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승신-
dc.creator구승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7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0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5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0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군대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지내야 하는 신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에 기여하는 정서적 환경지각의 효과를 측정하여 신세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의 임상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군인들에 관한 연구들은 군대의 보안 · 기밀누설금지의 특성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나마 군대의 복지상태나 직업군인들의 리더십, 병사들의 스트레스, 정신건강, 갈등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정도에서 주로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도 적응 모델 및 스트레스 중재 모델을 중심으로 신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 특히 신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를 중재하는 정서적 환경지각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신세대 가치관, 정서적 환경지각, 군 생활 적응과 각 하위 요인들에 차이를 주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살펴보았으며 군 생활 스트레스와 신세대 가치관 (개인주의/평등주의), 정서적 환경지각이 직접적으로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며 (주효과 모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신세대 가치관은 정서적 환경지각과 상호 작용하여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상호작용 효과 모델) 이를 위해 530명이 조사대상으로 선정되었고 조사방법은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이용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 중 501개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도구로는 군 생활 스트레스 척도, 신세대 가치관 척도, 정서적 환경지각 척도, 군 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 검증과 F 검증, 단순적률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 따라 측정변인별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본 결과, 군 생활 스트레스는 계급, 가정형편, 건강, 진로에 대한 기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계급이 낮을수록, 건강과 가정형편이 좋지 않을수록, 진로가 희망적이지 않을수록 군 생활 스트레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세대 가치관 중 개인주의 가치관은 계급, 가정형편, 건강, 진로에 대한 기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평등주의 가치관은 계급, 가정형편, 진로기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서적 환경지각은 계급, 가정형편, 건강, 진로에 대한 기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군 생활 적응은 계급, 가정형편, 건강, 진로에 대한 기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계급이 높을수록, 건강과 가정형편이 좋을수록, 진로가 희망적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검증결과 1) 군 생활 스트레스, 신세대 가치관 (개인주의/평등주의), 정서적 환경지각과 군 생활 적응에 관한 가설검증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는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수로 신세대 병사의 가정형편, 건강, 진로기대가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전체 설명력은 29.2%였다. 따라서 군 생활 스트레스가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신세대 병사의 개인주의/평등주의 가치관의 군 생활 적응에 대한 영향력검증 결과 평등주의 가치관은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나 개인주의 가치관의 값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수로 건강, 진로기대가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29.5%이었다. 따라서 신세대가치관의 개인주의/ 평등주의 가치관이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신세대 병사의 정서적 환경지각은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51.9%이었다. 통제변수로 건강, 진로기대가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정서적 환경지각은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군 생활 스트레스, 개인주의 가치관, 평등주의 가치관, 정서적 환경지각의 전체변인들을 동시 투입하여 군 생활 적응에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전체 변인이 포함된 모델의 전체 설명력은 54.4%이었다. 2) 군 생활 적응에 대한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정서적 환경지각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가설검증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과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정서적 환경지각의 상호작용변인은 군 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어 조절변인으로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모델의 전체 설명력은 55.5%이었다. 따라서 정서적 환경지각이 높을수록 군 생활 스트레스가 군 생활 적응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할 것이라는 연구가설과 일치한다. 3) 군 생활 적응에 신세대 가치관 (개인주의/평등주의)과 정서적 환경지각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가설 검증 신세대가치관 중 개인주의 가치관과 군 생활 적응과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개인주의 가치관과 정서적 환경지각의 상호작용변인은 군 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어 조절변인으로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모델의 전체 설명력은 53.2%이었다. 평등주의 가치관과 정서적 환경지각의 상호작용변인은 군 생활 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설명력을 보면 53.4%이었다. 따라서 정서적 환경지각이 높을수록 신세대가치관이 군 생활 적응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할 것이라는 연구가설과 일치한다. 한편 개인주의 가치관 및 평등주의 가치관과 정서적 환경지각의 상호작용 변인이 동시에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결과를 분석해본 결과 개인주의 가치관과 정서적환경지각의 상호작용 변인만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설명력을 보면 53.8%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적 환경지각이 높을수록 신세대가치관이 군 생활 적응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4) 군 생활 적응. 신세대 가치관 (개인주의/평등주의), 정서적환경지각 전체 모델 검증 최종적으로 군 생활 스트레스, 개인주의 가치관, 평등주의 가치관, 정서적 환경지각의 전체변인들을 동시 투입하여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델의 전체 설명력은 54.4%이었다. 군 생활 스트레스, 개인주의 가치관, 평등주의 가치관과 정서적 환경 지각과의 상호작용 항 전체를 동시 투입하여 군 생활 적응에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설명력은 56.1% 이었다. 연구 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함의로는 우선 신세대 병사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정서적 환경지각이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군 생활 스트레스와 신세대 가치관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조절 변인으로 기능함을 밝혀내었다. 2. 임상적 함의로는 우선 신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가져오는 군 생활 내,외적 스트레스, 정서문제, 군 생활의 인간관계 문제, 진로에 대한 고민 등을 자유롭게 해소할 수 있는 병사 개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상담접근을 담당할 전문적인 민간인 상담원이 필요하다는 것과 신세대 병사의 정서적 환경지각이 군 생활 적응에 중요한 완충작용을 하는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군 생활의 정서적 환경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특히 간부들과의 신뢰적인 분위기를 촉진할 수 있기 위해서 간부들에게 상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 직무 스트레스의 해소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신세대 병사들이 진로를 준비할 수 있도록 개인적인 시간의 확보, 직업훈련 및 교육, 정보제공, 자격증 취득여건의 보장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려된다. 3. 정책적 함의는 군대 사회복지를 제도화하여 군대 내의 민간사회복지사의 병사들에 대한 개입을 정책화하고 지원함으로서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s of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of new generation soldiers, which contribute to their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elicit practical, political implication of social welfare of new generation soldiers. Up to now, studies on soldiers were not active owing to the nature of confidentiality of military.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were merely focused on finding out current status of military social welfare, leadership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stress, mental health, conflict of lower ranking soldiers. The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 can be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generations. Owing to such cause, the military adaptation of new generation soldiers are becoming social issues and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military adaptation of soldiers. Through utilizing adaptation and stress mediation model, this study also focuses on factors influencing the military adaptation with emphasis on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which intervenes with the stress of military life of new generation soldiers.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find out new generation soldiers' values, key stress factors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factors such as unity, trust and recognition. Furthermore, it looks into the effect of military life stress, values of new generation soldiers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on military adaptation and results of interaction between stress, values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For this researc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military life stress, new generation soldier's values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were examined. Also, hypothesis were made that military life stress, new generation values (individualism/equalitarianism)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directly influences military life adaptation (the main effect) and military life stress and new generation soldiers values interact with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to influence military life adaptation (the interaction effect). To prove this theory, a survey was conducted upon 501 soldiers within the age range of 19 to 25. The survey tools were a measure of military life stress, new generation values,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military life adapt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1.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1. Analysis on the difference b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s a result of F-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variabl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military life stres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rank, family conditions, health and future prospect. Also, The individualism value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rank, family conditions, health and future prospect and the equalitarianism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rank, family conditions and future prospect.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rank, family conditions, health and future prospect.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rank, family conditions, health and future prospect. 2.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 Hypothesis in this study is related to effects of military life stress, new generation value(individualism/equalitarianism),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on military life adaptation. 1) The hypothesis test on military life stress, new generation values (individualism/equalitarianism),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The controlled variables used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ilitary service term, family condition, health and future prospect. The military life stress and adaptation is in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by the military life stress was 29.2%. Hence, the hypothesis that military life stress effects military life adaptation was supported. As a result of looking into influence of new generation values (individualism/equalitarianism) on military life, only equalitarianism was in negative correlation and individualism was not. The adjusted R square of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by new generation values was 29.5%. Hence, the hypothesis that new generation values have effect on military life adaptation was partially supported. The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of new generation soldier is in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by the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was 51.9%. Hence, the hypothesis that higher the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higher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was supported. Simultaneous input of variables (military life stress, individualism, equalitarianism,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to analyze the effect of military life adaptation showed that military life stress, equalitarianism,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health, future prospect were in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was 54.4%. In conclusion, the military life stress, new generation values,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all have direct influence (main effect) on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2) The hypothesis test on interaction effect of the military life stress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on military life adaptation In the model, which includes interaction variables of the military life stress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military life stress and controlled variables health and the future prospect were meaningful variables but, the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did not influence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The adjusted R square was 55.5% and it shows that the interaction variable of the military life stress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influences military life adaptation. In conclusion, the hypothesis that higher the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the negative effect of military life stress on military life would be relieved, was supported. 3) The hypothesis test on interaction effect of new generation values (individualism/equalitarianism) on military life adaptation The adjusted R square was 53.2% for the model, which includes interaction variables of individualism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it shows that individualism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influence military life adaptation. The adjusted R square was 53.4% for the model, which includes interaction variables of equalitarianism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it shows that equalitarianism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influence military life adaptation. 4) The hypothesis test on the military life adaptation, new generation values(individualism/equalitarianism) and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Finally, using all variables of military life stress, individualism, equalitarianism and emotional environment showed adjusted R square of 54.4%.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the study has provided research materials to analyze new generation soldiers. Also, the study shows that the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act as a controllable factor in military life stress and new generation values which effects military life of military soldiers. 2.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civilian professional counselors are required in the military to conduct individual counseling on military life stress, mental health, personal relationships and future prospects. The fact that new generation soldiers' emotional environment perception act as a key reliever in military life adaptation shows that efforts are required to intervene with emotional environment of the new generation soldiers. Especially to promote trust between officers and new generation soldiers, counseling education should be given to military officers and higher-ranking soldiers. To relieve work stress, carefully planned education/training should be provided and to point new generation soldiers in the right direction after discharge, new generation soldiers should be provided with personal time, job training/information, and acquisition of job certificates. 3. Political implication is that military social welfare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policies should be made to deploy civilian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military to assist new generation soldiers with military life adap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I. 서론 = 1 A.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5 C. 연구의 의의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주요 개념 = 7 1. 신세대의 개념 및 특성 = 7 2. 군 조직의 특성 = 8 3. 군 생활 스트레스 = 12 4. 부대 정서적 환경 = 15 5. 군 생활 적응 = 18 B.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1 1. 신세대 병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군 생활 적응 = 21 2.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 = 22 3. 신세대 가치관과 군 생활 적응 = 24 4. 군 생활 적응에 대한 정서적 환경 요인 = 27 C. 미국의 군 사회복지 = 30 1. 미국의 군 사회복지의 역사 = 30 2. 미국의 군 사회복지사 활동 = 31 III. 연구방법 = 34 A. 연구모형 및 가설 = 34 1. 연구모형의 설정 = 34 2. 연구가설의 설정 = 34 B. 연구대상 및 표집 = 35 C. 측정도구 = 36 1. 종속변수 = 36 2. 독립변수 = 37 3. 상호작용 변수 = 39 4. 통제변수 = 40 D. 분석방법 = 41 E. 연구의 한계 = 42 IV. 연구 결과 = 43 A.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43 B. 가설검증을 위한 사전 분석 = 45 1. 주요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 = 45 2.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인과의 비교 = 47 3. 주요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 = 63 C. 가설검증 = 63 1. 군 생활 스트레스, 신세대 가치관, 정서적 환경지각과 군 생활 적응에 관한 가설검증 = 65 V. 결론 및 제언 = 83 A. 분석결과의 요약 = 84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 = 84 2. 가설검증결과 = 85 B. 함의 = 90 1. 이론적 함의 = 90 2. 임상적 함의 = 92 3. 정책적 함의 = 94 C.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96 1. 연구의 한계 = 96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96 참고문헌 = 98 설문지 = 106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41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vii,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