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천·종이를 사용한 조선시대의 가구

Title
천·종이를 사용한 조선시대의 가구
Other Titles
Decorated furnitures by cloth (silk) and paper from the Yi-dinasty : In point of plastic technique
Authors
김옥광.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응용미술과자수전공
Keywords
종이조선시대가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조선시대의 수공예는 간단한 용기에서부터 격조높은 예술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대체로 오늘날 전승공예는 근대공업에 밀려나서 한층 영세하여졌고 기술상으로도 낙후성을 변치 못하고 있다. 본인은 조선시대의 공예의 미를 탐구하고자 '천·종이를 사용한 가구'를 선택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우선, 조선시대의 실내 구성을 살펴보면, 천·종이를 사용한 가구는 대체로 안방용 가구로서 여인들이 애용하는 가구였으며, 사용하는 것의 「용」과 장식품으로서의 「미」가 겸비된 것으로 상류층에서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천을 사용한 가구의 재료인 천의 종류는 주로 「견」이 많았다. 견을 귀하게 여긴 그들은 복식에서 뿐만아니라 실내가구에 천을 사용하여 아름답게 꾸미고자 하는 욕구에서 천을 사용한 가구가 만들어졌다. 또한 종이를 사용한 가구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나, 주로 소품이 대부분이다. 대형의 종이장식가구를 제외하고는 천을 사용한 가구류의 소품에 비해 서민적인 소박한 정감을 준다. 그와같은 천·종이를 사용한 가구중에 고급품의 대형가구는 거의 왕실용의 것이였으므로 그 당시 궁중공예의 수준 높은 공예미를 충분히 평가할 수 있다. 대형가구의 제작과정은 종이나 천을 다루는 여인들의 수공예에서 부터 화려한 그림을 그리는 화공과 그것을 가구에 배접하고 꾸미는 목수의 손에 이르기 까지 제작자가 1인이 아닌, 오늘날 디자인과정에서 요구되는 팀 워크(team-work)의 한 양상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복잡한 제작과정을 거쳐야하는 가구는 서민층에서 사용한 가구와는 그 재료와 장식기법에 있어서 그 차이가 뚜렷하다. 장식문양으로는 주자학의 영향으로 중국의 신선사상이 지배적이어서 십장생문이 많았고 연인들이 애용한 가구라서 꽃을 중심으로 하는 화려한 그림이 나타나며 한 가정의 여인의 사명을 기리는 「수복」과 「다남」의 글자문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장식기법은 우아하고 화려한 질감을 가진 「견」을 바탕으로하여 문양을 견사로 수놓은 것·종이위에 그림을 그린 것·종이나 천을 모자익한 것으로 매우 호화스런 것으로서 장식적기능을 강조한 공예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가구의 형식은 오늘날 산업화된 생산에 따라 점차 소멸되어져 가고 있으며 천과 종이를 사용한 가구는 눈에 띄기 어렵게 되었다. 이 연구는 사료를 통해서 우리 조상의 슬기와 미를 탐구하고 따라서 현재의 우리 생활의 공예발전에 밑바탕을 이룬 맥을 찾아서 현대의 생활미술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Handicraft in the Yi-Dynasty ranges from the simplest things to the richest masterpieces. Nowadays, handicraft has been outmoded by industrialization. I tried to look for cloth and paper furnitures from the Yi-Dynasty which have almost disappeared. Yi-Dyrasty cloth and paper furnitures were almost reserved to the rooms of housewives. They were admired not only for its utility but also its decorative character. They were for higher classes in Society as silk and paper were very hard to get. Silk has been used not only for garments but also for interior decoration and this period has produced silk furnitures. These furnitures were made by a group of women. On these furnitures one can find the 10 motives representing immortals. Silk already beautiful and graceful in itself has been painted or put under painted glass. Paper or silk has been arranged in mosaics or even embroidered. All furnitures were luxurious and highly decorative. Many were found in the Royal Family, we may say, the technical level of handicraft was very high. Nowadays, nearly all furnitures have disappeared and industrialization has halted p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ver the quality and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handicraft and to find the roots of today's handicraft and to improve our present life sty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