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준원-
dc.creator이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4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67-
dc.description.abstract현존은 시간 안에 있다. '존재한다' 는 것은 '시간을 갖고 있다'는 "있음" 의 의미와 같다. 시간은 인간 삶의 기본 조건이며 지속적인 흐름을 갖고 있다. 그리고 그 시간 안에 존재하는 실존도 흐름을 갖고 변화해 간다. 시간은 형태가 아닌 실존을 통해서 그 존재가 드러난다. 이러한 실존의 전제 조건인 동시에 실존을 통해서만 드러나는 '시간'은 이미 오래 전부터 많은 철학자들에 의해 다루어 졌고 예술가들에게는 표현의 대상이었다. 시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해 왔다. 작게는 개인에 따라 시간을 인식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그 관점에 따라 일상 속의 모습 또한 각기 다르다. 본 연구자는 시간의 본질이 흐름을 통해서 드러나듯, 인간도 축적되어가는 시간의 흐름을 통해 존재를 드러낸나고 생각한다. 존재의 안과 밖에서 지속적으로 흘러가는 시간, 그시간을 드러내는 일상, 그 안에서 각자의 기억으로 남는 경험, 이러한 모든 것은 보이지 않는 것들이다. 본 연구자는 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부터 타인과 근본적으로 구별 지을 수 있는 독창적인 나(The I)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누구나, 나 자신 조차도 같은 시간 안에 존재하는 대중임을 피할 수 없지만, 그 대중들 속에서 나만의 모습을 찾아내는 일은 이러한 경험을 만들어 내는 원천인 개인의 주위 환경의 사소한 모든 것들, 그 안에서 나만의 모습을 찾아낼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자는 일상 속에서 연구자에게 가까운 소재들을 채택하고, 그 소재들을 이용한 작업을 일상의 일부로 설정함으로써 연구자와 함께 시간의 흐름을 동시에 갖고, 그 흐름 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변화를 섬유로써 담아내려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이용해 변형가능 한 섬유 조형으로 표현함으로써 물질과 정신이 통합된 하나의 개인을 담을 수 있는 작없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Ⅱ장에서는 철학자 존 듀이(Jone Dewey : 1859-1952)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통해 평범한 일상에서의 미적 경험이 작가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ㅇ르 살펴봄으로써 조형예술에 있어서의 일상의 개념을 알아본다. 그리고 일상적 사물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본 연구자 시각의 경험적 이미지와 깊은 연관이 있음을 고찰한다. 시간을 소재로써 다룬 다른 작가들의 작품들을 통해 조형 예술 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시간의 영역을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조형 예술 분야 속의 시간성과 물질성에 대해 알아 본다. 비가시적인 시간을 담을 수 있는 대상, 그것을 표현재료인 물질자체가 되고, 그 물질은 철저히 작가의 경험에 기반을 둔 주관적 선택에 의한 소재로써 그 자체로써 갖은 물질성을 조형언어로써 표현하는 방법들을 작가 연구를 통해 제시한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자가 설정한 "일상에 스며듦" 이라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재료 선택 과정 속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시도와 결과를 보고하고, 그 결과물을 통해 제작 과정에서부터 중시해 온 섬유의 물질성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을 섬유 조형작업으로 발전시키기까지의 과정을 제시한다. 이상의 연구목적과 과정을 거쳐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가시적인 시간을 시각화하는데 있어서는 시간성을 드러낼 수 있는 질료를 통해, 그 물질성 안에서 시간의 흐름을 설정해 두고 그 안에서 일어아는 자유로운 변화를 인정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둘째, 커피 색소를 이용한 염색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염색 방법은 본 연구자의 섬유 작업에 있어서 재료의 선택과 표현 방법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조형 작업에 있어서 표현의 도구인 질료가 갖는 물질성은 시간성이 투입된 작업 과정을 통해 변화의 과정을 겪을 수 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는 환경 조건의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그 특성을 이용해 다양항 색감과 변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넷째, 섬유와 섬유의 가장자리를 바느질을 이용해 섬유를 확장시킬수 있었다 그리고 갈고리 단추(hook)로 연결함으로써 탈 부착이 가능한 변형 가능한 섬유 조형물로 확장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자는 일상 안에서 연구자만의 독창적인 요소들을 찾아내고, 이를 통하여 연구자만의 흔적이 드러날 수 있는 섬유 조형작업으로 지속적으로 연구, 발전시키고자 한다.;The being is bounded to the time. The being can be completed by having the time. Time is one of our essentials and is in continuity. And the beings which live in time are in continuity as well. Time appears itself by existence not by formality, The time which has been an essential of the beings and appears itself by exitence has been a subject covered by many philisophers and artists for a long time. The point of view on time has been changed by ages and cultures. One can perceive time in various ways, and personal perception on time can affect one's daily impressions. Time that passing by beings, daily impressiongs of beings in time, these are all invisible. In this study, I could search for the original myself ( The I) from these invisibles that would make difference from others. One should live in the same time frame like others, however, I believe that I could find priginal myself from things in personal environment which is the origin of imper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the changes of fabric meterials in time frome focusing onthe flexibility of fabric basec on the thought that being appars itself by flow of time accumulated in being, just like that time appears itself by flow. The existence could be given to subject materials by selectin intimate ones comming from personal daily impressions and by setting up work precess in ordinary life. The changes in this process ard expressed by fabric formative. This would make me spiritually and physically incorporated. Chapter II covers the concept of time in formative art in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way and the process how aesthetic experiences in ordinary life influence John Dewey(1859-1952) through his book of "Art as Experience". Substantial coverage is given also to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formative art and process of cognizing ordinary objects in that personal visions are deeply related to empirical image. Study on time and imateriality in terms of process art is also made by setting up daily things as changeable in series of time. In Chapter Ⅲ, studies on process art which emphasizes significance of prodess through Rober Morris(1931-)'s works are made. And new possibility to open time in formative art is presented through studies of Bill Viola(1951-)on video art concerning time. And vision and way of expression on time through artists who have made formative are mentioned. Based on these sudies, Chaper Ⅳ presents the precess to develop fabric materiality on that focused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is work by displaying various trials including prodess of selecting meterials and linking works outputs and the result under concept of Absorption in daily impression. Eight works on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it is appropriate to set up time in materiality and visualize invisible time through meterials and allow changes freely happen in it. Second, it is possible to utilize coffee grounds as a dye which is an appropriate material to use for a long time. This dyeing method becomes to preseont diverse possibility of selection of materials and expression. Third, the materiality of materials as an expression tool should be gone through process of change through works that are input time. This preocess tends to be very sensitive to conditions of circumstance, and this has enabled to invoke various color sensation. Fourth, changing the way to link fabrics could express flexibility of fabrics. Fabrics could expand its dimensions from screen to flexible fabfic forms through linking fabrics by using hook or by sewing edges of fabrics. Finally, it was assured to attain open space by organizing fabric strip in the process of linking fabrics. This could present possibility of fabrics to expand spatially besides flexibility if volume. I would keep developing fabric formative works that would appear my flow of time in daily im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방법 및 내용 = 3 2. 일상과 조형 = 5 2-1 일상에 내재된 조형언어 = 5 2-2 시간을 통해 표현된 조형예술 = 11 3. 물질과 시간 = 17 3-1 과정에 의한 물질의 변화 = 17 3-2 물질을 통해 표현된 조형예술 = 22 4. 작품 제작 과정 및 분석 = 30 4-1 제작 의도 = 30 4-2 제작 과정 = 34 4-3 작품 분석 = 41 5. 결론 = 68 참고문헌 = 72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105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상의 흔적에 의한 섬유조형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