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靈的要素에 있어서의 抽象的 表現硏究

Title
靈的要素에 있어서의 抽象的 表現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abstract expression in spiritual factor
Authors
李淑子.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영적요소추상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회화는 精神의 自由로운 創造力이 表出해 낸 형태가 抽象的이라는데 그 특성과 고유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抽象美術의 본질적 개념에 입각해서 볼 때 그것은 自然的 靜觀의 계기를 거쳐서 표현된 것이라 본다. 이같은 자유로운 창조력의 표출은 영혼의 심층에로부터 울려나온 創造的 情感의 作用이다 이에 현대 추상화 속에는 다분히 창조적 직관-詩的 直觀-의 요소가 潛在되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므로 추상화는 靜觀의 要素와 영혼의 安息의 要素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작품연구에 있어서 작품을 이루게 했던 그 內的 올림은 영적 체험이었다. 이것은 또한 詩的 直觀의 照明 속에서 깨우쳐 진 것이기도 하다. 본 작품연구는 '그리스도 부활'에 대한 默想을 통해서 表象된 조형언어가 抽象的 형태를 취한 것이기 때문에, 이론적 기반에 있어서, 내용적인 면으로는 현대의 가장 위대한 종교화가로 인식되고 있는 Roualt의 '그리스도 중심적' 주제와 내용 및 영적체험을 통한 순수하고 자유스런 표현과 또, 가톨릭 신앙인으로서 종교적인 주제와 내용을 抽象的 형태로 제작한 Manessier를 연구했으며, 방법적인 면으로는 西歐의 書法的 화가 Soulages와 Hartung의 dynamic한 필치 속에 潛在된 靈的 要素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Mondrian의 순수한 조형의식과 본인의 그것과 비슷한 점이 있기에 비교 연구하였다. Mondrian은 순수한 추상회화의 창조를 위해 수평과 수직 그리고 순색의 가장 단순하고 순수한 요소들로서 조형표현을 한정시켰다. 본인은 붓의 필치 그 자체가 지닌 氣 = 힘의 느낌을 통해서 부활의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부활에 대한 본인의 일련의 작품들은 '그리스도 부활'에 대한 묵상에서 받은 영감과 '가시적 자연'의 신비 속에 감춰진 무한한 부활의 메시지와의 총체적인 內的 表象을 그린 것이다. 본인은 '부활'의 본질적 의미를 '새 생명'을 잉태시키는 '근원적 힘'으로 보았다. 이에 본인은 東洋의 筆墨藝術의 禪的 修行方法으로 표현되는 一筆揮之의 精神으로 접근해서 그 筆致法을 작품의 주요기법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작품연구에서 '墨' 그 자체의 힘은 도입하지 않고 오히려 흰색의 內面化된 힘으로 해서 붓자국 그 자체의 힘의 느낌을 증진시키고자 했다. 이에 화면은 보다 靜的인 분위기가 감돈다.;A modern painting has its own special quality and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 liberal and creative power of spirit which imbues the abstract form. This appears through the natural and serene contemplation experienced when one views a painting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comes from the calm and creative feeling that stems from within one's poetic observation that is latent in modern abstract pictures. Therefore, an abstract picture can provide an element of serene contemplation and soulful rest. Spiritual experience contributes to this creative task by way of an inner vibration. Such a spiritual experience is an illumination through observation that is at once poetic and direct. The formative language that resulted from such spiritual experience by way of meditation on the "Resurrection of Christ" has taken form in this work. In term of the content for examination on a theoretical basis, I studied the pure and free expression of a spiritual experience that was the subject and content of the "Central Christ" of Rouault who is regarded as the greatest religious painter in modern times. Also, I studied Manessier who as a Catholic, improvised religious subjects in abstract form. In terms of method, I studied the spiritual factors latent in the dynamic style of the Western calligraphy painters, Soulages and Hartung. I also studied the similer point of mine with the Mondrian's pure plastic idea. To create pure Abstrac Painting, Mondrian defined the expression of plastic art by simpIe and pure factor of vertical, horizontal and pure color. I pursued the imagery of the Resurrection in terms of the feeling that is evident in the use of wide strokes of the brush. In my series of paintings on the Resurrection, the overall impression results from the inspiration I had during meditation on the theme of the Resurection and the boundless messages about "resurrection" that are hidden in the visible works of nature. I regarde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Resurrection to be a basic power which gives rise to a conception of new life. Akin to this is that swift brush stroke with an oriental brush and Chinese ink - a stroke that is often described as the result of the self-discipline which comes from Buddhist meditation, I took a serious view of such style in this work. However, I did not introduce the strength of the brush stroke itself and distinguish it from the inner power of the color white, and so the entire picture keeps flickering in a calm atmosphe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