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오브제 도입을 통한 화면의 이미지 추구

Title
오브제 도입을 통한 화면의 이미지 추구
Other Titles
Study on reflecting image of everyday object on pictoral surface
Authors
朴敬美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오브제도입이미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C 회화에 있어서 구체적 형상을 통한 Image 회복운동은, 추상표현주의가 내면의 세계를 추구함으로써 예술이 일상의 삶과 유지되어 가는 상황에 반발하여 일어났다. 예술과 삶을 하나로 묶으려는 이러한 갈망은, 예술의 기존 가치 질서에 반대하는 Dadaist들이 일상의 오브제와 기성의 Image들을 예술의 영역안에 도입하는 등, 여러가지의 충격적인 행위들로 구체화되었다. 예술의 영역안에 레디메이드(Ready-made)를 들여놓았던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1887-1968)은 회화를 개념적인 논리의 장(場)으로 간주했으며, 다른 많은 Dadaist들은 시사성을 띤 사실적인 Image들을 기존 수법이 아닌 포토 몽타쥬(photo-montage)라는 기계적인 방식을 통해 화면속에 재현시켰다. 이상과 같이 예술내에 일상적인 Image를 도입하는 소재의 측면과 복제예술이라는 기술적인 측면은 후에 Pop art에서 '회화적인 요소'로서 다시 받아들여진다. 본인은 Dada의 작품에 나타나는 사회 가치질서에 대한 비판과 회화에 대한 개념적인 인식 및 Dada의 소재와 기법적인 면을 회화의 물질적인 차원으로 받아들인 Pop art의 측면을 포용하는 기본 의식을 갖고 작품 제작에 임하였다. 이론적인 기반으로, 내용적인 면에서는 베를린 Dadaist중의 하나인 한나 호크(Hannah Hoech, 1889∼)와 미국의 Pop 조각가로 현대문명속의 공허한 인간상을 표현한 죠지 시걸(George Segal, 1924∼)을 연구하였고, 표현 방법적인 면에서는 로버트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 1925∼)의 프린트 Image의 세계와 아라카와(Shusaku Arakawa, 1937∼)의 언어 도식의 세계를 연구하여 본인의 회화적 가치관을 정립해 나가고자 하였다.;In twentieth-century painting, against the abstract expressionism a group of artists named Dadaists recovered image of an object in painting. It was referred to the fact that art had been taken apart from life by abstract expressionists' soul-searching. Dadaists attempted, against the traditional value, to narrow the gap between art and life by bringing everday life into art theories, concerns, materials, and processes. They displayed ready-mades or took the imagery from everyday life. Marcel Duchamp the most famous Dadaist, holding painting on conceptual level, designated "ready-made" as an art object. Many other Dadaists took images from actual life and duplicated them realistically not by traditional methods but by photo montage Later, everyday life-image and the mechanism in method, were accepted as pictoral elements, and I accepted the idea of Dada's criticizing social values, holding painting on a conceptual level, and the idea of pop's methodology in painting effected by Dada. In this thesis, toexplain the theorical basis on the contents, I attempted to make a careful study of Hannah Hoech one of the Berlin Dadaists, and of george Segal who is one of Pop sculptors. And to explain the theorical basis on methodology, I aimed at a careful reseach of Robert Reuschenberg and Shusaku Arakawa. By doing that I attempted to hold my view on pain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