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인경-
dc.creator조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6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5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61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 of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the variables: mother's perception, parenting self-efficacy,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and mother-child mutual affec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trend of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2.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erception, parenting self-efficacy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2-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ption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2-2.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2-3. Do mother's perception and parent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 the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3-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3-2. Do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significantly predict the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mutual affect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4-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mother-child mutual affect and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4-2. Does mother-child mutual affect significantly predict the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5. Which i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predict the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mong the variables? Participants consist of 40 pairs of 5 years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Taejeon.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s were analysed by the categories of Pratt et al.(1988). Parenting self-efficacy were analysed by the revised scale of Allen(1993).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analysed by the KISC(KIRBS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Mother's correct perception on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investigated by the revised KISC. Mother-child mutual affect was analysed by the 5 point scale for connectedness of Clark & Ladd(2000). To collect the data, mother-child interaction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during building-block task and putting the pieces in the box task at their h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Mothers showed more contingent shift behavior than non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mothers showed the most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level difference 1 was the next. 2. Mother's perception on their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Parenting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Mother's perception was significant predictor to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Mother's perception and parenting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 to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3.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and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were significant predictor to mother's shift contingent behavior and to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4. Mother-child mutual affec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Mother-child mutual affect was significant predictor to mother's contingent shift behavior in 0 and 1 level difference. 5. Mother's percep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mother's contingent behavior. The order of effective predictor to the mother's contingent behavior of level difference 0 and 1 was mother's perception, parenting self-efficacy and mother-child mutual affect.;본 연구는 어머니 유관조절행동의 경향을 알아보고 자녀의 인지적 능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와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 유관조절행동의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인식은 유관조절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유관조절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3.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효능감은 유관조절행동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가? 3. 유아의 인지 능력과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아의 인지 능력은 유관조절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2. 유아의 인지 능력은 유관조절행동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가? 4.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와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4-1.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와 유관조절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4-2.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는 유관조절행동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가? 5.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 중 유관조절행동을 가장 많이 예측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5세 유아와 어머니 40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을 살펴보기 위해 Pratt 외(1988)의 범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Allen(1993)의 도구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인지 능력은 KISC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인지 능력에 대한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을 살펴보기 위해 KISC검사 문항을 설문지 형식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와 유아가 공유하는 정서를 측정하기 위해 Clark와 Ladd(2000)의 연구에서 사용한 결합성(connectedness)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어머니와 유아는 각 가정에서 블록 쌓기와 상자에 조각 넣기 과제를 수행하였고 이것은 비디오로 촬영되어 전사하였다.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과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조절행동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는 비유관조절행동보다 유관조절행동을 훨씬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별로는 블록 과제보다 조각 넣기 과제에서 어머니의 조절행동이 많이 일어났다. 조절행동 중 유관조절행동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변화크기가 0인 유관조절행동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변화크기가 1인 유관조절행동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 및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인식과 양육효능감은 유관조절행동,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과 양육효능감이 유관조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관조절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이었다.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과 양육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인지 능력은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유아의 인지 능력이 높을수록 어머니는 유관조절행동과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지 능력이 유관조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인지 능력은 유관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는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는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 중 유관조절행동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유의한 변인을 살펴보았다. 유관조절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이었으며, 변화크기가 0과 1인 유관조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 양육효능감,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 순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9 II. 이론적 배경 = 10 A. 유관조절행동 = 10 B. 어머니 인식의 정확성 = 22 C. 양육효능감 = 30 D. 유아의 인지 능력 = 37 E.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 = 42 III. 연구방법 = 51 A. 연구대상 = 51 B. 연구도구 = 52 C. 연구절차 = 66 D. 자료분석 = 74 IV. 연구결과 및 해석 = 76 A.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 = 76 B.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관조절행동 = 80 C. 유아의 인지 능력과 유관조절행동 = 84 D.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와 유관조절행동 = 86 E. 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능력, 어머니와 유아의 공유하는 정서와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 = 88 V. 논의 및 결론 = 91 A. 논의 = 91 B. 결론 및 제언 = 103 참고문헌 = 108 부록 = 125 ABSTRACT =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04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머니의 인식, 양육효능감, 유아의 인지 능력, 공유하는 정서와 어머니의 유관조절행동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