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지영-
dc.creator임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17-
dc.description.abstract고령화와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인인구의 신체적·심리적 기능 저하라는 특성과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치매 중풍 등의 노인성 만성질환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과 더불어 이로 인한 노인 및 부양가족은 신체적, 경제적 심리적 어려움에 접하게 만들며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킴으로 다중의 사회문제로 확대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정부는 2008년 7월부터 이러한 노인질환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에게 다양한 수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이로 인해 다양한 노인관련 시설들의 사회적 인식과 필요성이 더욱 제고될 예정이다. 특히 노인주간?단기보호시설은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시설이라는 열악함 속에 운영되어 왔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몸이 불편하거나, 치매 증상을 호소하는 노인들과 업무시간의 대부분을 생활해야하는 종사자들은 소진에 노출되기 쉽다. 본 연구는 그들의 소진실태와 소진을 일으키는 요인을 파악하여 그들의 소진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찾기 위함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5월 기준 서울, 경기, 인천에 있는 노인주간?단기보호시설 121개소 중 102개소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생활지도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7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우편설문을 통하여 총 306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215부 중 연구에 부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21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신뢰도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소준 수준을 보면, 전체 평균에 있어 6점 기준에서 2.05점으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 기관 종사자들의 소진연구와 비교한 것에 비하여서도 다소 낮은 것으로 보인다.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소진의 관계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소진 경험이 높았으며, 미혼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소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감정노동 특성과 소진의 관계를 보면, 전체 감정노동은 2.81점으로 평균보다는 조금 낮았으나, 감정표현의 빈도는 3.11점, 감정적 부조화는 2.51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별로는 감정표현의 빈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많았다. 특히 감정적 표현의 빈도와 감정적 부조화에 있어 수준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 간의 소진 평균 차이를 보면, 감정적 표현의 빈도는 성취감 저하는 제외한 모든 소진 하위요인에 있어 차이가 있었으며, 감정적 부조화는 소진 하위요인 전체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성격특성과 소진과의 관계에서는 신경증이 소진 하위요인 전체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보였고, 외향성이 강할수록, 친화성이 높을수록, 개방성이 높을수록 성취감 저하는 감소하였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조직특성과 소진과의 관계에서는 교육?훈련이 조직에 잘 갖추어져 있을수록, 보상체계가 잘 되어 있을수록 소진 경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직무특성과 소진과의 관계에서를 보면, 직무특성 평균값이 3.39점으로 비교적 높았다. 하위요인별로는 직무도전성이 3.6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도전성이 낮을수록, 직무자율성이 낮을수록, 업무량이 높을수록 소진의 경험이 높았다. 여섯째,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수를 규명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성격특성에서는 신경증이, 직무특성에서는 직무도전성과 업무량이, 감정노동에서는 감정적 부조화가 전반적인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낮을수록, 신경증성향이 높을수록 소진에 쉽게 노출되며, 직무적으로는 도전성이 낮을수록, 업무량이 많을수록 소진이 더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감정노동의 상태에서 감정적 부조화가 클수록 소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종합 정리해보면, 노인주간?단기보호시설 종사자들의 소진은 어느 한 요인에 의해 작용되는 것이 아니며, 인구사회학적특성, 성격특성, 조직 및 직무특성, 감정노동 특성이 복합적으로 상호 연관된 다차원적인 문제로 이해되고 접근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모든 소진의 하위요인에 동일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진 직무도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시설에서는 종사자들이 업무에서 최대한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부여하고 더불어 새로운 기능을 습득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종사자들의 업무량이 소진의 또 다른 원인으로 나타난 점은 종사자들의 직무분석을 통한 업무량 조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 시설별 인력상황에 맞는 근무시간 조절, 업무계획, 인력배치를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종사자 중 기혼자들에 대한 장기적인 근속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숙련된 대응이 요청되는 노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경험이 풍부한 장기근속자들이 안정적으로 업무에 임하도록 하는 것이 요청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다룬 감정노동에 있어서는 종사자들의 복지적 개입방향 설정이 감정노동 수행 감소에 주목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정노동의 수행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사회적 지지 등을 통해 이들이 서로 화합의 기회를 갖거나, 이들의 고충을 수렴할 수 있는 조직 내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Aging and the extension of mean lifetime are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malfunction. It leads to the higher possibility causing senile chronic diseases such as dementia and paralysis and to physical, economical, psychological difficulty for the elderly and the dependent family. Since it also leads to increase of social cost, it is expanded as multiple social issues. To solve the problems, from July, 2008, government will provide various care services to the elderly who have senile diseases and difficulty in daily life which lead to promote the social cognition and necessity for various elderly-related facilities. Despite the number of short-term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has been increasing dramatically, they managed poorly with small sizes. Especially, workers who spend most of the working hours with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in daily life and suffer from dementia easily experience exhaus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us of exhaustion in workers and the causing factors and to find out the practical consents to diminish and prevent their exhaustion. In this study, as of May, 2007, social workers, nurses, physical therapists and advisors in 102 centers were included out of total 121 short-term daycare centers for the elderly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rom May 1 to May 30 in 2007, total 306 questionnaires were sent via mail and among returned 215. Some of them that do not related with the study were excluded and 21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With collected data, statistical analyses on frequency, description, reliability,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exhaustion status in subjects, the mean was 2.05 out of 6 and relatively low. This score was little lower than the score regarding exhaustion of workers in other institutes. In case of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xhaustion, men had higher experience on exhaustion than women, unmarried and younger people experienced more exhaustion. Second, with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emotion labors and exhaustion, total emotion labor scored 2.81 which was little lower than the average and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scored 3.11 and emotional inharmony, 2.51. In case of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on subjects, women showed higher than men and the educated, higher. Especially, mean difference of exhaustion between lower and higher groups in emotional expression frequency or emotional inharmony showed that all sub-factors except lowering of accomplishment in emotional expression frequency showed group difference on exhaustion and all sub-factors in emotional inharmony showed the differe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ies of subjects and exhaustion, neuro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n exhaustion. When the workers have stronger extraversion, higher affinity and openness, lowering of accomplishment is decreased.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system and exhaustion, the workers experienced less exhaustion when education and training are well-organized and compensation system is conducted properly. Fifth, with job characteristics and exhaustion, mean job characteristics scored 3.39 which was relatively high. According to sub-factors, task challenge scored 3.68 which was the highest, the workers experienced higher exhaustion when task challenge and task autonomy is lower and work loads are heavier. Sixth,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to elucidate causing factors affecting exhaustion, it is shown that ag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urosi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ask challenge and work loads in job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inharmony in emotion labor have effects on exhaustion. In other words, workers who are younger and higher neurosis propensity are easily exposed to exhaustion. On job characteristics, exhaustion occurred frequently when task challenge is lower and work loads are heavier. In addition, on emotion labor status, the higher emotional inharmony is, the more exhaustion ge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haustion of workers in short-term daycare centers for the elderly is not affected by only one factor and it is considered as mutually related multi-dimensional matters combined with characteristics on sociodemographics, personality, system, and job and emotion labor. Therefore, the practical consen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promote task challenge which turned out to affect all sub-factors on exhaustion, the facilities should provide the opportunity for workers to show the maximum ability on jobs and concern for them to learn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considering work loads as other affecting factor on exhaustion, modulation on work loads via job analysis is required. For this, adjustment on working hours, work plans, manpower arrangement is needed according to manpower status. In addition, by preparation of long-term continuous service for the married, the experienced workers could feel stable and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to the elderly. Lastly, in emotion labor examined in this stud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establishment of aim on welfare intervention leads to diminish exhaustion on emotion labor. As a consequence, with social support which affects the decrease in exhaustion of emotion labor, the mutual harmony and endeavor in the system to collect their predicaments are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소진 = 5 1. 소진의 개념 및 정의 = 5 2. 소진의 하위 개념 = 7 3. 소진 관련 선행연구 = 8 B.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0 1. 감정노동 = 10 2. 성격특성 = 13 3. 직무특성 = 15 4. 조직특성 = 17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설계 = 19 1. 연구질문 = 19 2. 연구모형 = 20 B. 연구방법 = 21 1. 연구대상 = 21 2. 연구의조사도구 = 21 3. 연구의분석방법 = 26 4. 연구의제한점 = 27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28 A.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소진 정도 = 28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8 2. 조사대상자의 소진 수준 = 31 3.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소진과의 관계 = 32 B. 감정노동과 소진 관계 = 36 1. 감정노동 = 36 2.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감정노동 관계 = 36 C. 성격특성과 소진 관계 = 40 1. 성격특성 = 40 2. 성격특성과 소진과의 관계 = 40 D. 직무특성과 소진 관계 = 42 1. 직무 특성 = 42 2. 직무특성과 소진과의 관계 = 42 E. 조직특성과 소진 관계 = 44 1. 조직특성 = 44 2. 조직특성과 소진과의 관계 = 44 F.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수에 대한 분석 ­ 성격특성,조직특성,직무특성,감정노동,소진 회귀분석 ­ = 46 1.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 46 2. 감정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 47 3. 성취감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 48 4.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 49 Ⅴ. 결론 및 제언 = 51 A. 연구결과 요약 = 51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소진 수준 = 51 2. 조사대상자의 각 변수별 소진과의 관계 = 52 3.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수 = 54 B. 실천적 함의 = 54 C.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56 참고문헌 = 57 <부록>설문지 = 63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91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title감정노동을 중심으로 한 노인주간·단기보호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Antecedents Affecting Exhaustion of Emotion-labor Workers in Short-term Daycare Center for the Elderly-
dc.creator.othernameLim, Ji-young-
dc.format.pagevi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