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앵커드수업이 경도장애 및 비장애 초등학생의 비판적 질문능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앵커드수업이 경도장애 및 비장애 초등학생의 비판적 질문능력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안현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일반 초등학교 현장에서 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로서 일반 비장애 학생들과 통합되어 수업받는 경도장애 학생들의 모습을 볼 때, 항상 교사 입장에서 경도장애 학생들도 조금 더 생각해서 스스로 질문을 할 수 있는 모습을 볼 수 있기를 고대한다. 어디서, 무엇을, 누가와 같은 단순한 질문이 아닌 스스로 생각을 해야 제시할 수 있는 질문 어떻게, 왜와 같은 질문을 던지길 바란다. 하지만 현실에서 경도장애 학생들은 그 기대를 항상 저버리고 단순한 질문을 던진다. 요즘의 교육은 학생이 교육 현상을 이해하고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서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교사의 임무일 것이다. 이제 교육은 학습자에게 물고기를 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종류의 물고기를 낚을 수 있는 법을 가르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래서 교육도 스스로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방법을 배우는 메타인지 전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허운나, 1994). 특히 비판적 사고력은 바람직한 교육의 결과로서 진정한 학습을 가능케 하는 필수조건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Kennedy et al, 1991). 또한 비판적 사고력은 기초 수준의 읽기, 산수 또는 다른 영역의 학습을 위해서는 물론, 졸업 후의 직업의 수행이나 사회참여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다(Bransford et al, 1990). 이러한 비판적 사고력은 일반 학생들에게는 물론 경도의 장애학생들에게도 중요한 능력이다. 일반적으로 비판적 사고는 정보를 적용, 분석, 통합, 평가하는 능력과 이러한 능력을 사용하는 성향을 일컫는다(성일제 외, 1991).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고려하는 학습전략 중에는, 토론과 협력학습을 통해 실제적 과제를 해결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비판적 질문을 유도하는 전략이 있다(King, 1995).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실제 생활의 복잡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앵커드 수업(anchored instruction)이 있다. 앵커드 수업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앵커를 통하여 문제 상황의 중요요소를 찾아내고 새로운 견지에서 상황을 바라보고 이해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가져오도록 하는 것이다(Bransford et al, 1989). Glaser와 그의 동료들(1999)의 연구를 보면, 앵커드 수업을 통하여 비장애 학생은 물론 경도 장애 학생들 모두 앵커드 수업 이전에 비해 두 배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Rieth와 그의 동료들(1999)의 연구 결과에서는 앵커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낮은 수준의 질문보다는 높은 수준의 질문을 더 많이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외국의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를 볼 수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경도장애 학생들에게 앵커드 수업을 적용하여 장애학생의 질문능력과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 없다. 그러므로 기존 외국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일반학생들과 장애 학생들 모두에게 앵커드 교수를 적용하고 비판적 질문 능력에서 질문빈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앵커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보다 비판적 질문빈도가 더 많이 증가하였는가? 연구문제 2. 앵커드 수업에 참여한 경도 장애 학생은 비장애 학생들보다 비판적 질문빈도가 더 많이 증가하였는가? 연구설계는 이질통제집단 설계이었다. 독립변인은 수업방법(앵커드 교수 대 강의식 교수)과 장애여부(경도장애 학생 대 비장애 학생)였으며 종속변인은 비판적 질문빈도이었다. 실험참가자는 초등학교에서 특수교육을 하는 연구자와 일반교사 1명,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경도장애 학생 8명(실험집단 4명, 통제집단 4명), 비장애 학생 76명(실험집단 38명, 통제집단 38명)이었다. 앵커드 수업 집단의 학생들은 5주 동안의 실험기간 10시간의 앵커드 수업을 받았다. 앵커드 교수는 학습준비, 영화 시청 및 줄거리 토론, 문단 나누기, 등장인물 분석, 연구 과제 수행 및 발표의 다섯 단계로 실시되었다. 비판적 질문 빈도를 검사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비판적 질문 빈도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Stiggins과 그의 동료들(1988)이 제시한 코딩 체제를 채택하였다. 비판적 질문 능력 관찰지(Critical Questioning Skill Observation Sheet)를 통하여 기록되어진 전체 질문 중에 비판적 질문의 빈도수를 표시하여 SPSS를 이용 공분산분석 ANCOVA(Analysis of Covariance)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연구문제 1에 대하여, 앵커드 교수의 비판적 질문빈도에 대한 효과 검증 결과 .05수준에서 앵커드 교수가 학생들의 비판적 질문빈도가 유의미하게 많았다(F(1, 83)=31.894, p=.000< .001). 연구문제 2에 대하여, 경도장애학생 대 비장애 학생의 비판적 질문빈도의 차이는 (F(1, 83)=3.255, p=.075> .05)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교수방법과 장애유무와의 상호작용의 효과는 (F(1, 83)=1.952, p=.166> .0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앵커드 교수는 비장애 학생은 물론 경도장애 학생들의 비판적 질문빈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교사들은 통합학급에서 비장애 학생은 물론 경도장애 학생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앵커드 교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critical thinking faculty is essential for job achievement or social activities after graduation as well as for the basic level reading, the arithmetic, or other area learning (Bransford et al., 1990). Such critical thinking faculty is the important ability to the slight defective students as well as the general students. The anchored instruction purpose not only helps learners to search the important factors of problem circumstance, but also to survey the circumstance in the new point of view. Then, the instruction guides them to understand their recognition of change and anchor (Bransford et al, 1989). According to the study of Glaser et al(1999), both the non-disable students and the mild disable students were all observed as they did lively interaction of two times than before the instruction through the anchored instruction. Those results are reported in the foreign study, but in Korea, there is no researching report yet to survey the defective student's question ability by applying anchored instruction to the mild disable student. Therefore, I wish to have an opportunity that not only apply the anchored instruction to both general students and mild disable students through this research, but also verify the effect on the critical question frequency through this study in the Korea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foreign study result. The specific subjects of study are as follows: Subject of study 1. Are the students, who take part in anchored instruction, shown more elevations in the critical question frequency than the students who take part in the teacher centered lecture class ? Subject of study 2. Is the mild disable students, who take part in anchored instruction, shown more elevations in the critical question frequency than the non-disable students ? The study design was a heterogeneity control group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class method and the mild disable or non-disable student.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critical question frequency. The students group of anchored instruction took 10 hours anchored instruction during 5 week's experiment period. Anchored instruction was enforced by 5 stages just like studying preparation, movie watching and plot talk, dividing the literary paragraph, character analysis, achievement of research task and presentation. To examine critical question frequency, this investigator used the critical question frequency observation paper. This observation paper was selected the coding system that was presented by Stiggins, Rubel and Quellmalz(1988). The records written by Critical Questioning Skill Observation Sheet were marked the frequency of critical question among the whole question and then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was enforced by using SPSS. As the result, subject of study 1 was shown that anchored instruction elevated students critical question frequency in the significant level .05 in the effect verification about anchored instruction's critical question frequency(F(1, 83)=31.894, p=.000< .001). About subject of study 2,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s F(1,83)=3.255, p= .075 in the difference of the critical question frequency by the mild disable student versus the non-disable student. Also, the effect of interaction with the teaching method and the disable or non-disable student was shown as F(1, 83)=1.952, p= .166> .05, then, there was no effect of the significant meaning interaction statistica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