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外國語 語彙 把持에 있어서 文學刺戟과 그림刺戟의 效果

Title
外國語 語彙 把持에 있어서 文學刺戟과 그림刺戟의 效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pcitures and words as stimuli in learning foreign language responses
Authors
金月順.
Issue Date
198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외국어그림자극문학자극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本 硏究는 外國語 語彙 把持에 있어서 學習資料形態別로 그림과 文字 刺戟의 效果, 學習資料 提示方法別로 묶어서 일정한 順序대로 提示하는 方法과 無選 標集(Random Sampling)에 의해 提示하는 方法 사이에 어떤 差異가 있나를 밝혀서 보다 效果的인 外國語 語彙 把持 方法을 摸索코자 하였다. Kopstein(1954), Yarmey(1965), Deno(1968), Dilley(1968), Webber(1978) 等의 先行 硏究를 토대로 本 硏究에서 다루고자 하는 問題들은 다음과 같다. 1. 外國語 語彙 把持에 있어서 그림 刺戟과 文字 刺戟 中 어느 것이 더 效果的인가? 2. 語彙를 묶어서 일정한 順序대로 學習하는 것과, 無選 標集하여 일정하지 않은 順序로 學習하는 것 中 어느 것이 더 效果的인가? 3. 學習回數가 增加함에 따라 把持量에 얼마나 差異를 나타내는가? 4. 學習資料 形態와 提示方法사이에는 서로 어떤 相互作用이 나타나는가? 5. 學習資料 形態는 學習回數가 增加함에 따라 把持量에 어느 程度差異를 나타내는가? 6. 學習資料 提示 方法은 學習回數가 增加함에 따라 把持量에 어느 程度 差異를 나타내는가? 7. 그림 刺戟과 文字 刺戟 中 어느 것이 더 長期 記憶에 效果的인가? 8. 學習 資料를 묶어서 일정한 順序대로 提示하는 方法과 일정하지 않은 順序로 提示하는 方法 中 어느 것이 더 長期 記憶에 效果的인가? 이와 같은 硏究를 위해 서울特別市 C國民學校 4學年 80名을 對象으로 2(그림刺戟 對 文字刺戟)×(일정한 順序 對 일정하지않은 順序)×4(실시 회수) 要因方案에 의해 實驗을 실시했다. 語彙는 英語 20개를 우리말 해석의 文字나 그림과 짝지어 學習했고, Test도 學習後 바로 실시하였다. 1, 2, 3차는 계속 실시되었고, 4차는 長期 記憶에 미치는 效果를 探索코자 2주 후에 학습없이 再生 검사만을 실시했다.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文字 刺戟보다 그림 刺戟과 짝지어 졌을 때 더 많은 語彙가 再生되어졌다.[F(1,304) = 33.35, p< .01] 2. 일정하지 않은 順序로 提示하는 方法보다 일정한 順序대로 提示하는 方法에서 더 많은 語彙가 再生되어졌다.[F(1,304) = 34.07, p< .01] 3. 學習回數가 많을수록 再生量이 增加했다.[F(3,304) = 109.22, p< .01] 4. 學習資料 形態와 提示方法이 再生量에 주는 相互作用 效果가 없었다. 5. 學習資料 形態는 學習回數가 增加할수록 再生量에 더 큰 差異를 주었다.[F(3,304) = 3.47, p< .05] 6. 學習資料 提示方法은 學習回數가 增加할수록 再生量에 더 큰 差異를 주었다.[F(3,304) = 5.09, p< .01] 7. 長期 記憶에서 그림 刺戟과 文字 刺戟 사이에 忘却量은 有意味한 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CR = 0.02, p> .05] 8. 長期 記憶에서 일정한 순서로 묶는 方法과 일정하지 않은 順序의 方法 사이에 忘却量은 有意味한 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CR = 1.38, p> .05];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materials, and the method of presentation on children's foreign language learning. Subjects consisted of 80 students from 4th grade classes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Their mean age was 9.5 years old. The subjects had no knowledge of the English language. The design of the study was a 2(word-word vs. picture-word)×2 (grouped order vs random, ungrouped order)×4 (trials) factorial design. Twenty English words were used as a foreign language responses. Korean translation card and picture cards were used as stimuli. Each of the 20 pairs was presented for 8 seconds with a 2 second interval between each card. A written recall test followed each of the first three trials. The fourth trial, in which recall was tested without another presentation of the stimulus pairs, was conducted two weeks later. The students in each condition were presented the stimuli and tested as a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ll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1. More words were recalled in the picture-word condition than in the word-word condition [F (1,304) = 33.35, P < .01) 2. Words presented in grouped order were recalled better than words presented in a random, ungrouped order [F(l,304) = 34.07, p < .01] 3. The mean number of correctly recalled responses increased over the first three trials and decreased two week later : 2.76, 6.85, 9.84, 7.56, for trials 1,2,3 and 4,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between trials were significant [F(3,304) = 109.22, p < .0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