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특성변인이 ICT 활용능력 수준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특성변인이 ICT 활용능력 수준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eacher-Related Variables on the Level of ICT-Using Ability and 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uthors
조수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day the society changed into high-level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and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driving such a change i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which has developed on the basis of digital technology. The power of comparative advantage in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lies in possess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school education is also focused on the ability to process and reproduce information as well as on production or acquisition of information. It is within this context that a series of activities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computer communication media in pursuit of wholistic changes including the content, methods, and targets of education, so-called ICT education, are actively performed. In activating ICT-using education to obtain practical learning effectiveness, it is not only important to build physical facilities such as distribution of educational software or computer-based construction or creation of ICT environment, bu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personal factors such as ICT-using ability or self-teacher efficacy in educational practices. teacher efficacy based on Bandura's theory of self-efficacy is one of important teacher variables. It can be said that teacher efficacy is belief in their ability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performance (Gibson & Dembo, 1984). According to studies on teacher efficacy, the degree of teacher efficacy varies in the face of classroom situations by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actual situations in classrooms (Ashton, Webb & Dada, 1983). They indicate that teachers with a higher efficacy are more likely to maintain a high academic level, manage students' participation in tasks positively, develop warm and supportive classroom environment (Ashton et al., 1983), use a lot of innovative teaching skills (Gibson & Dembo, 1984), and perform humanistic classroom management (Ashton & Webb, 1986).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one of knowledge and innovative teaching skills necessary for actual situations in educational practices today. The quality of ICT education has close association with teachers' level of ICT-using ability. In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ICT-using education is the main part of educational innovation and ICT-using ability of teachers who lead such a current is an important subject of discussions. This study aimed at determining if teachers' level of ICT-using ability and efficacy varied by many teacher-related variables (including teachers' age, the number of working years, frequency of using ICT, charge of ICT-related tasks, prize-awarding at ICT-related competition, experience in university subjects, recent experience in practical training, emphasis placed on using ICT by a principal) and considering if teacher efficacy varied by their level of ICT-using ability (advanced, intermediate, beginner) to provide basic data in making schemes to activate ICT-using education efficiently through the variable of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is study tri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Does teachers' level of ICT-using ability vary by teacher-related variables (age, the number of working years, frequency of using ICT, charge of ICT-related tasks, prize-awarding at ICT-related competition, experience in university subjects, recent experience in practical training, emphasis placed on using ICT by a principal)? 2. Does teacher efficacy vary by teacher-related variables (age, the number of working years, frequency of using ICT, charge of ICT-related tasks, prize-awarding at ICT-related competition, experience in university subjects, recent experience in practical training, emphasis placed on using ICT by a principal)? 3. Does elementary teachers' sens of efficacy vary by their level of ICT-using ability? To answer these questions,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mplementing ICT-using instruction or had experience in the instruction were conveniently sampled in Seoul to conduct a survey for a month of October.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y mail and 230 copies were returned; then, 223 copies went through statistical processing to analyze the results, excepting those with insincere responses. Among teachers' ICT-using ability evaluation tools developed jointl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e ICT-using ability evaluation scale for teachers was used to measure teachers' ability to use ICT. The translation of the teacher efficacy Scale manufactured by Tschannen-Moran and Woolfolk Hoy (2001) was used to measure teacher efficacy. For data analysi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related variables. Seco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in teachers' level of ICT-using ability and efficacy by teacher-related variables. Third,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by their level of ICT-using ability (advanced, intermediate, beginner) in order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level of ICT-using ability and efficacy. Fourth, post-tes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group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terms of question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ho were younger or who had less working career showed a higher level of ICT-using ability. Those who had high frequency of using ICT, who served as a chief of the educational information department, who completed ICT-related subjects at university, or who were awarded a prize in ICT-related competi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ICT-using ability. Much emphasis placed on using ICT by a principal led to a higher level of ICT-using ability among teachers than emphasis on the average.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older or had a larger number of working years showed a higher efficacy in Seoul. However, teacher efficacy had no association with their frequency of using ICT, charge of ICT-related tasks, prize-awarding in ICT-related competition, experience in university subjects, recent experience in practical training, and emphasis placed on using ICT by a principa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eacher efficacy, which is belief in their ability to teach students, is positively affected by their age and career. Third, after examining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by their level of ICT-using ability in Seou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by their level of ICT-using ability. These conclusions can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vel of ICT-using activity and efficacy in ICT-using education. First, as much emphasis placed on using ICT by a principal led to a higher level of ICT-using ability among teachers than emphasis on the averag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eachers to use ICT naturally when concerned or needed. S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CT-using ability between teachers in charge of ICT-related tasks and those in charge of no such task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CT-using ability in assigning tasks at elementary schools. The fact that teachers who had completed ICT-related subjects at university showed a greater ability to use ICT implies that universities currently cultiv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vide good pre-service education related to ICT. However,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ability to use ICT by experience in ICT-related training for the last two years indicates that training on using ICT for incumbent teachers fails to be proper or effective.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older or had a larger number of working years showed a higher efficacy in Seoul. This demonstrates that teacher efficacy which is belief in their ability to teach students develops as they have more experience in teaching. However, the fact that other teacher-related variables (frequency of using ICT, charge of ICT-related tasks, prize-awarding in ICT-related competition, experience in university subjects, recent experience in practical training, emphasis placed on using ICT by a principal) had no association with development of teacher efficac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ICT-using education currently being recognized as an innovative teaching skill and actively performed helpful to develop teacher efficacy.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efficacy by their level of ICT-using ability in Seoul. This implies that substantial ICT-us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ently applying ICT-using education in educational practices is of no help in improving their efficacy which is belief in their ability to manage students or lead classes.;오늘날의 사회는 고도의 지식정보사회로 변화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디지털 기술을 기초로 발전한 정보통신기술(ICT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이다. 지식정보사회에서 비교 우위의 힘은 정보와 지식의 소유 여부에 있으며, 미래의 인재를 길러내는 학교교육에서도 정보의 생산이나 습득뿐만 아니라 정보의 가공, 재생산 능력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컴퓨터 통신매체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교육의 내용, 방법, 대상 등을 포함한 총체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일련의 활동, 이른바 ICT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비롯된 것이다 ICT 활용교육을 활성화시켜 실제적인 학습효과를 이끌어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보급이나 컴퓨터 기반 구축과 같은 물리적인 시설이나 ICT 환경의 구축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실제 교실 현장에서 활용하는 교사의 ICT 활용능력이나 교사효능감과 같은 교사의 개인적 요인 또한 고려해야 한다. Bandura의 자아효능감 이론에 근거를 둔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은 중요한 교사 변인 중의 하나이다. 교사효능감이란 학생의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라고 할 수 있다(Gibson & Dembo, 1984).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연구들에 의하면, 교실의 실제 상황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 여부에 따라 교실 상황에 직면했을 때 교사효능감의 정도가 달라진다고 한다(Ashton, Webb, & Dada, 1983). 또한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일수록 높은 학문적 수준을 유지하고, 학생의 과제 참여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며, 따뜻하고 지원적인 교실환경을 개발하는 경향이 있고(Ashton Webb, & Dada, 1983), 혁신적인 교수기술을 많이 사용하고(Gibson & Dembo, 1984), 인본적인 학급 경영을 실시한다고 한다(Ashton & Webb, 1986). 오늘날 교육현장에서 교실의 실제 상황에 필요한 지식과 혁신적인 교수기술 중의 하나가 바로 정보통신기술(ICT)이다. 이러한 ICT 교육의 질은 교사의 ICT 활용능력 수준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지식정보사회에서 ICT 활용교육은 교육혁신의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을 주도해 나가는 교사의 ICT 활용능력은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교사특성변인(연령, 근무년수, ICT 활용빈도, ICT 관련업무담당 여부, ICT 관련경진대회수상경력 여부, 대학에서 ICT 관련교과수강경험 여부, 최근 ICT 연수경험 여부, 학교장의 ICT 활용강조 여부)에 따라 교사의 ICT 활용능력 수준 및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해보았다. 또한 교사의 ICT 활용능력 수준을 상위 집단, 중위 집단, 하위 집단으로 나누고 이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봄으로써 초등학교에서 교사라는 변인을 통해 ICT 활용교육을 효율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특성변인(연령, 근무년수, ICT 활용빈도, ICT 관련업무담당 여부, ICT 관련경진대회수상경력 여부, 대학에서 ICT 관련교과수강경험 여부, 최근 ICT 연수경험 여부, 학교장의 ICT 활용강조 여부)에 따라 교사의 ICT 활용능력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2. 교사특성변인(연령, 근무년수, ICT 활용빈도, ICT 관련업무담당 여부, ICT 관련경진대회수상경력 여부, 대학에서 ICT 관련교과수강경험 여부, 최근 ICT 연수경험 여부, 학교장의 ICT 활용강조 여부)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능력 수준에 따라 교사효능감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 방법으로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가운데 ICT 활용수업을 하고 있거나, 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 250명을 편의적으로 선정하여 10월 한 달 동안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총 250부가 우편으로 배부되어 230부가 회수되었고, 이 가운데 무성의한 설문을 제외하고 223부를 결과 분석을 위해 통계 처리하였다. 교사 ICT 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공동연구에 의해 개발된 교원 ICT 활용능력 평가 도구 중 교사용 ICT 활용능력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Tschannen-Moran과 Woolfolk와 Hoy(2001)가 제작한 교사효능감 질문지 ‘Teacher efficacy Scale(long form)'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첫째, 교사특성변인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기술통계량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사특성변인에 따른 ICT 활용능력 수준과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 가운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한 집단에 대해서는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교사의 ICT 활용능력 수준을 상위, 중위, 하위의 세 집단으로 나누고 이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는 연령이 낮거나 근무경력이 적을수록 ICT 활용능력 수준이 높았다. 또한 ICT 활용빈도가 높거나, 업무상으로는 교육정보부장을 담당한 교사, 그리고 대학에서 ICT 관련교과를 수강한 경험이 있거나 ICT 관련경진대회수상경력이 있는 교사들의 ICT 활용능력 수준이 더 높았다. 그러나 학교장이 ICT 활용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우보다 적절한 수준으로 권장하는 경우에 교사들의 ICT 활용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연령이 높거나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높았다. 그러나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ICT 활용빈도, ICT 관련업무담당 여부, ICT 관련경진대회수상경력 여부, 대학에서 ICT 관련교과수강경험 여부, 최근 ICT 연수경험 여부, 학교장의 ICT 활용강조 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을 가르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갖는 신념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연령과 경력에 의해서만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ICT 활용능력 수준을 상위, 중위, 하위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ICT 활용능력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론은 ICT 활용교육에 있어 초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능력 수준 및 교사효능감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학교장이 ICT 활용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우보다 적절한 수준으로 권장하는 경우에 교사들의 ICT 활용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사들이 스스로의 관심과 필요에 의해 자연스럽게 ICT를 활용하도록 유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ICT 관련업무를 담당하지 않은 교사들과 ICT 관련업무를 담당한 교사들의 ICT 활용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초등학교에서의 업무 배정에 있어 ICT 활용능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즉 ICT 활용능력 수준이 높은 교사에게는 ICT 관련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학에서 ICT 관련교과를 수강한 경험이 있는 교사의 ICT 활용능력이 높은 것은 현재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대학에서의 ICT 관련 직전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최근 2년 이내의 ICT 연수경험에 따른 교사의 ICT 활용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현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ICT 활용교사연수가 적절하지 않거나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연령이 높거나 근무년수가 많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았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을 가르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갖는 신념인 교사효능감은 교사로서의 경험이 오래될수록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교사특성변인들(ICT 활용빈도, ICT 관련업무담당 여부, ICT 관련경진대회수상경력 여부, 대학에서 ICT 관련교과수강경험 여부, 최근 ICT 연수경험 여부, 학교장의 ICT 활용강조 여부)은 교사효능감 발달과 관련이 없었는데, 이는 현재 혁신적인 교수 기술로 인식되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ICT 활용교육이 교사효능감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ICT 활용능력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현재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ICT 활용교육을 적용하고 있는 교사들의 실질적인 ICT 활용능력이, 학생을 잘 관리하거나 수업을 잘 이끌어 갈 수 있다는 교사의 신념인 교사효능감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