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1 Download: 0

소통되는 기호로서의 구멍(hole)이미지

Title
소통되는 기호로서의 구멍(hole)이미지
Authors
홍우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odern artists newly define and interpret their position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inking art on the extension of their daily life in society. Freely crossing the border of art and life, they propose us unique and new viewpoints of the world. Artists' intervention in the reality sometimes feels temporary and light, but as it is developed in our life, it is very persuasive. A work of art is like a passage through which we can communicate with the world in the aspect that it shows us various features of a thing through a different viewpoint. A work of art, which is a passage to connect self with the world or the world with the world, works as the symbol of communication in this modern society and also as a me diator that helps us recognize pieces of our daily life with new viewpoints. Based on this idea, I intend to show through works of art a chance to communicate with life and to see objects in life with new viewpoints. I think a work of art has factors of a symbol in that not only it works as the symbol of communication in this modern society, but also its meanings and materials reflect life. Hole, which becomes the major semantic and morphologic basis in my works of art, is created in the working process through use of photo images and objet. The work of using photo images is expressed as hole of a semantic symbol that disappears at the same time that a meaning (story) is made. The work of using real holes in the strap of a plastic bag (an objet available in daily life) is expressed as hole of a morphologic symbol.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 that an objet available in daily life is changed into another objet with a new shape and meaning. For this, it has used photo images having features and phenomena of life and plastic bags. Through this process, it intends to find that a new meaning of hole is made, and further, to attempt to interpret a work of art omnifariously with new viewpoints through morphologic and semantic transformation of the work. Furthermore, it will explain from the symbolic viewpoint that photo images and objet work as a new symbol through production of a work of art. Roland Barthes (1915-1980) has analyzed an image as a linguistic symbolic frame based on the idea that all the reality happens by mediation of a language which is a basic of meanings, and that a language doesn't translate the reality, but constitutes it. From Roland Barthes' viewpoint, this study examines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photo images and objet, and in addition, it comparatively analyzes my works of art and the photos of John Baldessar (1931 - ) who has approached voluntariness of a language by rousing one'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s and photo images. Besides, centering on the works of Mathilde Ter Heijne (1969 - ) who has developed descriptive stories in the space of a packing box available in the reality, it comparatively examines my works of objet using plastic bags. Through interpretation of diverse meanings of the hole created in my works of art, this paper explains a change of imaginary space into the story of the works. It intends to show that meeting with the new world through the change of this imaginary space metaphorically reflects the features of life in modern society. Finally, through this paper, my works of art will be presented and analyzed. Through this process, it will review accomplishments in terms of contents and methods of the works, together with any lacks in order to find out future directions of development. ;현대의 예술가들은 예술과 사회, 예술과 일상생활의 연장선에서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 속의 각자의 위치를 새롭게 정의하고 해석하며 예술과 삶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어 우리에게 세상을 바라보는 독특하고 색다른 시각을 제안한다. 이러한 예술가들의 현실 개입은 때로는 일시적이며 가볍게 느껴지지만, 반면에 우리의 삶 속에서 전개되기 때문에 매우 설득력 있다. 미술작품은 색다른 시각의 모습들을 다양한 모습으로 일깨워 준다는 점에서 세상과 소통 할 수 있는 통로와도 같다. 자아와 세계, 세계와 세계를 연결하는 통로인 작품들은 현 시대의 소통의 기호로서 작동하며 삶의 일상적인 단편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일깨워 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인은 삶과 소통이 가능하며 삶 속 대상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작품을 통해 나타낸다. 이러한 일상적 대상들을 이용한 미술작품들은 기호로서 해석되며 그러한 작품의 그 자체 또한 삶을 반영하는 대상들이라는 점에서 기호적 요소들을 가진다. 본인 작업의 주요한 의미적, 형태적 근간이 되는 구멍(hole)은 이러한 삶을 반영하는 사진이미지와 오브제의 사용을 통한 작업 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다. 사진이미지를 이용한 작업들은 이야기가 부재하는 의미적 구멍 기호로서 해석되며, 일상적 오브제인 비닐가방의 손잡이를 이용한 작업들은 형태적 구멍 기호로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 하늘이나 이동수단을 찍은 사진이미지와 비닐가방인 오브제가 새로운 형태와 의미의 오브제로 전환되는 과정 중 구멍이라는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다의적 해석과 새로운 시각에 접근한다. 언어가 현실을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한다고 말한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의 기호적 관점에서 사진이미지와 오브제를 해석한다. 텍스트와 사진이미지간의 관계에 주의를 환기시켜 언어의 임의성에 접근한 존 발데사리(John Baldessari, 1931-)의 사진작품을 예로 들어 본인의 사진이미지를 이용한 작품과 함께 설명한다. 또한 실제 통용되는 포장 박스를 이용하여 포장박스 공간 안에 서술적인 이야기를 펼쳐나간 동시대의 작가 마틸드 테드 헤인느(Mathilde Ter Heijne, 1969-)의 작품을 본인의 비닐가방을 이용한 오브제 작품들과 연결지어 살펴본다. 나아가 본인 작품에서 생성된 구멍이 다양한 의미해석을 통해 작품 이야기 속으로의 상상적인 공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이동을 통한 새로운 세계와의 만남이 현시대의 삶의 모습을 은유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본인은 작품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일상적 대상들이 예술작품으로 제작되는 과정에서 이전과 다른 의미를 갖는 상징적 대상으로 변화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대상들이 상징적 이야기를 가진 다양한 이야기 통로로서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었다. 미술작품을 감상할 때 사진이미지와 오브제와 같은 실제적 대상들을 통해 상상적 공간으로의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삶 속 대상들이 예술작품의 영역에서 다양한 의미작용을 하는 매개체로의 역할을 한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