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2 Download: 0

한국산 多毛類(class polychaeta)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산 多毛類(class polychaeta)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olychaetous annelids from korea
Authors
李景惠.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물학과
Keywords
다모류Class polychaeta분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 본인은 한국산 다모류를 분류하기 위하여 1980년부터 1981년 까지 황해의 작약도, 군산, 방축도, 무녀도, 두리도와 남해의 상주리, 부산, 미포, 그리고 동해의 기장, 대진리에서 직접 채집한 재료들과 1962년부터 1979년까지 채집되어 생물학과와 자연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였다. 2. 재료는 멘톨로 마취시킨 다음, 5% 중성포르말린에 액침 보존하였고, 분류방법은 먼저 외부형태를 관찰하고, 다음에 측각과 강모를 떼어 임시 또는 영구프레파라트를 만들어 관찰하였다. 3. 동정 분류된 한국산 다모류는 모두 2목 18과 35속 42종 1아종이었고, 이들 중 18종은 한국미기록종이었으며 그들은 다음과 같다. 군부갯지렁이(Euphione chitoniformis), 가시지주갯지렁이(Hermenia acantholepis), 금빛갯지렁이(Chrysopetalum occidentale), 쿠릴염주발갯지렁이(Typosyllis kurilensis), 털참갯지렁이(Ceratonereis hircinicola), 플로리다갯지렁이(Perinereis floridana), 넓적집갯지렁이(Diopatra bilovata), 수염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brevicirra), 가시갯지렁이(Sabellaria cementarium), 안점유령갯지렁이(Amphitrite oculata), 에드워드유령갯지렁이(A. edwardsii), 큰꼭지갯지렁이(Thelepus japanicus), 띠조름갯지렁이(Branchiomma cingulata), 끈적꽃갯지렁이(Myxicola aesthetica), 관절석회관갯지렁이(Serpula zygophora), 히드로석회관갯지렁이(Hydroides albiceps), 갈고리관갯지렁이(H. uncinatus)와 사방조름갯지렁이(Spirobranchus tetraceros)이다. 4. 동정된 42종 1아종의 한국산 다모류를 목별로 보면, 유재 목은 22종 1아종(53.5%)이고, 정재 목은 20종(46.5%)이었다. 5. 삼해역별 분포를 보면, 남해에 30종(69.8%), 황해에 17종(39.5%)이고 동해가 5종(11.6%)으로 가장 적었다. 6. 대양별 분포를 보면, 태평양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이 43종(100%), 대서양과는 16종(37.2%), 인도양과는 15종(34.9%), 북극해와는 9종(20.9%), 그리고 남극해와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은 없었다. 7. 유재류와 정재류를 서실별로 보면, 진흙에 서식하는 유재류가 13종(56.5%)이었고, 바위에 부착하는 정재류는 7종(35%)으로 가장 많았다. 8.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다모류 149종에 대한 우리나라 삼해역별 분포를 보면, 남해에만 분포하는 종이 83종(55.7%)으로 가장 많았고, 대양별 분포를 보면 우리나라와 태평양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이 149종(100%)으로 가장 많았다.;1.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Korean polychaetes was done with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South Korea from 1962 to 1981. 2.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esthetized with the menthol and then preserved in 5 percent for formalin. For the idertification, the parapodia and the setae of the polychaetcus annelids were dissected and mounted on the slide for tre permanent or tenporary preparation. 3. The identified polychaetouts annelids were 1 subspecies, 42 species, 35 genera, 18 families and 2 orders, of which 18 species were newly added to Korean fauna. They are as follows: Euphione chitoniformis, Hermenia acantholepis, Chrysopatalum occidentale, Typosyllis kurilensis, Ceratonereis hircinicola, perinereis floridana, Diopatra bilobata, Lumbrineris brevicirra, Sabellaria cementarium, Amphitrite oculata, A. edwardsii, Thelepus japonicus, Branchiomma cingulata, Myxicola aesthetica, Serpula zygophora, Hydroides a1biceps, H. uncinatus and Spirobranchus tetraceros. 4. The mateials including 43 species, of which 1 subspecies and 22 species (53.5%) were the Errantia and the other 20 (46.5%) were the Sedentaria. 5.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the polychaetous annelids in the three coasts 30 species (69.8%) were distributed from the South Sea and 17(39.5%) were distributed from the Yellow Sea. On the other hand, 5 (11.6%) were found in the Sea of Japan. 6. In the oceanic distribution there were 43 species (100%) common to the Pacific fauna. In the Atlantic Ocean there were 16 (37.2%), in the Indian Ocean 15 (34.9%) and in the Arctic Ocean 9 (20.9%). None of species were found in the Antarctic Ocean. 7. In the Errantia the largest number of the species (13 species, 56.5%) inhabited in the mud and the Sedentaria 7 (35%) on the rock. 8. In the distribution of the polychaetous annelids in the three coasts 83 (55.7%) of 149 species were found in the South Sea. And in the oceanic distribution 149(100%) were found in the Pacific Oce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