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서지연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과 직무 만족도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은 무엇인가? 2-1.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척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은 무엇인가? 2-2.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결과에 대한 기대 척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지역에 소재한 공·사립 유아교육기관에 재직중인 260명의 교사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조영희(1999)가 개발한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검사도구는 2개의 하위영역,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Huang(2001)이 제작한 「Survey of Kindergarten Teacher Job Satisfaction」을 조부경, 고영미, 박근희(2002)가 번역·수정하여 사용한 직무만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검사도구는 10개의 하위영역, 총 3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은 하위요인들 간에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척도(r=.49)가 놀이에 대한 교수결과에 대한 기대 척도(r=.35)보다 직무만족과 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동기요인(r=.49)이 위생요인(r=.46)보다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더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p<.01.).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 전체와 직무만족도의 동기요인은 교수성취감, 책임감, 개인적 성장과 전문적인 발달, 교수권한, 성취의 인정 순으로 상관을 나타냈으며,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 전체와 직무만족도의 위생요인은 대인관계, 승진과 보상, 관리와 권한 부여, 직무조건, 봉급 순으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 전체는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교수성취감, 대인관계, 책임감 요인에 의해 31.3% 설명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에 대한 신념은 교수성취감, 대인관계, 책임감 요인에 의해 28.3% 설명되며, 놀이에 대한 교수결과에 대한 기대는 대인관계, 교수성취감 요인에 의해 14.3% 설명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볼 때,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특히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교수성취감, 대인관계, 책임감은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을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This study aims at examining 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hose subordinate factors also affects efficacy about play. For this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are set.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nd job satisfaction? 2. What is the subordinate factors to have utmost influence o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2-1. Wha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job satisfaction on the belief scale of instruction's efficacy about play? 2-2. Wha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job satisfaction on the expectation scale of instruction's results about play? Objects of this study are 260 teachers, who works in public or private preschool in Gyeng-gi province. In this research,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used to check 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nd job satisfaction. To estimate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 used test tool is the one of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which was developed by Cho Yeong hee(1999). The test tool has two sub-fields and consists of total 19 items, each of them having 5 scales. To measure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Cho Boo-Kyoung, Go Young-mi and Park Guen-hui (2002)'s version which translated and revised Huang's 「Survey of Kindergarten Teacher Job Satisfaction」(2001). This tool has 10 sub-fields and consists of total 39 items, each of them having 5 sca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factor,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ub-fields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and positive correlation. The belief scale(r=.49) of instruction's efficacy showed higher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an the expectation scale(r=.35) of instruction's results about play. The motivational factors(4=.49) showed higher positive correlation with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than hygiene factors(r=.46). Kindergarten teachers' whole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nd the motivationa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play, showed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achievement in teaching, increased responsibility, personal growt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domin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and recognition of accomplishment. And kindergarten teachers' whole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nd the hygien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showed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motion and reward structure, administration, working condition and salary. Secondly,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play were affected by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t showed that teachers' whole efficacy about play could be explained 31.3% by achievement in teach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creased responsibility, which are sub-fields of job satisfaction. The belief of instruction's efficacy about play could be explained 28.3% by achievement in teach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creased responsibility, and the expectation of instruction's results about play could be explained 14.3%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hievement in teaching. Concerning play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ir efficacy about play and job satisfaction have meaningful correlation and, especially, achievement in teach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creased responsibility are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about pl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