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혜정-
dc.creator송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3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352-
dc.description.abstract1989년 국내에 의료전달체계가 도입됨에 따라, 환자들이 1차, 2차 진료기관을 거쳐 종합전문요양기관(3차 진료기관)에 의뢰되어 진료를 받고 있다. 그러나 1차 ,2차, 3차 진료기관간 기능의 미분화와 이에 따른 환자의 종합전문요양기관의 집중은 사회적 자원낭비와 함께 정작 종합전문요양기관에서 진료가 필요한 환자들에 대한 접근성의 저하로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환경변화에 공동 대응하려는 일환으로 의료협력센터(Referral Center)가 생겨나게 되었다. 의료협력센터는 의사, 간호사, 행정직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의료협력센터에서 간호사는 핵심적이고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협력센터에 관한 연구는 보건학, 경영학, 행정학부분에서 소수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 간호계에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의료협력센터 간호서비스 업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역할모호성으로 생산성과 직결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협력센터에서의 실제 간호수행업무정도와 간호서비스 기대정도를 조사하여 간호의 새로운 영역인 의료협력센터에서의 실무표준과 간호 실무수행능력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협력네트워크에 참여한 병, 의원 개원의 96명과 전국 400병상 이상의 병원 의료협력센터 간호사 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4월1일부터 4월20까지 총 20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과 임상경험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의료협력센터에서의 간호서비스수행정도 와 기대정도 관한 18문항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test, ANOVA, Scheffe test, Euclidean distance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료협력센터 간호서비스 수행정도는 적절한 과 선별(4.54±0.71), 상담업무(4.52±0.71), 의뢰환자 예약 서비스(4.38±0.86)순서로 수행정도가 높았다. 반면에 수탁검사 회신(2.65±1.64), 의뢰환자 후송서비스(2.86±1.35), 회송(3.06±1.42), 입원실 배정(3.15±1.42)의 업무는 수행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개원의의 간호서비스 기대정도는 예약서비스(3.47±0.58), 만족도 향상(3.33±0.57), 적절한 과 선별(3.27±0.53), 친절한 상담(3.25±0.45), 응급환자 서비스 (3.18±0.74)순이였다. 또한 기대정도가 낮은 항목으로는 의뢰환자 후송서비스(2.45±0.67), 회송(2.59±0.78), 입원실 배정(2.65±0.83), 정기적 모임(2.69±0.65), 회송정보제공(2.70±0.74)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수행정도 결과에서 병상수에 따른 간호서비스 수행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F=2.78,p=0.04). 또한 협력병원 수에 따라 간호서비스 수행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F=2.76, p=0.03). 사후 검증한 결과 협력 병원수가 41-50개일 경우가 31-40개일 경우보다 간호서비스 수행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협력의원 수(F=4.42 p=0.00)와 간호서비스 수행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 검증한 결과 협력 의원 수가 1001-1500개인 경우가 501-1000개인 경우보다 간호서비스 수행정도가 높았다. 4. 의료협력센터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수행정도에서 소장직위 유무에 따른 간호서비스수행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34, p=0.02). 의료협력센터 과장 주체에 따른 간호업무 수행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고, 사후 검증한 결과 과장이 간호사인 경우가 과장이 의사나 행정직인 경우보다 간호업무 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5.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수행 정도와 개원의 간호서비스 기대정도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예약서비스 업무(Euclidean distance =0.05)가 기대에 도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회신 업무는 (Euclidean distance =0.46) 기대 이상으로 간호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음으로 밝혀졌다. One stop service(Euclidean distance=-0.39), 만족도 향상(Euclidean distance=-0.27), 정기 모임(Euclidean distance=-0.19), 응급환자 관리(Euclidean distance=-0.12)는 간호서비스 수행이 기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의료협력센터에서의 간호서비스 수행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의료협력센터 간호서비스 영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협력 병 의원 관리에 노력해야 하고, 간호서비스 기대와 수행간의 적합도에 차이가 있는 항목인 One stop service, 의뢰환자 만족도 향상, 정기모임, 응급환자 관리를 통하여 환자 및 개원의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업무가 강화되고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s National Health care delivery system has been introduced in the interior of country since 1989, patients had been received a medical treatment at a tertiary medical hospital via private clinics and the secondary medical hospital. But, non-specialization of functions among above three medical hospital and thereupon results that concentration of patients into tertiary medical hospital have resulted in squandering of social resources and lowering of accessing to patients who need specialized treatment at tertiary medical hospital. According to these phenomena, Referral Center had been arisen with large general hospital as a leader for a part of the collaborative countermove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Referral Center consisted of doctors, nurses, and administrators, and nurses play a central and essential role in this center. But, the research about this Referral Center had not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nursing and only a few studies had been done in the fields of health scienc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 so nursery service in Referral Center has not been standardized and linked to productivity with its vagueness of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giving standards of practical performance nursing in Referral Center which are new area of nursing through studying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of expectation for nursing service and actual nursing service. This study targeted 96 doctors in nationwide cooperative hospital network and 96 nurses in Referral Centers of hospitals have more than 400 beds, and the period of research was 20 days from April 01, 2004 to April 20, 2004. The tool of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clinical experiences. The tool was consisted of 18 fields about practical nursing service and expected nursing service in Referral Cent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rogram, and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sis of this program we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Euclidean di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ractical nursing services in Referral Center were showed its performances as following sequence, moderate selection of department(4.54±0.71), counseling (4.52±0.71), reservation service for patients(4.38±0.86). But, entrust patients with a exam reply (2.65±1.64), evacuation service for patients(2.86±1.35), sending back of patients after treatment (3.06±1.42), allocation of rooms(3.15±1.42) were showed low executing value. 2. Expectation value by doctors managed individual hospitals were showed as following sequence, reservation service(3.47±0.58), satisfaction value elevation(3.33±0.57), moderate selection of department(3.27±0.53), kind counseling(3.25±0.45), emergency service(3.18±0.74). And items their expectation value was low providing evacuation service for patients (2.45±0.67), sending back of patients after treatment (2.59±0.78), allocation of rooms(2.65±0.83), periodical meeting(2.69±0.65), information that sending back of patients after treatment (2.70±0.74). 3. In results of performance nursing service by general characteristic,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service as the number of beds(F=2.78,p=0.04). And, it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number of cooperative hospitals (F=2.76, p=0.03). As a result post-test, it was showed high value in 41-50 number of cooperative hospitals than 31-40.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umber of cooperative hospital (F=4.42 p=0.00) and nursing service practical value, after post-test, it was showed high value in 1001-1500 number of cooperative hospitals than 501-1000. 4. In results of performance nursing service as the characters by cooperative hospita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service as if there was the head of center (t=2.34, p=0.02). In results of nursing service by whom was head of department(F=4.77,p=0.01), if the heads was nurse, it wa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 than doctoror administrator 5. In results of difference between practical nursing service and expected nursing service, reservation service was showed similar value for expectation value (Euclidean distance =0.05), reply service (Euclidean distance =0.46) was showed excess value. One stop service (Euclidean distance=-0.39), promotion of satisfaction (Euclidean distance=-0.27), periodical meeting (Euclidean distance=-0.19), emergency service (Euclidean distance=-0.12) were not showed enough value of practical nursing service. According to this study, we validated the role of nursing service in Referral Center. For developing nursing service in Referral Center, it would be need that the cooperative hospitals management. And it would be thought that one stop service, satisfactory value of patients, periodical meeting, emergency service which were showed differences between practical nursing service and expectation value were promoted and be strengthen to satisfy patients and do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gives some suggestion as follows. 1. It is need to study about practical standards for nursing service in Referral Center. 2. It is need to study about effecting factors among nursing service in Referral Center. 3. It is need to study about analysis of the prime cost for nursing activity in Referral Cen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4 Ⅱ. 문헌고찰 = 6 A. 의료협력센터 = 6 B. 의료기관에서 협력 네트워크 경영 = 12 C. 의료협력센터 간호서비스 수행 = 20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설계 = 25 B. 연구대상 = 25 C. 연구도구 = 25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26 E. 자료 분석 방법 = 27 F. 연구의 제한점 = 2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8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8 B. 의료협력센터의 간호서비스 수행정도 = 35 C. 개원의의 간호서비스 기대 정도 = 38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수행정도 = 40 E. 간호서비스 수행정도와 개원의의 간호서비스 기대 정도간의 적합도 = 44 Ⅴ. 결론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51 부록 = 56 부록 1 연구 도구 = 56 부록 2 간호사 대상 연구도구 신뢰도 = 66 부록 3 개원의 대상 연구도구 신뢰도 = 67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23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의료협력센터에서의 간호서비스 수행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