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희.-
dc.creator김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9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4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990-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어민에게 있어서 젖줄이기도한 바다로 향하는 마을을 위한 간절한 바램이 노래와 춤과 기도속에서 풍어를 기원하는 巫祭인 별신굿의 역사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해서 장단에 의한 무무에 중점을 두고 연구해 본 것이다. 오늘날의 춤에 있어서 굿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무당춤의 춤사위를 연구하는 것이 우리나라 전통무용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동해안 지역의 굿의 형태는 별신굿과 오구굿인데 경북 영덕군 영해면 성내에 사는 송동숙을 중심으로 하는 동해안 별신굿을 택한 이유는 他 地方에 비해 가장 전통을 그대로 보존된 무무의 형태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별신굿을 고찰하는데 있어 먼저 수행해야 할 작업은 다음과 같다. 1. 별신굿의 역사적인 흐름과 의식절차를 논하고 2. 별신굿의 각 거리마다 형식과 장단에 의한 무무의 특징을 조사 하였다. 이런 작업을 통해 각 거리마다 완전히 춤으로 구성된 것은 별로 없으나 3번째인 세존거리는 춤으로 구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섬세한 발동작과 팔놀림 그리고 연극적인 요소등 연희성과 오락성이 강하다. 무무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서울굿에서는 볼 수 있는 跳舞는 없고, 무릎과 발목을 이용한 점잖고 아주 고운 춤사위이다. 2. 팔놀림이 민속무용 즉 일반 춤처럼 뒤로 돌아 가지 않는다는 것과 어깨춤이 없다. 3. 춤출때는 주로 왼손에 수건, 오른손에 부채를 든다. 4. 주로 평화스러운 분위기에서 자유롭게 움직이지만, 장단이 빨라질때는 분위기가 최고조에 달하도록 무릎을 이용해서 뛴다. 이러한 무무의 특징들을 밑바탕으로 하여 이굿의 춤사위가 갖는 예술적 가치를 규명하고 전통무용의 근원을 찾고 개발하여 올바르게 정립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In this dissertation, my primary considerations are directed to delve into the shamanism dance of rhythem/beat in the context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 shamanic sacrificial rite, so called, "Byolsin Exorcism" which was performed as a prayer amid song and dance to fishermen sailing out to seas to catch fishes in a full load to provide a mammary gland for the fishery village. As today's dance is really influenced with the exorcism in a far extent and deep scope, I should emphasize on the fact that a study on "Chum-Sa-Wui" (dance oriented to abominating ill oments) itself is a key and major part to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yolsin Exorcism" and Ohku Exorcism" are the main pattern and forms of plays still previling in the eastern coastal area. The Byolsin exorcism by Mrs. Song Dong Sook residing at Sungnae-ri, Younghae-myon, Youngduk-kun, Kyungbuk is the object of my cast study in the point of view that she is considered to be an exceptionally exemplary keeper of the traditional shamanic dancing from among others compared with other areas. As preliminary steps shead of consideration of Byolsin exorcism, I discus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ism dance in the terms of pattern and rhythm of the exorcism available in every respective road. Almost all of Byolsin exorcism seen in the road were devoid of a complete composition of dance but the 3rd one, named "Saejon Road" was worthy of a full and complete dance in its composition. Dramatic features such as touches of performace and amusement were evident and powerful especially with exquisite foot ste steps, arm gesture and other theatrical elements. Chracteritistics of shamnism dance can be summarized as follws. 1. Jumping steps of dance could not be noted contrary to the Seoul exorcism. But it is of modest and beautiful Chum-Sa-Wui making advantage of motion of lep and ankle. 2. Arm gesture unlike as in the folk dance and ordinary dance, does not reach around the back and there is no shoulder dance. 3. During performance of dance, dancer holds a handkerchief in left and a fan in right hand. 4. Gesture and motion of dancing are fluent in an air of peace in the main but when tempo gets quick, jumping by lap motion takes place in an air of zenith. By identifying an artistic value dwelling on the Chum-Sa-Wui centered on shamanis dance, by discovering and developing the ancient and original asset of the traditional dances as they a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us to engage in establishing a righteous system of the tangible culture of this count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과 對象 = 1 B. 硏究方法 = 3 Ⅱ. 별신굿의 槪觀 = 4 A. 巫俗의 역사적인 배경 = 4 B. 별신굿춤의 實態 = 11 C. 별신굿의 儀式節次 = 15 D. 巫樂 = 25 1. 장단 및 악기 = 25 2. 巫歌 = 25 E. 巫服 및 小道具 = 30 1. 巫服 = 30 2. 巫具 = 31 Ⅲ. 별신굿의 巫舞에 대한 考察 = 32 A. 발동작에 대한 考察 = 32 1. 푸어노리 장단 = 33 2. 청보 초장 = 35 3. 청보2장 = 35 4. 청보3장 = 37 5. 청보4장 = 38 6. 잦은모리 장단 = 39 B. 舞譜 = 41 1. 푸어놀이 장단의 무무 = 41 2. 청보초장의 무무 = 43 3. 청보2장의 무무 = 45 4. 청보3장의 무무 = 46 5. 청보4장의 무무 = 47 6. 잦은모리 장단의 무무 = 48 C. 巫舞의 특징 = 50 Ⅳ. 結論 = 51 參考文獻 = 54 附錄 = 56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863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굿-
dc.subject무속-
dc.subject무악-
dc.title별신굿 춤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동해안 지방의 宋東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Byeolshin Exorcism dancing-
dc.format.pagevii, 62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