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학령전기 아동의 애착안정성 및 어머니의 분리 행동스타일과 초기적응과의 관계

Title
학령전기 아동의 애착안정성 및 어머니의 분리 행동스타일과 초기적응과의 관계
Authors
김보경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maternal departure style and early adjustment in the preschool yea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 normal children with age of 2.5- 3 years and their mothers. The attachment security was assessed by Attachment Q-set of Korean version(Young Lee, Kyung-Ja Park, You-Mi Na, 1997). Maternal departure style was examined by Strange Situation Procedure(Ainsworth et al, 1978). In this study used the some modified SSP. Just before entering the playroom, the parent received instructions that the separation signal, they leave their children naturally when they do. According to Weinraub & Lewis(1977) cording procedure, three basic styles of maternal departure behavior were observed. Mothers who slipped out unobtrusively or said noting regarding their departure were assigned a score of 1, mothers who told the child they were leaving and/or would return were assigned a score of 2, and mothers who not only told their child they were leaving and/or would return but who also gave their child explicit instruction assigned a score of 3. Early adjustment in day care was rated by their teachers using The Day care Adjustment Questionnaire after one month enrollment in day care. Developmental age was assessed by Bayle Scale of Infant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security, maternal departure style and early adjustment in the preschool years. As a result, the more secure attachment, inform of the separation situation, developmental age children were the more good adjustment. To analysis the relative influences on the significant variables for early adjustment used th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fisrt, attachment security, secondly, developmental age, thirdly, maternal behavior style orderly important influence on early adjustment. 2. There was a interaction between maternal departure style and developmental age. The maternal departure style 3, mother who told their child the more inform and explicit instruction is more positive effect to the children over 36 months than under 36 months. That is, age of 36 months is the time to reach the "goal-corrected partnership". Therefore, maternal departure behavior style is important to this over 36 months preschoolers. Especially among the three variables which effect on early adjustment, the maternal departure style is easy to intervention.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parent intervention this variable can be simple to change.;본 연구는 애착안정성, 어머니의 분리행동 스타일, 아동의 연령과 초기 어린이집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처음 어린이집에 입학하여 한달 정도의 기간을 보낸 만 2.5세에서 만 3세 까지의 아동 33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와의 애착 안정성은 이영, 박경자, 나유미(1997)의 한국판 애착 Q-set을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분리 시 행동은 Ainsworth 외(1978)의 낯선상활절차를 통해 관찰되었으며, 이 낯선상황절차는 약간의 수정이 이루어졌는데, 아동에 대한 분리신호를 받으면 어머니는 아동과 분리할 때, 평소에 하는 방식대로 하고 나오도록 지시를 주는 것이다. Weinraub과 Lewis(1977)의 코딩체계에 따라 어머니의 분리 시 행동은 분리에 대한 언어적 표현 없이 몰래 빠져나오는 분리행동 스타일 1과, 엄마가 나가고 돌아오는 것에 대해 언급해주고 떠나는 분리행동 스타일 2, 엄마가 나가고 돌아오는 것에 대한 언급과 함께, 아동에게 분리의 이유를 설명하고, 엄마가 없는 동안 구체적으로 아동이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정보를 주는 분리행동 스타일 3으로 코딩된다. 어린이집에서의 초기 적응을 평가하기 위해서 새로 입학한지 한달 정도가 지났을 때, 아동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아동의 적응 질문지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발달연령은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를 통한 발달지수로 산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이원 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어린이집 적응은 애착안정성, 어머니의 분리행동 스타일, 발달연령과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와 안정된 애착을 맺은 아동이, 분리과정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충분한 정보를 어머니에게서 제공 받은 아동이, 발달연령이 높은 아동이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어린이집적응과 유의미하게 상관있는 것으로 나타난, 애착안정성과 어머니의 분리행동 스타일, 발달연령이 초기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애착안정성, 발달연령, 어머니의 분리행동 스타일 순으로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분리행동 스타일과 발달연령 간에는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분리 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주는 어머니 분리행동 스타일 3은 발달연령에 따라 36개월 이상의 아동집단에게 36개월 이하의 아동집단에서 보다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안정성, 발달연령, 어머니 분리행동 스타일 순으로 모두 아동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목표-수정적 파트너쉽의 단계로 접어드는 36개월 이상의 아동들에게 어머니 분리행동 스타일의 영향은 더 중요하다. 특히 초기 어린이집적응에 영향력 있는 세 변인 중 어머니의 분리행동 스타일은 가장 개입이 쉬운 변인인 동시에, 부모교육을 통하여 쉽게 수정될 수 있는 변인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