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4 Download: 0

일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Title
일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최정미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 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자기 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4월 13일부터 4월 30일까지 17일간에 걸쳐 자기기입식 설문지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두 자료를 전산부호화하여 SPSS Win 11.0을 이용하였고,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χ^(2)-test, t-test, ANOVA, Tukey를 이용한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Multipul Regression analysis등의 통계기법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특성에서는 성별의 경우 건강관련 특성 중 건강상태, 입원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건강관련 특성이 없었다. 한달 용돈은 건강관련 특성 중 아버지의 질환유무, 이용하는 의료기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거형태는 건강상태, 어머니의 질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에서는 건강증진 행위 영역 중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 영역과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영역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건강상태가 건강할수록,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와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에 있어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적 생활 영역에서는 본인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위생적 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식과 수면 영역에서는 자택과 친척집에서 거주하는 학생이 하숙, 자취집에 거주하는 학생보다 휴식과 수면에 대한 점수가 높았으며,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들에게서도 높은 점수가 나왔다. 식이조절 및 건강식이 영역에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하숙, 자취집에 거주하는 학생보다는 자택, 친척집에 거주하는 학생의 식이조절 및 건강식이 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왔다. 건강에 대한 책임감 영역에서는 입원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일수록 건강관련강의 수강경험이 있는 대상자일수록 건강에 대한 책임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자기 효능감에서는 자기 효능감 영역 중 운동적 효능 영역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운동적 효능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효능 영역에서는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심리적 효능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적 효능 영역에서는 여러 가지 특성 중 건강관련강의 수강경험에서만 유의한 결과나 나타났다. 건강관리 효능 영역에서는 성별은 남자보다는 여자가,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는 있는 학생에게서 건강관리 효능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 효능감과의 관련성은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자기 효능감이 영역별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운동적 효능은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위생적 생활, 휴식과 수면, 식이조절 및 건강식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으며, 심리적 효능은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휴식과 수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적 효능은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위생적 생활, 휴식과 수면, 식이조절 및 건강식이, 건강에 대한 책임감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관리 효능은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 위생적 생활, 건강에 대한 책임감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elf-efficac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health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720 colleg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or 17 days from the 13th to the 30th of April 2004. Data were all digitized and analyzed through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χ^(2)-test, t-test, ANOVA, Tukey-based posterior verification, Pearson correlation, etc. using SPSS Win 1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ith regard to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s, health condition and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ut no health-related characteristic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Whether the father has a disease and medical institutions frequently us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nthly pocket money. In addition, health condition and whether the mother has a diseas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2.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male students appeared to be more active in self-realization, interpersonal relation, exercise and stress control than female students, healthy students than unhealthy ones, and students who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than those who have not. In the area of hygienic life, those aged over 27 got the lowest score, and those who thought they are healthy appeared to live hygienic life. In the area of rest and sleep, the score was higher in students who resided at their own house or a relative's house than in those who lived in a lodging house or boarded themselves, and in students who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In the area of diet control and healthy diet, the score was higher in students who resided at their own house or a relative's house than in those who lived in a lodging house or boarded themselves. In the area of responsibility for health, the sense of responsibility was stronger in those who replied 'Ye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have ever been hospitalize and those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3.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self-efficacy and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exercise efficacy appeared to be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in those who spent 500,000 won or more a month, and in those who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Psychological efficacy appeared to be higher in students who thought they are healthy and those who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Nutritional 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The score was highest in students who replied 'Very healthy.' Health management efficacy appeared to be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in those who spent 500,000 won or more a month, and those who have never attended a health-related lecture. 4. All the area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ppeared to b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5. As for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area, exercise efficac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aliz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exercise and stress management, hygienic life, rest and sleep and diet control and healthy diet, and psychological efficacy on self-realiz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exercise and stress management and rest and sleep, nutritional efficacy on exercise and stress management, hygienic life, rest and sleep, diet control and healthy diet and responsibility for health, and health management efficacy on self-realiz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ygienic life and responsibility for heal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