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정희.-
dc.creator임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2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5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2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가정경영에 있어서 도시 핵가족의 구조와 가족의 역동성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가족관계의 유형을 제시하기 위해 의사결정시의 가족권력구조의 측면에서 접근했다. 연구는 서울시의 남녀 고등학교 2학년 학생 811명을 표집하여 실시했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x^(2), 변량분석 t-test를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표집된 가족의 부부간의 권력구조 유형을 보면 37.73%가 남편우세형이고 54.01%가 평등형이며 8.26%가 부인우세형이었다. (2) 표집된 가족의 부모권위구조 유형을 보면 43.03%가 부우위형이고 42.79%가 평등형이며 14.18%가 모우위형이었다. (3) 부부권력구조 유형과 부모권위구조 유형간에는 52%가 일치했고 48%가 불일치 했다. (4) 부부권력구조에 대해 남학생은 남편우세형으로, 여학생은 평등형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5) 부모권위구조에 대해 남학생은 父우위형으로, 여학생은 평등형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6) 생활정도가 높을수록 남학생은 부부권력구조를 남편우세형으로 지각했고 여학생은 평등형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7) 생활정도가 높을수록 남학생은 부모권위구조를 평등형보다는 父우위형으로, 여학생은 父우위형보다는 평등형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8) 父와 母의 학력에 따른 부부권력구조를 보면 여학생은 아버지의 학력이 낮을수록 부인우세형으로 지각했고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평등형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남학생의 지각은 부, 모의 학력과는 무관했다. 한편 부모의 학력수준이 모두 높으면 평등형으로 지각되는 경향이 있었다. (9) 부, 모의 학력과 부모권위구조 유형간에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10) 부부권력구조 유형에 따른 부모에 대한 태도에서 여학생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남편우세형일때 아버지에 대한 신뢰도 및 어머니와의 친밀도가 높았다. (11) 부모권위구조에 따른 부모에 대한 태도를 보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평등형일 때 아버지에 대한 만족도, 어머니에 대한 만족도, 어머니와의 친밀도가 높았다. 한편 父우위형일 때는 아버지에 대한 신뢰도만 높았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父우위형일 때 아버지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고 다른 태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의사결정에 있어서 우리나라 도시의 핵가족의 부부권위구조는 남편우세형 경향이 있으면서 평등형이 많고, 부모권위구조는 부부권력구조보다는 좀 더 봉건적인 즉 父우세형 경향이 있다고 보이나 역시 평등화 경향을 엿볼수 있어 일반적으로 가정경영에 있어서 의사결정시의 가족권력 구조가 평등주의적인 서구화를 이루어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전체적으로 볼 때 부모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여학생의 경우에 평등형일 때 가장 긍정적이라는 사실과 생활정도와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평등형 경향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교육수준과 생활수준이 일반적으로 점차로 높아지고 특히 여성의 교육수준이 날로 높아짐을 감안하면 의사결정에 있어서 가족권력구조의 평등화 경향을 예상할 수 있고 또 평등화 경향의 필연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남녀간의 지각의 차는 남자의 경우보다 여자의 경우에 더욱 남녀평등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미래 가족의 갈등의 단서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가정경영에 있어서 의사결정시에 가족권력구조의 평등화, 궁극적으로는 가정의 안정성을 위해 각 가족구성원의 노력은 물론 남녀평등을 위한 교육적, 제도적, 행정적 뒷받침이 요구된다.;The aim of this report is to find the family Structure of an urban nuclear family in dicision making for home management and its dynamics, and to suggest a more desirable pattern for it. The approach has been taken from the view of family power structur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811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omputer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for determination of x^(2), t-test.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1) On the questions of Conjugal Power Structure, 37.73% indicated 'husband-dominant' and 8.26% 'Wife-dominant' and 54.01% 'equalitarian' (2) On the questions of Parental Authority Patterns, 43.03% indicated 'father-dominant' 14.18% 'mother-dominant' and 42.79% "equalitarian' (3) In Parental Authority Patterns and Conjugal Power Structures, 52% of the data have same patterns and 48% have discrepancies in the two. (4) As far as Conjugal Power Structures are concerned, there is marked tendency for male adolescents towards 'husband-dominant' and females towards 'equalitarian'. (5) For Parental Authority patterns tendency is, for male adolescents towards 'father-dominant' and females towards 'equalitarian'. (6) As living standards of adolescents is high, there are mare male adolescents indicating 'husband-dominant' in conjugal Power structures, and more females for 'equalitarian'. (7) For Parental Authority Patterns, as living standards of the adolescents is high, more male adolescents indicate 'father-dominant' than 'equalitarian' and more females indicate 'equalitarian' rather than 'father-dominant'. (8)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male adolescents in their outlook of conjugal powe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education of their parents, but female adolescents tend to indicate more 'wife-dominant' as the education of their fathers is low and more 'equalitarian' as the education of their mothers is high. However when both Parents are highly educated, tendency is towards 'equalitarian'. (9)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Parental Authority patterns according to Parental education level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10) In the attitudes towards their Parents Of the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indication of Conjugal Power Structures, female adolescents show no meaningful difference, but for males who indicate 'husband-dominant' the degree of their trust in their fathers and of the closeness with their mothers are high. (11) In the attitudes toward their Parents according to their indication of Parental Authority Patterns, for male adolescents, who indicate 'equalitarian', their satisfaction of their Parents and their closeness with their mothers are high. On the other hand, in 'father-dominant', only the trust of their farthers is high. Hence one can Say that in Conjugal Power Structures of urban nuclear families in Korea, there are many 'equalitarian' patterns, but bias is toward 'husband-dominant'. But in Parental Authority Patterns, there seems more tendency toward 'father-dominant' than in conjugal power structures. However one can perceive a substantial cases of 'equalitan' in Parental Authority Pattern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 general family power structure is changing toward more 'equalitarian' as in western society. The result from this survey Predicts more tendency toward more 'equalitarian' in future when one considers general increase in living standards and its education. The result also asserts a need for more 'equalitarian' of patterns in family, since female adolescents think 'equalitarian' is more desirable than male adolescents and this may create family conflicts in the future. Hence ultimate stability of family and the equality of family power structure in decision making for home Management is required and for that goal, not only the education on equalitarianism but also administrat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are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4 C. 연구의 제한점 = 9 Ⅱ. 문헌연구 = 11 A. 가족구조의 역동성 = 11 B. 가족권력구조에 관한 성행연구 = 18 C. 개념의 정의 = 39 Ⅲ. 연구방법 = 42 A. 대상 = 42 B. 도구 = 44 C. 자료수집 = 45 D. 자료처리 = 45 Ⅳ. 결과 및 해석 = 47 A. 부부권력 구조 = 47 B. 부모권위구조 = 53 C. 부부권력구조에 따른 부모권위구조 = 57 D. 부부권력구조에 따른 부모에 대한 태도 = 58 E. 부모권위구조에 따른 부모에 대한 태도 = 62 Ⅴ. 요약 및 결론 = 70 참고문헌 = 75 부록 = 81 영문초록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002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족권력구조-
dc.subject부부권력구조-
dc.subject부모권위구조-
dc.title가족권력구조와 자녀의 부모에 대한 태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amily power structures and the attitudes towards their parents of the adolescents-
dc.format.pagex,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