elementary school, experimental school. On the other h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using program called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basic fields' developed by Seoul Elementary School Korean Curriculum Study on K Elementary School, a controlled group. We proved the sameness of two groups by conducting preliminary tests on each group before conducting experiments to verify the effects on interests in learning and study achievement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to classes applied with those cooperative learning compared to classes applied with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Test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Interests in Learning and Study Achievements, the appropriateness of two test papers were verified by meetings with 4 teachers in charge of Grade 3~6, and the test paper was prepared by removing questions deemed to be in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o respond. After the experiments, post-test was conducted on each group and find out the effects of classe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on students' interests in learning and study achievement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by using Windows SPSS 12 Statistic Program. The summary o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onducting classe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show that classe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displayed meaningful difference ( p < .05) statistically in improving interests in reading compared to classes applied with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Therefore,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class is said to be more effective in interest in reading than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applied class. Second, the results of conducting classe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show that classe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displayed meaningful difference ( p < .05) statistically in improving interests in composition compared to classes applied with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Therefore,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class is said to be more effective in interest in composition than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applied class. Third, the results of conducting classe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show that classe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displayed meaningful difference ( p < .05) statistically in study achievements in reading compared to classes applied with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Therefore,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class is said to be more effective in study achievement in reading than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applied class. Fourth, the results of conducting classe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show that classe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displayed meaningful difference ( p < .05) statistically in study achievements in composition compared to classes applied with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Therefore,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class is said to be more effective in study achievement in composition than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applied class. This shows that class applied with cooperative learning conducted from this study i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ests in learning and study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by increasing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1. 학습부진아 = 4 2. 협력학습 = 4 3. 협력적 읽기 · 쓰기 통합(CIPC) 모형 = 4 4.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 = 5 5. 학습흥미 = 5 6. 학업성취도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학습부진아 = 7 1. 학습부진아의 정의 = 7 2. 학습부진아의 원인과 특성 = 8 B. 초등학생의 읽기 및 쓰기 능력 = 10 1. 읽기능력 = 10 2. 쓰기능력 = 11 C. 협력학습 = 13 1. 협력학습의 정의 = 13 2. 협력학습의 유형 = 15 D.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 = 19 1.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의 정의 = 19 2.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의 유형 = 20 E. 학습흥미 및 학업성취 = 22 1. 학습흥미의 개념 = 22 2. 학업성취의 정의 = 23 F. 관련 선행연구 = 24 1. 학습부진아의 협력학습 관련연구 = 24 2. 학습부진아의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 관련연구 = 26 3.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 관련연구 = 28 Ⅲ. 연구방법 = 29 A. 연구대상 = 29 B. 연구도구 = 29 1. 협력적 읽기·쓰기 통합(CIRC) 모형 = 29 2.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 도구 = 41 3. 학습흥미도 검사 = 42 4. 학업성취도 검사 = 43 C. 연구설계 및 절차 = 45 D. 자료 분석 방법 = 46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47 A. 읽기 및 쓰기 능력에서의 학습흥미도 분석 = 47 1. 읽기 능력에서의 학습흥미도 분석 = 47 2. 쓰기 능력에서의 학습흥미도 분석 = 49 B. 읽기 및 쓰기 능력에서의 학업성취도 분석 = 51 1. 읽기 능력에서의 학업성취도 분석 = 51 2. 쓰기 능력에서의 학업성취도 분석 = 52 Ⅴ. 결론 및 제언 = 55 A. 결론 및 논의 = 55 B.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 56 참고문헌 = 58 부록 = 64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430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습부진 초등학생의 읽기 및 쓰기학습에서 협력학습과 컴퓨터 보조 개별학습이 학습자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computer aided personal learning in reading and composition by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on students' interests and study achievements-
dc.creator.othernameYun, Hee Won-
dc.format.pagev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