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末福-
dc.creator金末福-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7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9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4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991-
dc.description.abstractThere have been many theoreticians in the field of Art-criticism. But the Principle of Dance theory and the theory of Dance criticism have not yet been explained. That is because each theoretician who has his own taste and highpoints, is different with one another in the way of approach to the Dance and in their viewpoints on the Dance Criticism. Thus the stand point of criticism in this thesis is rooted in the essence of the Dance theory. This hypothesis will be appropriate to Dance Criticism, if we aceept that the task of Criticism must be started from the factual appreciation of the works of art and the phenomena of arts. The essence of Dance is explained by four qualities ; physicality, spatiality, temporality and totality. And the Critical task is drawn from these representative qualities. Lastly the task of Critic is studied. The problem that will be raised by the movement of late modern is suggested through studying the main qualities of modern Art. And the prospect of Dance Criticism is discussed by explaining the importance of Dance Criticism in our Country.;본 논문의 서론에서는 과거, 미학적 논의에서 한번도 예술론자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무용예술이 예술의 원형으로서의 춤이라는 본래적 의미의 획득을 위한 새로운 접근과 통합적인 場의 개념을 펼치는 예술이론의 일단에 의해 오늘날 예술론의 형성에 있어서 그 중심적대상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의 과정은 대표적인 예술론의 흐름을 살펴보고 무용예술이 그 모델이 될 수 있는 총체적 관점을 이룩케 한 예술론적 배경을 Dewey와 Ponty, Berleant, 그리고 오 병남의 이론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미학상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게된 무용예술은 과연 어떠한 이론적 배경을 지니고 있으며 이의 비평문제는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를 이어지는 무용론의 논의에서 다루고 있다. 따라서 제2장에서는 무용의 본질을 파악함에 있어 먼저 여러 이론가들에 의한 무용에 관한 경험적 진술들을 한자리에 모아 신체성이라는 공통요소를 찾아내고, 이에 현상학적 접근을 통하여 시간성과 공간성의 특질을 이끌어 내었으며, 이 세가지 특질 이외에 무용구성에 있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총체적 관점을 총체성이라는 특질로 설명하였다. 무용에 있어 각 특질의 대표적 성격들의 언급이 있었으며 총체성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안무도 함께 얘기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이 네가지 특질에 의거한 무용의 정의를 내림으로써 무용예술비평에 있어 하나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어지는 제2장 B절에서는 무용의 이차적 요건들이라 생각되는 타예술들을 무용과의 관련 속에서 이들의 바람직한 관계를 살펴 보았다. 이어서 모든 연기되어지는 예술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표현이냐, 기술이냐의 문제를 C절에서 다루고 있으며 이상 살펴본 무용의 특이성으로 인한 무용비평의 특수성을 D절에서 다루었다. 제3장에 있어서는 실제 경험이 풍부한 자들에 의한 창작상의 준수사항들이나 비평기준 그리고 비평가의 요건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경험에 입각한 사항들을 참조함과 동시에 이들을 제2장에서 살펴본 바 있는 무용의 4가지 특질에 의거한 비평적 과제에다 접맥시켰다. 그러하므로써 각 특질에 의거한 비평적 과제를 살펴 보았다. 마지막으로 무용비평의 임무 및 비평가의 역활을 살펴 봄으로써 무용비평의 과제를 알아 보았으며, 현대예술의 주요 특질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주요 경향과 이에 따른 현대 미학상의 難問, 그리고 미국 현대무용계에 있어서 Late modern의 움직임에 의해 야기되어질 수 있는 문제와 오늘날 우리나라 무용비평의 중대성을 밝힘으로써 무용비평의 전망을 얘기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Ⅱ. 무용예술의 특수성과 비평의 문제 = 18 A. 무용이란 = 18 B. 무용과 타예술간의 연관성 = 52 C. 무용예술의 표현성과 기술성 = 79 D. 무용비평의 특수성 = 95 Ⅲ. 무용예술비평의 과제 = 102 Ⅳ. 結論 = 118 參考文獻 = 127 ABSTRACT = 1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476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무용비평-
dc.subject무용예술-
dc.subject표현성-
dc.title舞踊批評에 對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그 理念과 機能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heory of dance criticism-
dc.format.pagev, 1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