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소설교육의 매체 적용 연구

Title
소설교육의 매체 적용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Media to Novel Education : Character Analysis Based on Intertextuality
Authors
호지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다양한 매체를 소설 교육 현장에 수용하여, 수업 참여율과 학습 효과를 높이고 학습자들이 문학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문학능력 향상에 이르게 하는 데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매체텍스트도 문자텍스트와 함께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교재가 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하여, 문학텍스트와 매체텍스트의 상호 텍스트성이라는 측면에서 소설 감상의 심화를 돕는 교수·학습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매체를 수용하는 문학 교수·학습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존의 매체교육 관련 연구와 상호텍스트성 관련 소설교육의 연구를 검토하고 그 한계를 살폈다. 또한 7차 교육과정과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매체교육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문학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현재 국어교육에서 매체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하여 본고에서는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소설 교수·학습을 진행할 때 다양한 매체 텍스트를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는데, 그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인물 요소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소설을 읽는다는 것이 인간과 세계에 대한 탐구라고 할 때, 인물에 의해 구체화되는 소설 주제에 대한 접근은 일반적으로 인물 요소를 중심으로 하게 된다. 실제로 학습자는 소설을 감상할 때 다른 어떠한 요소보다 인물 요소에 의존하여 감상하고 있다고 조사되었으며 본고에서는 이 결과를 적용하여, 인물 중심 소설 교육의 다양한 방법을 매체텍스트와 텍스트 상호적 측면에서 모색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매체 적용에 따른 인물 중심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였는데, 교수·학습의 단계를 ‘1. 계획 2. 텍스트-학습자 상호작용 3. 텍스트-교수·학습 상황 맥락의 상호작용 4. 평가’의 4단계로 나누었다. 첫째 단계인 ‘계획’단계는 교사가 수업목표의 방향을 설정하고 평가 요목을 작성하는 등의 작업을 통하여 교수·학습을 위해 준비하는 단계이다. 둘째 단계인 ‘텍스트- 학습자 상호작용 ’은 소설 읽기 과정으로서 별도의 교사 지도 없이 학습자 각자가 자신의 스키마와 능력을 발휘하여 소설을 읽는 과정이다. 셋째 단계인 ‘텍스트-교수·학습 상황 맥락의 상호작용’ 단계는 다시 ‘학습자와 교사의 상호작용’과 ‘텍스트와 텍스트의 상호관련성’, ‘학습자-학습자의 상호작용’으로 나뉜다. 먼저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상호작용’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전 단계에서 소설 텍스트를 잘 읽었는지 확인하고 다음 활동을 준비하기 위하여, 교사의 지도와 안내에 의해 소설 내용 파악을 위한 퀴즈와 인물 분석표 작성이 진행된다. ‘텍스트와 텍스트의 상호관련성’ 단계에서는, 앞에서 파악한 인물 요소의 특성을 다른 매체 텍스트에 적용해보고, 소설의 주제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다른 매체 텍스트에 적용해보는 모둠활동을 진행한다. ‘학습자-학습자의 상호작용’ 단계는 모둠 활동의 결과를 발표하여 작품에 대해 학습자 간 의견을 교환하고 사고의 폭을 넓히며, 소설 외부로 확장했던 시선과 사고를 아우르고 다시 소설 내부 인물에 주목하여 인물에 대한 모의재판을 실시하고 작품에 대한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의 반응의 차이를 조정하며 가치관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넷째 단계인 ‘평가’ 단계는 모든 활동을 마무리하면서 소설 감상이 목표에 맞추어 얼마만큼 잘 이루어졌는지 평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학습이 다 끝난 후 별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수 학습 상황 속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본고에서는 위의 교수·학습 모형을 토대로, 채만식의 소설 「태평천하」의 인물분석을 중심으로 한 실제적 교수·학습방안 만들어 보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을 진행하여 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수업은 서울시 은평구에 위치한 D여고의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으며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동질집단인 두 학급에 대한 비교 분석으로 제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본고에서 구안한 교수·학습과정안을 따라 수업한 학급이며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교사의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반이었다. 두 집단에게 동일한 문제와 설문항목을 제시하여 소설 감상 능력과 소설 감상 태도, 매체학습에 대한 인식과 관련한 조사를 실시하고 비교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소설 감상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감상문쓰기’와 ‘지필고사’, 소설 감상의 태도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의 ‘읽기태도 범주’와 ‘소설흥미도 범주’, ‘읽기전략 범주’에서 비교집단보다 우위를 차지했다. 또한 매체 수업에 대한 선호도 · 흥미도와 매체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본고에서 구안한 소설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문학 작품의 본문 전체를 읽었고, 내용 요소를 파악하여 소설 인물을 자신들의 주변으로 확장하였으며, 자신들이 즐겨 향유하는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심화하는 활동을 하고, 이 활동들을 통해 문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영상 매체를 활용한 문학 교수학습 방안이 더욱 다양하게 구안되고 현장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학습자들이 문학 문화를 진정으로 즐길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the class and enhance the overall literacy of them by adopting various media to novel education. This study is supposed that media text can be meaningful as well as literal text. In the aspect of intertextuality between literal text and media text, it suggest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and critical sense about novel. To accomplish this, several factors ar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of all, I studied former studies about education through media and literature education related to intertextuality. Second, I looked into real cases of education through media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 education and media one through observing various activities in textbook. This study has been tried to fin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utilizing various media text based on intertextuality, and it is claimed that adopting the approaching of character analysis enhances the effectiveness. Reading novels are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human being and society.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effective to specify the theme of the novel by analyzing characters. Moreover, there is an actual proof when learners read novels they usually give attention to characters. On the basis of these facts, this study suggests a new teaching method of novel education focusing on character analysis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and media text. The new method was designed into four steps: 1) planning 2)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learner 3)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teaching-learning context 4) evaluation. 'Planning' is the stage which teacher prepares overall process of teaching, and states goals of the class. Next, in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learner' stage, learners read text through their own schema and background knowledge without any teacher's helps or needs. The stage 'interaction between text and teaching learning context' is divided into three sub stages: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teacher', 'relevance between text and text'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learner.' In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teacher' stage, teacher makes sure learners understand the main idea of the text. Teacher gives some quizzes to learners, and explains character analysis by using chart. In the 'Relevance between text and text' stage, learners apply those characters to other media text. Through this process they apply their feeling and thinking about the main idea of the novel to other media text in group work. And then, in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learner' stage, learners would be able to present their group work results, they are going to interact other learners and have a discussion. Next, they will have a mock trial about the characters. Through this process, they are able to widen their idea and create new schema. Finally, the 'evaluation' stage, teacher wraps up the whole classroom activity and evaluates how all the processes went well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e class. This stage is not processing separately from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but continuously happening in the whole teaching-learning process. To earn more specific result in applying these methods in practical classes, I designed a practical new teaching method applying to the novel 'Tae-pyeong-chun-ha, by Chae man shik', and analyzed the result. It was taught to the group of students in "D"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Eun-pyeong gu, Seoul. First of all, I divided into two groups: first group adopted new method and second group adopted traditional one, which is one way lecture. Next,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ose two groups and evaluated competence of overall analysis about the text they've read. The result shows 1) First group learners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the area of description of reader's feeling and written test 2) first group learners’ interest in novel was increased and learners showed better reading strategy 3) Understanding of media and interest was higher than second group. To sum up, through the new method, learners had an opprtunity to read whole text of the novel, understood and extended the schema of content and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Moreover, they performed advanced activities through various media, through this activity they could expand their linguistic structure and the sense of literature. I wish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various media becomes diversified and activated, and positive effects would be developed with further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