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현하-
dc.creator권현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1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4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105-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개인적 속성과 사회경제적 속성에 따라 나타나는 진로인식의 정도는 어떠하며, 비슷한 또래의 아동들이 어떻게 다른 진로인식의 발달 형태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동의 개인적 속성 변인으로 '성별'과 '학업성적', 사회경제적 속성 변인으로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 '가정의 생활수준', '생활거주지'를 설정하였고, 이에 따른 종속변인으로서 진로인식을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 '의사 결정 능력'의 네 가지 하위 변인으로 세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개인적 속성 변인들에 따라 나타나는 아동의 진로인식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둘째, 아동의 사회경제적 속성 변인들에 따라 나타나는 아동의 진로인식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배포, 회수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10.1을 이용하여 연구가설별로 통계처리방법을 달리하였다. 항목들의 내적 일관성 검사를 위하여 Cronbach's Alpha 값을 사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 검증에 대해서는 Student's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사후 검증의 하나인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의 개인적 속성 변인들에 따라 나타나는 아동의 진로인식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라는 연구가설 1은 첫째, 아동의 성별에 따라서 진로인식의 네 가지 변인 중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가 없었으나 '의사 결정 능력'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여자가 남자보다 '의사 결정 능력'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학업성적에 따라서 진로인식의 네 가지 변인 중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업성적이 상인 집단의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능력'의 정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인 집단과 하인 집단의 순서였다. 그러나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변인에서는 학업성적에 따라 유의미한 차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아동의 사회경제적 속성 변인들에 따라 나타나는 아동의 진로인식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라는 연구가설 2는 첫째,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서 진로인식의 네 가지 변인 중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를 보였는데 부모의 교육수준이 중졸이나 고졸인 집단보다 전문대졸과 4년제 대학졸인 아동의 집단으로 갈수록 즉,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능력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변인에서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직업에 따라서 진로인식의 네 가지 변인 중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를 보였는데 부모의 직업이 전문직, 공무원, 사무직인 아동의 집단이 판매직, 기술직, 기타인 아동의 집단보다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변인에서는 부모의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가정의 생활수준에 따라서 진로인식의 네 가지 변인 중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를 보였는데 생활이 여유로운 집단의 아동이 생활이 어려운 집단의 아동보다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능력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변인에서는 가정의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생활거주지에 따라서 진로인식의 네 가지 변인 중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를 보였는데 강남구의 아동이 구로구의 아동보다 '자아인식', '일(직업)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능력'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변인에서는 생활거주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아동의 진로인식은 아동의 개인적 속성 변인인 '학업성적', 사회경제적 속성 변인인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 '가정의 생활수준', '생활거주지'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교육에 있어 개인적 속성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한국의 진로교육에 주는 몇 가지 시사점을 찾아보면 첫째, 아동들의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진로인식의 수준 또한 높으므로 진로교육 이전에 교과교육이 충실히 지도되어야 하고, 특히 학업성적이 낮은 아동들에게는 더욱더 세심하고 적극적인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고, 둘째, 사회경제적 속성 요인들이 아동의 진로인식에 있어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감안하면 가정에서의 진로교육도 소홀히 할 수 없으므로 이에 진로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고, 셋째, 학교에서 진로교육을 충실히 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교사들의 진로소양교육을 넓히고 진로전문 상담교사를 배치하여 전문적인 진로교육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야 하겠으며, 넷째, 아동의 학업성적, 가정의 생활수준, 지역 등에 따라 아동들의 진로인식의 정도가 다양하므로 이러한 다양한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의 자료가 더 많이 개발·보급되어야 하겠고, 다섯째, 아동들의 진로인식을 객관적으로 검사하여 수량화할 수 있는 진로인식의 표준화 검사지가 한국의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진로 상담소나 연구소 등의 전문 기관적 차원에서 개발되어야 하겠으며,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를 뛰어넘어 교사, 학부모들이 진로교육을 하는데 더욱더 도움이 되고, 진로교육의 연구에도 이론적, 실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많은 좋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겠다.;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ate of the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the personal attributes and social-economic attributes, and compare how different level of the career awareness the boys and girls of the same age have. For this study, the sex and the school records are chosen as the factors of the personal attributes, and the standard of education and the jobs of their parents,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ir home, and their places of residence as the factors of the social-economic attributes. As the career awareness, or the secondary factor,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the positive attitudes to the jobs, and ability of decision-making are chosen. Based on these factors,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set up. The first hypothesis; the level of the career awareness acquired in accordance with their personal attributes has the meaningful difference. Second hypothesis; the level of the career awareness acquired according to their social-economic attributes also has the meaningful difference.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made and received the answers. With these answers, thi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 V.10.1, the data was processed based on the hypothesis. To exa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the reliability using the Cronbach's Alpha value was analyzed. To examine the difference among groups, Student's t-test and ANOVA was used. As the result of ANOVA,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items was tested with Scheffe test. About the first hypothesis, the result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ex,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level of the career awareness in the respects of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and the positive attitudes to the jobs. But in the respect of ability of decision-making, the level of the career awareness has meaningful difference. And also the level of decision-making of girls is higher than boys. Second, according to school records,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pects of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and the level of decision-making. And the level of these three respects is the highest among students who has highest school records. Students who has lowest school records is the lowest in the three respects. But in the respect of the positive attitude of jobs,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About the second hypothesis, the result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pects of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and the ability of decision-making. And the level of these three respects gets higher in accordance with parents' standard of education. But parents' standard of education is not related to the positive attitude to jobs. Second, according to parents' jobs,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pects of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and the ability of decision-making. In the respects of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and the ability of decision-making students with parents whose job is a professional, a public servant, or a white-collar worker has the higher level than those with parents whose job is a salesperson, an engineer, and so on. But in the respect of the positive attitude to jobs, parents' jobs doesn't make any difference. Thir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iving,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pects of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and the ability of decision-making. Students in the groups who live in comfort have the higher level of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and the ability of decision-making than students in the groups who make a bare living. But the standard of living doesn't have any special effect on the positive attitude to jobs. Forth, according to the place of residenc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pects of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and the ability of decision-making. The level of self-awareness, the understanding of jobs, and the ability of decision-making of students who live in Kangnamgu is higher than students in Gurogu. Bu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pects of the place of residence. Like this, school records(the personal attribute of students), parents' standard of education, parents' job,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place of residence(social-economic attribute) have a big influence on the career awareness of students. So the environment around the students is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Through this study, several points is suggested. First, vocational clinics and research institute have to develope the standard test of the career awareness with which students' career awareness is examined objectively and quantitated. Second, the curriculum for the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gets more and mor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career developmental stage. Third, for this education, the professional teacher for counseling the career has to be employed, so students is able to be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Forth,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social-economic attributes, parents' education has to go on at the same time. Last, for the content of students, various materials for the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level of the career awareness will have to be develop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용어의 정의 = 3 C.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진로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6 1. 진로교육의 개념 = 6 2. 진로교육의 필요성 = 7 B. 진로교육의 목표, 내용 및 영역, 방법 = 8 1. 진로교육의 목표 = 9 2. 진로교육의 내용 및 영역 = 10 3. 진로교육의 방법 = 12 C. 진로교육의 단계 = 13 D.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 = 15 E. 진로인식과 진로의식 성숙 = 18 1. Super의 진로성숙의 정의 = 19 2. Super의 진로성숙의 모형 = 20 F. 진로성숙의 측정 = 23 1. 진로성숙 측정의 중요성 = 23 2. 진로성숙 측정 도구 = 24 3. 진로발달검사(Career Developement Inventory : CDI) = 25 4. 진로성숙검사(Career Maturity Inventory : CMI) = 26 5. 인지적 직업성숙검사(Cognitive Vocational Maturity Test: CVMT) = 28 6. 진로성숙도검사(한국교육개발원) = 29 G. 진로성숙의 관련 변인 = 32 1. 인구통계학적 관련 변인 = 33 2. 개인 심리적 관련 변인 = 33 3. 가족 관련 변인 = 35 H. 진로의사결정 이론 = 38 I. 선행 연구의 고찰 = 42 III. 연구방법 = 44 A. 연구가설 = 44 B. 연구대상 = 47 C. 연구도구 = 48 1. 연구도구 개발 = 48 D. 자료의 배부 및 수집 = 55 E. 연구절차 및 자료의 처리 = 55 IV. 연구결과 = 57 A.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 57 B. 가설검증 = 63 1. '가설 1 : 아동의 개인적 속성 변인들에 따라 나타나는 아동의 진로인식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의 검증 = 63 2. '가설 2 : 아동의 사회경제적 변인들에 따라 나타나는 아동의 진로인식 발달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의 검증 = 70 V. 결론 및 제언 = 100 A. 요약 및 결론 = 100 B. 논의 = 102 C. 제언 = 105 참고문헌 = 107 부록 = 109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60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