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대중매체가 身體像의 지각과 상태 신체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중매체가 身體像의 지각과 상태 신체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장희순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가진 신체상(body image)을 지각적, 태도적 측면에서 정의하고, 이러한 신체상에 대한 지각과 태도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대중매체에서 전달되는 신체에 관한 메시지가 이를 수용하는 개인의 신체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여자 초등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TV 자극은 연구자가 공중파와 위성방송, 극영화를 편집하여 날씬 조건, 뚱뚱 조건, 통제 조건의 비디오로 제작하였다. 지각적인 신체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미숙(2000)이 개발한 전신 실루엣 그림을 사용하였으며, 태도적인 신체상 측정에는 Heatherton 등(1991)이 개발한 상태 자기 존중감 척도 중 외모 부분의 존중감을 묻는 하위 척도를 박은아(2000)가 번역한 5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고, 대 세 집단 가운데 고등학생 집단이 신체상 지각의 차이를 가장 크게 나타낼 것이고 신체 존중감은 가장 낮을 것이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세 집단 가운데 고등학생 집단이 비디오를 시청하기 전 현재 체형과 이상 체형의 차이가 없는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음은 물론, 현재 체형과 이상 체형 사이의 차이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 존중감에 있어서도 초등학생이나 대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유의미하게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을 지지하였다. 둘째, 노출된 대중매체의 자극에 따라 신체상의 변화가 달라질 것이다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날씬 조건의 비디오를 시청한 집단의 신체상 지각 차이는 커지고 신체 존중감은 저하되었으며, 뚱뚱 조건의 비디오를 시청한 집단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셋째, 대중 매체의 노출로 인한 신체상 변화에 고등학생이 가장 민감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고등학생 집단이 대중 매체 노출 후 신체상 변화에 있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더 큰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등학생들이 초등학생이나 대학생보다 자신의 신체에 대해 보다 더 불안정한 신체상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체형과 이상 체형 사이에 차이를 더욱 크게 지각하고, 신체에 대해서도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 대중 매체가 신체상의 지각과 상태 신체 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영향이 연령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서는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대중매체가 갖고 있는 영향력과 파급의 범위를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시사점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defined body image disturbance as perception and attitude of a person's body imag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body image disturbance differences between other ages and to prove of the impact in TV message on the viewers' body image disturbance. The subjects are 386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high school-aged adolescents and university women. This study is experiment study and made three types of video from TV, satellites broadcasting and movie. Each condition is named thin, fat, control. Perception distortion was assessed body silhouettes which were manipulated by body shape with 7 levels according to the body's thinness-thickness. And attitudes body image was assessed by body-esteem sub scale of state self-esteem scale made by Heatherton(1991) and translated by Park(2000).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hypothesis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comparing to other age groups, show the highest body image disturbance, was supported. That is,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lowest agreement proportion of actual body image and ideal body image. Also they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 of actual body image and ideal body image and showed the lowest state body esteem. 2. Between three condition groups, the students exposed to thin video perceive more discrepancy and showed lower body-esteem. In contrast, the students exposed to fat video were lowered discrepancy and increased body-esteem. W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hree age groups, all groups showed similar tendency. 3. To investigate change of body image between three age groups after exposed on mass media, the researcher analyzed results. Though the result was no significant between three age groups, high school group showed more changing after exposure of mass media comparing other two groups. It is concluded that high school students have more unstable body image than elementary 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y perceive more discrepancy between actual body image and ideal body image. This result support other studies. Also, this study showed effect of TV media on body image. But more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Nevertheless, regarding of the power and extending range of mass media, the meaning of this study gives several sugges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